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602 |
---|---|
한자 | 行政區域 |
영어의미역 | Administrative Districts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정의]
부산광역시의 행정 기관 권한이 미치는 구·군, 읍·면·동·리로 구분된 지역.
[개설]
우리나라 행정 구역은 특별시·광역시·도·시·군·구·읍·면·동·리로 구획되어 있다. 행정 구역은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구획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구의 비례에 따라 결정된다. 인구의 증감과 시역 변동 등은 행정 구역을 개편시키며 지역의 변화를 반영한다.
부산광역시는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김해시·창원시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계를 이루며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접한다. 2022년 12월 말 기준으로 동서 간 거리는 49.2㎞, 남북 간 거리는 56.9㎞에 면적은 770.17㎢로서 전 국토의 0.76%를 차지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15개 구, 1개 군, 5개 읍·면, 200개 행정동이다. 기장군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여 전체의 28.3%이고, 다음으로 강서구 23.61%, 금정구 8.46% 순이다. 부산의 도심지에 해당하는 중구와 동구는 각각 0.39%와 1.31%에 그쳐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변천]
현재의 부산광역시는 삼국 시대에는 거칠산국(居漆山國) 화증현(火甑縣)과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현 기장군]이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동래군(東萊郡) 동평현(東平縣)과 기장군(機張縣)이었다. 또한 고려 시대에는 동래군과 기장현, 조선 시대에는 동래부(東萊府)와 기장현, 대한제국 시대에는 동래부와 기장군, 1945년에는 부산부(釜山府)와 기장군이었다. 1949년에는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칭하였으며,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 부산광역시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부산의 행정 구역이 도시적 성격을 갖추게 된 것은 1914년 개편으로 부산부제가 실시되면서부터다. 이후 6차에 걸친 행정 구역 확장과 구·군 개편 등으로 현재와 같은 행정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1. 부산부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부제가 실시되었다. 면적은 84.15㎢, 지금의 중구·동구·영도구와 서구 일부가 속하였다. 부산부를 제외한 옛 동래부와 기장군은 동래군에 편입되었고, 1936년 4월 1일 동래군 서면[현 부산진구와 남구 일부] 및 사하면 암남리[현 서구 일부]를 편입하는 제1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총 면적이 112.23㎢로 늘어났다. 1942년 10월 1일에는 부산 지역의 전통적인 중심지인 동래군 동래읍[현 동래구]과 사하면, 남면, 북면 금곡리·장전리[현 금정구]를 편입하는 제2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총 면적인 종전의 2배에 달하는 241.12㎢로 증가하였다.
2. 부산시
1949년 8월 15일 부산부(釜山府)를 부산시(釜山市)로 개칭하였으며, 1951년 9월 1일 중부출장소, 서부출장소, 영도출장소, 부산진출장소, 초량출장소, 동래출장소 등 6개 출장소를 설치하였다가,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 실시로 중부출장소가 중구로, 서부출장소가 서구로,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부산진출장소가 부산진구로, 초량출장소가 동구로, 동래출장소가 동래구로 설치 변경되었다. 당시 부산 지역은 해방 이후 부산항으로 유입된 귀환 동포의 정착과 6·25 전쟁으로 인한 피난민 유입으로 인구가 급증하며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3. 부산직할시
1963년 1월 1일 부산이 정부 직할시로 승격과 동시에 제3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동래군 구포읍·사상면·북면과 기장읍의 송정리가 편입되면서 면적이 360.25㎢로 늘어났다. 1973년 7월 1일 동래군이 폐지되며 동래군에 속하였던 기장군이 양산군에 편입되었다. 1975년 10월 1일에는 남구가 설치되어 7구가 되었으며, 1978년 2월 25일 제4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김해군 대저읍·명지면·가락면의 일부 지역 등 낙동강 삼각주 대부분이 시역에 편입되면서 북구가 설치되고, 총 면적은 432.32㎢로 확대되었다.
