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국립부경대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16
한자 國立釜慶大學校
영어의미역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이칭/별칭 부경대학교,부경대,부산수대,부산공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430-1]|신선로 365[용당동 2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근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립 종합 대학교
설립자 교육부
전화 051-629-4114
홈페이지 국립부경대학교(http://www.pknu.ac.kr)
인가 시기/일시 1996년 7월 6일 - 설립[국립부산수산대학교와 국립부산공업대학교 통합]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6월 16일 - 지방 대학 혁신 역량 강화[NURI] 사업에 5개 사업단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4월 13일 - 대학 교육 역량 강화 사업에 5년 연속 선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7년 2월 - 김재철 졸업[동원그룹 회장]
최초 설립지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430-1]지도보기
최초 설립지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65[용당동 251]지도보기
현 소재지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430-1]지도보기
현 소재지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65[용당동 25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용당동에 있는 국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인류의 밝은 미래를 창조할 교양인·전문인·실천인·개성인·민족인·세계인·녹색인의 육성’이다. 교훈은 ‘미래를 우리 손으로’이다.

[변천]

1996년 7월 6일에 국립부산수산대학교와 국립부산공업대학교 간의 통합에 의한 국립부경대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 통합 당시 각각의 대학교가 있던 위치를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수산]와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공업]로 부르게 되었다.

국립부산수산대학교는 1941년 3월 28일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설립되어 그해 5월 15일에 남구 대연동[부산부 대연리]에서 개교한 관립부산고등수산학교[4년제]가 전신이다. 1944년 4월 6일에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해방 이후 부산에 국립 종합 대학교를 설립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1946년 5월 15일에 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으로 편입이 결정되었으나, 인문과 대학의 교사(校舍) 미비, 수산과 대학 측의 반발 등 내외의 조건으로 흐지부지되었고, 같은 해 9월 1일에 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으로 변경된 데 이어, 같은 해 12월 15일에 국립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되었다. 1962년 3월 1일 「교육에 관한 임시 특례법」[법률 제708호]에 따른 ‘대학 정비령’에 의거하여 부산대학교 수산대학으로 재편입되었다가, 1964년 1월 1일에 부산수산대학으로 재분리되었다. 1990년 3월 1일에 종합 대학교로 승격되어 국립부산수산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국립부산공업대학교는 1924년 5월 5일에 부산의 일본인 학교 조합에 의해 설립 인가를 받아 중구 보수동[당시 제5소학교 내]에서 개교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2년제]가 전신이며, 1933년 6월 8일에 부산공립직업학교[3년제]로 변경되었다. 이후, 1940년 5월 4일에 신설된 부산공립공업학교 병설 직업학교로 변경되었다가, 1946년 8월 31일에 폐지되었고, 그해 9월 1일에 부산공립공업중학교[6년제]로 재개교하였다. 1951년 8월 31일에 부산공업고등학교[3년제]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63년 교육 자치제의 부활과 「교육에 관한 임시 특례법」[법률 제708호]이 폐기되는 등 교육 환경의 변화와 산업화에 따른 고등 교육의 필요성이 급증하여, 같은 해 4월 15일에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5년제]로 승격하여 남구 대연동[현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에서 재개교하였다.

1971년 12월 1일에 국립으로 이관되어, 1973년 9월 29일에 국립부산공업전문학교로 설립 인가[2년제]를 받았다. 1979년 1월 1일에는 부산공업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83년 12월 7일에 4년제 부산개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88년 5월 4일에는 부산공업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3년 2월 24일에 종합 대학교로 승격되어 국립부산공업대학교가 되었다.

[교육 활동]

