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의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007
한자 高義守
영어음역 Go Uisu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종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음악가
성별
본관 장흥
출생 시기/일시 1919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0년 - 중국에서 귀향하여 대저면사무소 근무
활동 시기/일시 1941년 - 중국 주정 공장 총무로 근무
활동 시기/일시 1945년 11월 12일 - 김정숙과 결혼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서울로 이주
활동 시기/일시 1947년 - 부산시 대저면으로 귀향
몰년 시기/일시 1975년 5월 12일연표보기 - 고의수 사망
출생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거주|이주지 공민학교 - 중국 동북 심양
학교|수학지 서울대학교 양조과 -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3
활동지 중국 둥베이
활동지 대저면사무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활동지 부산 적기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지도보기
묘소 대지교회 묘지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정의]

부산광역시 출신의 음악가.

[개설]

본관은 장흥. 아버지는 고광혁이고, 어머니는 김가산이다.

[활동 사항]

고의수(高義守)[1919~1975]는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에서 고광혁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두 형은 모두 동래고등보통학교를 다녔으나, 고의수는 갑자기 가산이 기울어진 탓에 대저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상급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였다. 원래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둘째 형의 권유로 음악 유학을 준비하였으나 집안 형편으로 인해 누나와 함께 1930년대 후반에 중국 둥베이[東北]로 건너갔다. 중국에는 고의수의 아버지가 이주하여 있었다. 중국 선양[瀋陽]에서 고의수는 망명한 민족주의자가 만든 공민학교에서 중등 과정을 이수하며 어렴풋이나마 민족 문제에 눈을 떴다. 또한 이곳에서 러시아 음악가에게 음악을 배울 수 있었다.

1940년 자동차 전복 사고로 아버지가 사망하자 고향으로 돌아왔고 대저면사무소에서 근무하였다. 이듬해인 1941년에 다시 여동생과 함께 중국 둥베이로 가서 극동영화사를 경영하던 매제의 주정 공장에서 총무로 근무하였다. 1945년 11월 12일 회령 출신으로, 명신고녀(明信高女)[뒤에 광명고녀, 협소고녀라고 개칭]를 졸업한 김정숙과 결혼하였다. 이후 고의수는 아내와 함께 월남하여, 서울에서 자리 잡은 여동생의 도움으로 서울대학교에 개설된 양조과(釀造科)에서 주정 기술을 가르치는 단기 1년 과정을 마쳤다. 이때 고의수의 여동생 집에 세 들어 살고 있던 사람이 가수 현인(玄仁)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은 1947년에 고의수는 고향인 대저로 내려와 귀향의 기쁨을 안고 노래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대저 아가씨」였다. 이후 고의수의 아내는 문맹 퇴치 운동에 힘을 보탰다. 하지만 1950년대 중반 고의수는 폐결핵 판정을 받았고, 부산 적기(赤崎)[현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의 결핵 요양소에 입원해야 했다. 이후 인천요양소로 옮겼다가 다시 전라남도 광주의 제중병원으로 옮기는 등 투병 생활을 지속하다가 1975년 5월 12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결핵으로 투병하던 중에 「대저 아가씨」, 「가을맞이」, 「우리 엄마」 등의 노래를 작곡하였다.

[묘소]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지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

[참고문헌]
  • 『강서 문화』9(부산강서문화원, 2003)
  • 인터뷰(고의수의 아들 고승하, 2011. 12. 1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