1980년 4월 1일에는 해운대구가 신설되었으며, 1983년 12월 15일에는 사하구가 설치되었다. 1988년 1월 1일에는 금정구가 설치되어 11개 구가 되었고, 제5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경상남도 김해군의 가락면·녹산면, 창원군 천가면의 편입으로 면적이 525.25㎢에 이르게 되었다. 1989년 1월 1일에는 김해군 가락면·녹산면, 창원군 천가면을 편입하는 제5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총 면적이 526.600㎢로 확대되었으며, 북구 일부와 편입 지역을 합쳐 강서구를 설치함으로써 12개 구가 되었다.
4. 부산광역시
1995년 1월 1일 행정 기구 개편에 따라 부산직할시는 부산광역시로 승격하였고, 같은 해 3월 1일 제6차 행정 구역이 확장되면서 양산군 5개 읍·면[기장읍·장안읍, 일광면·정관면·철마면]과 진해시 웅동 일부 지역이 편입[749.17㎢]되어 748.92㎢로 시역이 확장되었다. 또한 동래구 일부를 연제구로 분리 신설, 북구 일부를 사상구로 분리 신설, 남구 일부를 수영구로 분리 신설하고 시역에 확장 편입된 양산군 5개 읍·면을 기장군으로 설치해 현재의 15구 1개 군으로 행정 구역을 정비하였다.
[현황]
부산광역시는 2022년 12월 기준으로 15개 구, 1개 군, 5개 읍·면, 187개 법정동과 200개 행정동에 62개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2022년 12월 기준 4,482개 통, 2만 6,045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의 면적은 771.33㎢로, 중구는 3.01㎢[0.39%], 서구 13.98㎢[1.81%], 동구 10.12㎢[1.31%], 영도구 14.20㎢[1.84%], 부산진구 29.67㎢[3.84%], 동래구 16.63㎢[2.15%], 남구 26.82㎢[3.47%], 북구 39.37㎢[5.1%], 해운대구 51.54㎢[6.68%], 사하구 41.78㎢[5.41%], 금정구 65.28㎢[8.46%], 강서구 182.16㎢[23.61%], 연제구 12.11㎢[1.57%], 수영구 10.22㎢[1.32%], 사상구 36.11㎢[4.68%], 기장군 218.33㎢[28.3%]이다.
중구는 9개 행정동에 41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구 13개 행정동에 24개 법정동, 동구 12개 행정동에 4개 법정동, 영도구 11개 행정동에 21개 법정동, 부산진구 20개 행정동에 11개 법정동, 동래구 13개 행정동에 9개 법정동, 남구 19개 행정동에 6개 법정동, 북구 13개 행정동에 5개 법정동, 해운대구 18개 행정동에 8개 법정동, 사하구 16개 행정동에 8개 법정동, 금정구 17개 행정동에 13개 법정동, 강서구 7개 행정동에 22개 법정동, 연제구 12개 행정동에 2개 법정동, 수영구 10개 행정동에 5개 법정동, 사상구 12개 행정동에 8개 법정동, 기장군은 5개 읍·면에 62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의 구별 행정동과 법정동의 구성을 보면 인구수 변동에 따라 분할 통합이 쉬운 행정동이 더 많으나, 중구와 서구, 영도구, 강서구와 기장군은 예외적인 현상을 보인다. 이는 원도심지인 중구와 서구 및 영도구의 경우 부산의 도시화 과정에서 초기에 급속한 성장을 함으로써 법정동은 분할되었으나, 이후 다른 지역의 인구 성장을 따라가지 못하고 오히려 인구 감소 현상까지 보임으로써 행정동이 통합된 대도시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대도시 부산의 외연적 확장으로 편입된 기장군은 1995년 편입된 군으로 법정리가 반영되어 있으며, 강서구는 넓은 지역에 인구가 분산 분포하며 형성된 법정리가 법정동으로 변환되며 행정동보다 법정동의 숫자가 월등히 많은 특성을 보인다. 대도시 부산의 행정 구역은 인위적 설정에 따른 것이지만, 부산 발전의 흔적과 지역성을 반영한 형태로 드러나고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2.11.28 | 현행화 | [개설], [현황] 현행화 |
