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141 |
---|---|
한자 | 朝鮮史學釜山和館竣工圖 |
영어의미역 | Historical Studies of Joseon: A Completed Building Drawing of Busan Hwagwanin Joseon Sagak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변광석 |
[정의]
1678년 부산 초량 왜관의 준공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보이는 약도.
[개설]
초량 왜관의 모습을 그린 왜관도가 몇 점 현전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1783년에 동래부 화원 변박(卞撲)이 그린 작품이다. 가로 58.5㎝, 세로 133㎝ 크기의 매우 큰 이 왜관도는 조정이나 동래부의 필요에 따라 제작되었기 때문에 그림 속의 건물 위치와 명칭이 매우 상세하다. 이에 비해 『조선 사학(朝鮮史學)』 「부산 화관 준공도(釜山和館竣工圖)」는 초량에 왜관을 처음 준공할 때 그린 것으로, 건물이 완전하게 조성되기 전이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입체적인 그림이 아니라 일종의 설계도 같은 느낌의 그림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영인본이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조선 사학』 「부산 화관 준공도」는 크기가 가로 18㎝, 세로 26㎝에 불과한 소형 도면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왜관 경계 내에 들어설 각 건물 배치와 경관 조성 및 왜관에 왕래할 선박의 부두 시설과 방파제 등이 눈에 띈다. 동서와 남북 방향으로 길이를 칸수로 표시하였고, 내부에 배치될 각 건물을 ‘가옥 설명(家屋說明)’이라는 제목으로 기록하였다. 왜관의 우두머리인 관수옥(館守屋)을 비롯하여 대관가(代官家)·동향사(東向寺) 등을 나열하고 동(棟) 수를 기록해 놓았다.
[의의와 평가]
『조선 사학』 「부산 화관 준공도」는 이후에 그려진 왜관도와 비교해 볼 때, 전체적인 구성의 변화와 개별 건물의 명칭 및 위치 변동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