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062 |
---|---|
한자 | 影島區 |
영어의미역 | Yeongdo-g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성격 | 행정 구역 |
---|---|
면적 | 14.20㎢ |
가구수 | 53,721가구 |
인구(남, 여) | 16,744명[남 52,839명|여 53,905명] |
개설 시기/일시 | 1896년 - 동래부 사하면 |
변천 시기/일시 | 1903년 - 동래부 사하면에서 동래군 사중면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06년 - 동래군 사중면에서 동래부 사중면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10년 - 동래부 사중면에서 부산부 사중면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사중면에서 부산시 사중면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1년 - 부산시 사중면에서 부산시 영도출장소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영도출장소가 부산시 영도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영도구에서 부산직할시 영도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영도구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로 개편 |
행정 구역 | 영도구 - 부산광역시 영도구 |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영도구(影島區) 지역은 일찍이 절영도(絶影島) 혹은 목도(牧島)라 불렀다. 육지와 인접하며 말을 키우기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갖춰 일찍이 나라에서 말을 키우는 국마장(國馬場)이 있어 목도라 하였으며, 절영도는 이곳에서 자란 말은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데 빨리 달리면 그림자가 못 따라올 정도라고 하여 ‘끊을 절(絶)’, ‘그림자 영(影)’ 자를 붙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 절영도를 줄여 영도(影島)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영도구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의 동삼동 상리 조개더미, 영선동 조개더미 등이 있어 부산에서 가장 먼저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던 곳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1145]에는 “신라 33대 선덕왕(宣德王)이 삼국 통일을 이룬 김유신(金庾信)의 공을 되새겨 김유신의 적손(嫡孫) 김윤중(金允中)에게 절영도 명마 한 필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사(高麗史)』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서도 “후백제의 왕인 견훤(甄萱)이 절영도 명마 한 필을 고려 태조인 왕건(王建)에게 선물하였다.”고 기록된 것으로 미루어 일찍부터 목마장으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시대에는 양주군 동평현에 속하였으며, 1405년(태종 5) 동래현에 속하였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사천면에 속하였고, 『동래부 사례(東萊府事例)』[1868]에는 사하면[사천면이 부산면·사상면·사하면으로 분할]에 편제되었다. 1881년(고종 18) 5월 절영도진(絶影島陣)[부산항의 개항으로 외국 선박의 감시와 해안 방비, 일본인의 토지 및 목재 수탈 방비]이 설치되어 1895년(고종 32)까지 존속하였고, 1896년(고종 33) 동래부 사하면 영선리(瀛仙里)가 되어 처음 동리 체제를 갖추게 된다. 1903년(고종 40)에는 동래부가 동래군으로 격하되며 사중면 청학동(靑鶴洞), 상구룡동(上驅龍洞), 하구룡동(下驅龍洞)이 되고, 1906년에는 동래군이 다시 동래부가 되며 사중면 영선리, 청학동, 동삼동으로 조정되었다.
1910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편되었고, 1914년 부산부를 다시 부산부[현재의 중구·서구·동구·영도구 지역]와 동래군[부산부 지역을 제외한 옛 동래부 지역과 기장군 포함]으로 조정하며 부산부 사중면이 되었다. 1925년 영선리가 영선정(瀛仙町)으로 개칭되고, 1944년에는 영선정이 항정(港町) 1정목·항정 2정목·항정 3정목·항정 4정목·항정 5정목, 어영정(御影町) 1정목·어영정 2정목·어영정 3정목·어영정 4정목, 산수정(山手町) 1정목·산수정 2정목·산수정 3정목, 대교통(大橋通) 4정목·대교통 5정목, 갑정(岬町), 석견정(汐見町) 등 6개 정(町)으로 분할되고, 동삼동이 동산정(東山町)으로, 청학동이 청산정(靑山町)으로 개편되었다.
