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66 |
---|---|
한자 | 沙上區 |
영어의미역 | Sasang-g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사상구(沙上區)는 낙동강 하구에 모래가 퇴적되어 형성된 삼각주의 윗부분에 위치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사상구 지역에는 2000여 년 이전에 형성된 모라동과 학장동의 패총 유적이 있고, 삼한 시대에는 변한 12국 중 독로국에 속하였으며, 505년(지증왕 6)에 거칠산군이, 757년(경덕왕 16)에는 동래군 동평현에 속하였던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동래군 사천면(沙川面)에 속하였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1866년(고종 3)에는 사천면이 사상면(沙上面)과 사하면(沙下面)으로 이분하며, 사상구 지역은 사상면이 되었다. 1909년 사상면의 모라리(毛羅里)·괘법리(掛法里)·덕포리(德浦里)·장문리(場門里)·엄광리(嚴光里) 등에 해당하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양산군 좌이면에 속하였던 소요리[삼락리로 명칭 변경]와 유두리를 편입시켜 동래군 사상면으로 개편하였다.
1963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었고, 부산진구 사상출장소가 설치되어 덕포동·삼락동·모라동·괘법동·감전동·주례동·학장동·엄궁동을 관할하였다. 1975년 부산진구의 구포출장소와 통합하여 시 직할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8년 북구로 승격하였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북구 관할의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을 분할하여 사상구가 설치되었다.
[자연 환경]
부산광역시의 중앙부에서 서쪽에 위치하여 북으로는 북구, 남으로는 사하구, 동으로는 부산진구·서구, 서로는 강서구와 접한다. 구의 북동쪽은 백양산, 남동쪽은 구덕산과 승학산 등 비교적 높은 산지가 있으며, 서쪽 경계는 낙동강과 접한다. 북동쪽과 남동쪽의 산지에서 발원한 감전천, 삼락천, 학장천 등이 서쪽으로 흘러 낙동강에 유입한다. 서쪽 낙동강변으로는 하천에 의해 퇴적된 삼각주가 있다. 시가지는 낙동강변의 저지대와 남북의 두 산지 사이 평지에 발달하여 있다.
[현황]
2023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36.10㎢이며, 인구는 10만 3가구에 총 20만 2,932명으로 남자가 10만 1,865명, 여자가 10만 1,067명이다. 관내의 법정동은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등 8개이며, 구청은 감전동에 소재한다. 서쪽 낙동강변으로 강변대로와 낙동 대로가 남북으로 관통하고, 중앙부의 평지로는 부산 도시 철도 2호선과 경부선 철도, 백양로가 통과해 북쪽으로 이어지고, 부산 제2 도시 고속 도로인 동서 고가 도로가 중앙에서 동서로 관통해 사상 나들목에서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과 연결된다.
구의 북쪽에서는 백양 터널이 부산진구에서부터 연결되어 삼락 나들목을 통해 중앙 고속 도로와 연결된다. 남쪽에는 구덕 터널이 있어 서구와 연결된다. 괘법동에는 사상 시외버스 터미널과 경부선 철도역인 사상역, 김해로 이어지는 경전철의 시·종착역인 사상역이 있어 서부산의 교통 요충지이다. 사상구는 현재 사상 공업 지역과 택지 및 상업지로 개발되고 있다. 사상 공업 지역은 1965년 개발되기 시작해 부산 최대 공업 지대로 성장하였고, 1980년대 후반을 정점으로 공장의 이탈이 시작되어 현재는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 노후 공단이다.
구의 상징물로 구목인 소나무가 사계절 늘 푸름이 있어 꿋꿋한 기상과 굳센 절개를 상징하며, 구화인 철쭉의 꽃은 자줏빛에서 구의 진취적인 기상을 오랜 개화 기간으로 번영을 의미하며, 구조인 까치는 구의 무궁한 발전과 번영·화합·단결을 의미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1.10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4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36.10㎢이며, 인구는 9만 7,556가구에 총 21만 7,135명으로 남자가 10만 9,876명, 여자가 10만 7,259명이다 |
2020.06.04 | 현행화 | 2019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36.09㎢이며, 인구는 9만 6,726가구에 총 22만 3,489명으로 남자가 11만 3,217명, 여자가 11만 272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