콘텐츠목차

『동국 여도』 「동래부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231
한자 東國輿圖東萊府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Dongnae-buin Dongguk Yeodo[Map of Korea]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오인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소유자 고려대학교 박물관
관리자 고려대학교 박물관
제작 시기/일시 1800~1822년연표보기 - 제작
현 소장처 고려대학교 박물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국 여도』에 수록되어 있는 동래부 지도.

[개설]

『동국 여도(東國輿圖)』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는 1800~1822년에 제작되어 『동국 여도』에 수록된 채색 필사본의 군현 지도 가운데 동래부 지도를 말한다. 『동국 여도』의 구성과 수록 지명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지도초와 동일하다. 『동국 여도』의 경기도 부분에 전국 도로망표가 수록되어 있고, 각 군현 지도에는 지도의 여백에 역사 지리적인 내용과 장시의 개시일이 주기로 기재되어 있다. 현재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크기는 33.2×31.5㎝이다. 『동국 여도』 「동래부 지도」는 「상주부 지도(尙州府地圖)」와 함께 수록되었다. 산지는 녹색으로 연결하여 표현하였다. 읍치로부터 시작되는 도로망은 적색의 이중선으로 표시되었고 북쪽 방향으로만 표시되어 있다. 하천과 바다는 짙은 청색으로 묘사되어 있다. 주기에는 좌수영, 한양, 좌병영, 통영까지의 거리 등과 함께 역사 지리적인 내용이 기입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동국 여도』 「동래부 지도」는 19세기의 조선 군현 지도 지리관 속에서 동래부가 어떻게 인식되었는가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김기혁, 『부산 고지도』(부산광역시, 2008)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