국립부경대학교는 학생들이 여러 학문 분야를 폭넓게 섭렵할 수 있도록 복수 전공제[2개 이상의 전공], 연계 전공제[2개 이상의 학과 등이 제공하는 전공을 학생이 이수하는 것], 복합 전공제[학생이 스스로 교육 과정을 구성하여 전공을 이수하는 것], 부전공제, 전공 트랙제, 해외 복수제 등을 운용하고 있다. 또한 전공 분야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분야별 교육 인증제[공학 교육 인증, 경영학 교육 인증, 무역학 교육 인증, 건축학 교육 인증]와 외국어 능력, 전산 능력, 인성 분야에서 졸업 기준을 설정한 졸업 자격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수·해양 분야와 공학 실무 분야가 특화되어 있는데, 특히 지구 환경·에너지, 해양 수산, 나노·바이오·IT 융합 기술 등의 학문 분야를 통해 지구 환경을 지키고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의 가치를 높이는 학문 탐구에 앞장서고 있으며,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기반으로 생태적 철학을 실천하는 ‘에코버시티(ecoversity)’로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2004년 6월 16일에 지방 대학 혁신 역량 강화[NURI] 사업에 5개 사업단이 선정되었고, 2012년 4월 13일에는 대학 교육 역량 강화 사업에 5년 연속으로 선정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조병화/작곡 장일남]

진리로 향한 우리들의 가슴/ 내일로 향한 우리들의 마음/ 아아아아아아 배움의 터 이곳은/ 푸른 꿈 푸른 생명 청춘의 요람 청춘의 요람/ 자랑스런 그 이름 부경대학교/ 우리는 이곳에서 내일을 연다.

2. 교목: 곰솔이다. 곰솔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나무로, 학문을 탐구하는 국립부경대학교의 뜨거운 열정과 강인한 도전 정신을 의미한다.

3. 교수: 백경이다. 백경은 이빨고래 중 덩치가 제일 크고 머리가 영리해 바다의 제왕으로 불린다. 무한한 자유와 참된 진리를 추구하는 국립부경대학교의 정신을 담고 있다. ‘백경이’라는 캐릭터도 존재한다.

4. 캐릭터: ‘곰솔이’와 ‘백경이’이다.

[현황]

2012년 8월 현재 학부생 총 1만 7463명, 대학원생 1,413명, 특수 대학원생 963명 등 총 1만 8354명이 재학[외국인 학생은 박사 과정 62명, 석사 과정 198명, 연구 과정 13명, 학부생 569명, 교환 학생 49명]하고 있다. 교직원은 전임 교원 580명, 조교 155명, 일반직 160명, 연구직 1명, 별정직 6명, 기능직 124명, 기성회직 150명 등 총 1,176명이 근무하고 있다.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와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등의 교지 면적은 80만 3579㎡, 건물 연면적은 35만 3667㎡이다.

조직은 대학 본부[교무처, 학생처, 기획처, 사무국, 산학 협력단, 입학 관리 본부, 국제 교류 본부], 6개의 단과 대학[인문 사회 과학[9개 학과, 3개 학부], 자연 과학[7개 학과], 경영[2개 학부], 공과[25개 학과], 수산 과학[8개 학과, 1개 학부], 환경·해양[9개 학과]]에 58개 학과, 6개 학부, 일반 대학원과 4개의 특수 대학원[교육, 경영, 산업, 국제], 도서관, 2개의 교육 지원 시설[정보 전산원, 학생 생활관], 18개의 부속 시설[종합 인력 개발원, 학생 상담 센터, 대학 교육 개발원, 평생 교육원, 공동 실험 실습관, 박물관, 보건 진료소, 부경언론사, 교육 연수원, 장애 학생 지원 센터, 체육부, 생활 체육 지도자 연수원, 수산 식품 가공 산업 산학관 연구 지원 센터, ETRI R&D 센터, LED 센터, LMO 센터, LINC 사업단], 6개의 연구 시설[인문 사회 과학 연구원, 기초 과학 연구원, 경영 연구원, 공학 연구원, 수산 과학 연구원, 환경 해양 과학 기술 연구원], 2개의 기타 시설[학생 군사 교육단, 학교 기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에는 대학 본부를 비롯하여 5개 단과 대학이 있고,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에는 공과 대학과 각종 사업단이 위치하고 있다. 기장군 일광면의 수산 과학 연구원 산하에 수산 과학 연구소, 사료 영양 연구소, 수산 과학 기술 센터, 식품 연구소, 해양 산업 정책 연구소, 해양 수산 형질 전환 생물 연구소, 해양 생명 과학 연구소, 저탄소 해양 생산 기술 연구소가 있어 수산 해양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실습선 및 탐사선으로 ‘가야호’와 ‘탐양호’가 있어서 수·해양 분야의 승선 실습, 해양 관측,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공과 대학도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로 이전하고,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는 각종 사업단과 실험·실습 시설을 중심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