2021.03.24 | 현행화 | [개설]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 행정 구역은 특별시·광역시·도·시·군·구·읍·면·동·리로 구획되어 있다. 행정 구역은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구획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구의 비례에 따라 결정된다. 인구의 증감과 시역 변동 등은 행정 구역을 개편시키며 지역의 변화를 반영한다. 부산광역시는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김해시·창원시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계를 이루며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접한다. 2020년 12월 말 기준으로 동서 간 거리는 49.2㎞, 남북 간 거리는 56.9㎞에 면적은 770.07㎢로서 전 국토의 0.76%를 차지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15개 구, 1개 군, 5개 읍·면, 200개 행정동이다. 기장군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여 전체의 28.36%이고, 다음으로 강서구 23.58%, 금정구 8.48% 순이다. 부산의 도심지에 해당하는 중구와 동구는 각각 0.37%와 1.26%에 그쳐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부산광역시는 2020년 12월 기준으로 15개 구, 1개 군, 5개 읍·면, 187개 법정동과 200개 행정동에 62개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2020년 12월 기준 4,614개 통, 2만 7,725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의 면적은 770.07㎦로, 중구는 2.83㎢[0.37%], 서구 13.96㎢[1.81%], 동구 9.86㎢[1.26%], 영도구 14.20㎢[1.84%], 부산진구 29.67㎢[3.86%], 동래구 16.63㎢[2.16%], 남구 26.82㎢[3.48%], 북구 39.37㎢[5.11%], 해운대구 51.50㎢[6.69%], 사하구 41.77㎢[5.42%], 금정구 65.26㎢[8.48%], 강서구 181.49㎢[23.58%], 연제구 12.10㎢[1.57%], 수영구 10.21㎢[1.32%], 사상구 36.10㎢[4.69%], 기장군 218.30㎢[28.36%]이다. |
2020.07.09 | 현행화 | [개설]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 행정 구역은 특별시·광역시·도·시·군·구·읍·면·동·리로 구획되어 있다. 행정 구역은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구획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구의 비례에 따라 결정된다. 인구의 증감과 시역 변동 등은 행정 구역을 개편시키며 지역의 변화를 반영한다. 부산광역시는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김해시·창원시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계를 이루며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접한다. 2019년 12월 말 기준으로 동서 간 거리는 49.2㎞, 남북 간 거리는 56.9㎞에 면적은 770.07㎢로서 전 국토의 0.76%를 차지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15개 구, 1개 군, 5개 읍·면, 201개 행정동이다. 기장군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여 전체의 28.36%이고, 다음으로 강서구 23.58%, 금정구 8.48% 순이다. 부산의 도심지에 해당하는 중구와 동구는 각각 0.37%와 1.26%에 그쳐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부산광역시는 2019년 12월 기준으로 15개 구, 1개 군, 5개 읍·면, 187개 법정동과 201개 행정동에 62개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2019년 12월 기준 4,624개 통, 2만 7,782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의 면적은 770.07㎦로, 중구는 2.83㎢[0.37%], 서구 13.98㎢[1.81%], 동구 9.87㎢[1.26%], 영도구 14.20㎢[1.84%], 부산진구 29.67㎢[3.86%], 동래구 16.63㎢[2.16%], 남구 26.82㎢[3.48%], 북구 39.37㎢[5.11%], 해운대구 51.47㎢[6.69%], 사하구 41.77㎢[5.42%], 금정구 65.27㎢[8.48%], 강서구 181.49㎢[23.58%], 연제구 12.10㎢[1.57%], 수영구 10.21㎢[1.32%], 사상구 36.09㎢[4.69%], 기장군 218.30㎢[28.36%]이다. |
2019.05.10 | 2019년 현행화 | 현황, 면적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
2017.03.14 | 현행화 | 2016년 기준 통계 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