1947년 광복으로 일본식 동명을 다시 우리나라 명칭으로 바꾸며, 대교통 4정목, 대교통 5정목은 대교동 4·5가로, 갑정은 대평동(大平洞), 석견정은 남항동(南港洞), 어영정 1정목, 어영정 2정목·어영정 3정목·어영정 4정목은 영선동 1·2·3·4가, 산수정 1정목, 산수정 2정목·산수정 3정목은 신선동 1·2·3가로, 항정 1정목·항정 2정목·항정 3정목·항정 4정목·항정 5정목은 봉래동 1·2·3·4·5가로, 청산정은 청학동, 동산정은 동삼동으로 개칭하였다. 1949년에는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칭되었고, 1951년에는 영도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57년에는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승격하였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82년에는 법정동의 구역 조정이 있어 영선동 3가 일부가 신선동 3가로, 신선동 1가 일부가 영선동 1가로, 신선동 2가 일부가 영선동 2가로, 봉래동 3가 일부가 봉래동 4가로, 봉래동 5가 일부가 봉래동 4가로 편입되었고, 1984년에는 신선동 3가 일부가 영선동 4가로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영도구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영도구는 부산 남쪽에 위치한 섬[영도]으로 동경 129°06′, 북위 35°05′에 위치한다. 섬은 북서에서 남동으로 길게 뻗어 있고, 남북으로 2개의 가파른 산지가 있다. 북서쪽의 산지는 봉래산(蓬萊山)[395m]이며, 남동쪽에는 태종산(太宗山)[250m]이 있다. 섬 전체의 경사는 남서 사면이 급사면으로 높이 100m에 달하는 해식애가 발달하여 있고, 북동 사면은 소규모의 만입이 발달한 완경사지를 이룬다. 남동쪽의 태종대에는 자갈 해안과 기암괴석 등의 수려한 경관과 울창한 난대림으로 덮여 있어 부산 시민은 물론 전국 각지에서 관광객이 찾는 경승지이다. 부속 도서로는 동쪽으로 방파제와 연결된 조도(朝島)가 있고, 남쪽에는 무인도인 생도(生島)[주전자섬이라고도 함]가 있다.
[현황]
2024년 11월 말 현재 면적은 14.20㎢이며, 인구는 5만 3,721가구에 총 1만 6,744명으로 남자가 5만 2,839명, 여자가 5만 3,905명이다.부산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북서쪽의 부산 대교와 영도 대교[1934년 개통된 부산 최초의 도개식 연륙교]를 통해 중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쪽으로는 남항 대교가 개통되며 서구 암남동과 연결되고, 동북쪽으로 2013년 6월 완공 예정인 북항 대교가 개통되면 남구 감만동과 직접 연결되어 부산 항만 배후 도로의 만성적 교통난 해소에 기여할 것이다.
이 지역은 광복과 6·25 전쟁을 거치며 인구가 급증해 부산 대교와 영도 대교를 중심으로 시가지가 발달하였다. 이에 2개의 대교 인근 매립지와 봉래산 기슭으로 시가지가 확장되어 현재는 산 중턱까지 주택이 밀집해 있다. 최근에는 남항 대교와 북항 대교 인근으로 대규모 주택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동삼동에 조성된 매립지에는 고신대학교와 한국해양대학교, 해양 수산 연구 기관, 국립해양박물관 등이 있으며, 구청은 청학동에 있다.
영도구는 현재 21개의 법정동[남항동 1·2·3가, 대교동 1·2가, 대평동 1·2가, 동삼동, 봉래동 1·2·3·4·5가, 신선동 1·2·3가, 영선동 1·2·3·4가, 청학동]과 11개의 행정동[남항동, 영선 1동, 영선 2동, 봉래 1동, 봉래 2동, 청학 1동, 청학 2동, 동삼 1동, 동삼 2동, 동삼 3동, 신선동]이 있다. 구의 상징물은 1990년 7월 11일 지정되었는데 구화는 동백꽃, 구목은 해송인 곰솔, 구조는 갈매기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4.30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10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08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2 | 현행화 | 2020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14.20㎢이며, 인구는 5만 4,903가구에 총 11만 5,144명으로 남자가 5만 6,953명, 여자가 5만 8,191명이다 |
2020.05.25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14.20㎢이며, 인구는 5만 4,859가구에 총 11만 8,628명으로 남자가 5만 8,806명, 여자가 5만 9,822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