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709 |
---|---|
한자 | 韓國海洋大學校 |
영어의미역 | Korea Maritime University |
이칭/별칭 | 해양대학교,국립 한국해양대학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727[동삼동 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승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국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첫째, 융합적 사고를 갖춘 해양 분야 전문인 육성, 둘째, 교양과 인격을 겸비한 성숙한 지성인 양성, 셋째, 국제적 소양을 갖추고 미래를 선도하는 지도자 배출’이다. 교훈[교육 이념]은 ‘진리 탐구, 문화 창조, 인격 도야’이다.
[변천]
1919년 9월 15일에 한국해양대학교의 전신인 조선총독부 체신국 해원양성소가 인천에 설립되었다. 1927년 8월 23일에 진해시 앵곡동[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으로 이전하였고, 1940년 5월 11일에 교통국 고등해원양성소[진해고등해원양성소]로 승격되었다. 1945년 11월 5일에 교통부 관할의 진해고등상선학교로 출발하여 1946년 1월 5일에 통영상선학교와 병합하였다. 그해 8월 15일에 진해해양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7년 1월 30일에 인천으로 이전, 인천해양대학과 병합하여 국방부 관할 조선해양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5월 5일에는 군산으로 이전하였다. 1949년 2월 15일에 관할처가 국방부에서 교통부로 이관되었고, 1950년 1월 1일에 국립해양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3년 10월 5일에 부산광역시 동래구 거제동 664번지로 이전하였다. 1955년 2월 15일에는 교통부에서 상공부로 관할이 이관되었으며, 1955년 11월 25일에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RA,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자금으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618번지에 신축 교사를 지어 이전하였다. 1956년 7월 14일에 문교부 관할의 한국해양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4년 6월 1일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1991년 10월 22일에 종합 대학으로 개편 승인되어 한국해양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한국해양대학교는 해양·해운 및 관련 분야의 인재 양성을 특성화한 종합 대학이다. 특히 해운 산업 분야, 해양 과학 기술 분야, 조선/IT 융합 분야를 특성화 분야로 선정하여 중점 육성하고 있다. 외국의 유수 대학과 학생 교류는 물론이고, 각종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해양 입국을 선도하고 국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은상/작곡 이흥렬]
백두산 뻗은 정기 마지막 맺혀/ 솟으니 절영도 파도치는 곳/ 태평양 푸른 물결 가슴에 안고/ 힘차게 자라나는 대한의 아들/ 보라 여기 나라의 빛 해양대학/ 보라 여기 겨레의 힘 해양대학.
2. 교목: 해송으로 송백의 지조와 장수를 자랑하는 남아의 기상을 상징한다.
3. 교화: 동백으로 겸손과 신중, 침착을 상징한다.
4. 교조: 갈매기로 깨끗함과 순수함을 상징한다.
5. 학교 마크: 흰색 바탕에 푸른 바다를 상징하는 짙은 청색 도안이다. 둘레의 원형은 지구를 의미하며, 그 안에 청과 백의 다섯 개 물결은 오대양(五大洋)을 의미한다. 청색 물결 표시 세 개는 교훈인 진리 탐구, 문화 창조, 인격 도야를 의미하며, 가운데 비상하는 새의 형상은 높은 기상을 뜻한다. 원의 둘레를 이루는 학교 영문명은 빗살처럼 확산되어 대학의 국제성을 표상한다. 아래쪽에는 책의 모형과 숫자 1945를 배치함으로써 학교의 역사를 각인시켰다.
[현황]
2012년 4월 기준 총 9,156명[계약 학과 포함]이 재학하고 있으며, 교원 295명, 교직원 261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총 56만 6791㎡로, 이 중 체육장 면적이 2만 7480㎡, 관사 면적이 1만 9714㎡, 임야 면적이 2만 1654㎡이다. 해사대학, 해양과학기술대학, 공과 대학, 국제 대학 등 4개 대학과 일반 대학원, 해사산업대학원, 해양관리기술대학원, 교육 대학원 등 4개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시설로 5개 연구소와 10개 연구 센터가 있다. 해사산업연구소, 산업 기술 연구소, 해양 과학 기술 연구소, 세계해양발전전략연구소, 국제해양문제연구소 등 5개 연구소가 있으며, 동북아해운항만물류연구센터, 화합물반도체공정교육센터, 원전기자재연구센터, 수중운동체특화연구센터, 해양영토전략연구센터, 한중해사법연구센터, 첨단마린조명연구센터, 조류발전원천기술연구센터, 영남씨그랜트센터 등 10개 연구 센터가 있다.
부속 시설은 21개로 박물관, 실습선[한바다호, 한나라호], 평생 교육원, 국제 교류 교육원, 종합 인력 개발원, 기록관, 마린 시뮬레 시연 센터, 해양벤처진흥센터, 공학 교육 혁신 센터, 산학연 ETRS[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Support] 센터, 해기교육품질보증센터, 학생 상담 센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