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084
한자 慶星大學校
영어의미역 Kyungsung University
이칭/별칭 경성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산3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종합 대학교
설립자 경남대학교육원[현 한성학원]
전화 051-663-4114
홈페이지 경성대학교(http://www.ks.ac.kr)
인가 시기/일시 1955년 3월 22일 - 경남사범대숙으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55년 6월 30일연표보기 - 경남사범대숙으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63년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 184번지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 9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66년 4월 21일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 9번지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4가 200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73년 1월 20일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4가 200번지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산37-1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63년 1월 28일연표보기 - 경남사범대숙에서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9년 1월 10일연표보기 -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에서 부산산업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8년 5월 1일연표보기 - 부산산업대학에서 경성대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경남사범대숙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 184
주소 변경 이력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 9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4가 200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산37-1]지도보기
현 소재지 경성대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산 3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각 학술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연구·교수하고 능력과 인격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 사회와 국가, 나아가 인류 사회에 봉사한다’이다. 교훈은 ‘진리, 봉사, 자유’이다.

[변천]

1955년 3월 22일에 목사 김길창에 의해 경남사범대숙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6월 30일에 서대신동 3가 184번지에서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야간부 4년제로 국어국문학과, 영어 영문학과, 수학과, 가정학과 등 4개 학과를 개설하였으며, 초대 학장으로 목사 김길창이 취임하였다.

1963년 1월 28일에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아 음악과, 미술과, 체육과, 보육과 등 4개 학과를 개편한 뒤, 중구 대청동 1가 9번지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같은 해 4월 30일에 경남대학교육원에서 한성학원으로 재단명을 변경하였으며, 그해 12월 16일에 2부[야간] 의상과, 음악과, 보육과를 신설하였다. 1966년 4월 21일에는 영도구 영선동의 신교사로 이전하였다. 1973년 1월 20일에 현 캠퍼스인 남구 대연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79년 1월 10일에 4년제 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아 부산산업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3년 9월 8일에 종합 대학교로 개편 인가를 받았고, 1988년 5월 1일에 경성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17일에 제30회 학위 수여식을 거행하였다.

[교육 활동]

경성대학교는 1996년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센터 96 산학연 공동 기술 개발 지역 컨소시엄 전국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1997년에는 교육부 주관 지방 대학 멀티미디어 특성화 사업 지원 대상에 선정되었으며, 1998년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센터 부산 지역 최우수 기관상을 수상하였다. 같은 해에 교육인적자원부 지방 대학 특성화 사업 전국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2000년에는 전국 대학 최초로 문화관광부 지정 제1종 미술관을 등록하였다. 2003년에 한국교육개발원 교직 과정 평가 결과 종합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그해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학문 분야[사회 복지·수학·토목 분야] 평가 결과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에 교육인적자원부 ‘2003년도 지방 대학 육성 재정 지원 사업 대상’ 대학에 선정되었으며, 2004년에는 지방 대학 혁신 역량 강화 사업[NURI]에 선정[대상 사업단:영상·CT 인력 양성 사업단]되었다.

2006년에 미국교육평가원[ETS]에 의한 iBT TOEFL Testing Center로 선정되었다. 2007년에는 TIC[Trade Incubating Center] 산업자원부 주관 ‘글로벌 무역 양성 사업단’으로 선정되었고, 동년에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2007년 전문 상담 교사[2급] 양성 과정 대학으로 지정되었다. 그해에 한국대학신문사 주관 ‘2007 한국 대학 신문 대학 대상 시상식’에서 ‘교육 환경 개선’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2008년에는 컴퓨터 공학과가 ‘2008 대학 IT 전공 역량 강화[NEXT] 사업’에 선정되었다. 2010년에 베트남 호치민국립대학과 교수 및 학생 교류 협정을 체결하였고, 동년에 국립국악원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하였다. 2011년에는 필리핀국립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2012년에 경성대 인문과학연구소가 발간하는 『인문학논총』이한국연구재단[KCI] 등재지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에 ‘경성 비전 2020’을 선포하였는데, 그 내용은 ‘교양 교육 선진화, 전공 교육 내실화, 전공 교육 선진화, 융·복합 전공 교육 강화, 학사 조직 유연화, 교수 자원의 지속적 확충, 교수 업적 유인 체계 구축, 연구 지원 시스템 효율성 제고, 입시 제도 내실화, 입학 지원 확보, 다변화, 학생의 자율적 학습 능력 강화, 학생과 소통 강화, 학생 자치 조직 활성화, 장학금 확대, 취업률 제고를 위한 협력 체계 구축, 학생 알기 시스템 구축, 취업의 질적 제고 및 취업 지평 확대, 행정 조직의 개선 혁신, 재정 운용의 효율성 제고, 재정 확충, 글로벌 특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발전, 기업 밀착형 산학 협력 확대, 맞춤형 국제화 인프라 확대, 지역 밀착형 사회봉사 확대, 스마트 캠퍼스 구축’이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곡 김동진/작사 박두진]

남해 바다 푸른 정기 가슴에 안고/ 찬란한 내일의 꿈 오대양에 펼쳐진다/ 자유와 진리 탐구 앞장서 나가는/ 우리들의 뜻과 포부 굳세고도 웅대하다/ 아아 경성 민족의 참된 성지/ 아아 경성 새 세계의 젊은 기수/ 온 누리를 밝혀 가는 정의의 횃불로/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 우리에게 영광이 있다.

2. 교목: 은행나무이다. 은행나무처럼 영원히 발전하자는 의미와, 지역 사회에 은행처럼 유익한 대학이 되자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3. 상징 형상: 별이다. 교명인 ‘경성(慶星)’의 ‘성(星)’으로, 밤하늘에 빛나는 별처럼 대학 중의 대학이 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다.

[현황]

2012년 기준 편제 정원은 1만 2465명이며 재학생은 1만 3352명으로, 학생 충원율은 107.1%이다. 2012년 신입생 현황은 정원 내 모집 인원 3,097명에 입학자 수는 3,102명이었으며, 정원 내 지원자 수는 2만 2496명으로 100.2%의 정원 내 신입생 충원율을 기록하였다. 2012년 6월 기준 6처, 3단에 11개 단과 대학, 7개 대학원, 중앙 도서관, 박물관, 조류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7개의 학칙 연구소와 13개의 대학 부설 연구소, 3개의 대학원 부설 연구소와 예비군 연대로 구성되어 있다. 학부의 구성은 문과 대학, 법정 대학, 상경 대학, 이과 대학, 공과 대학, 약학 대학, 예술 대학, 신학 대학, 멀티미디어 대학, 중국 대학, 교양 과정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학원은 일반 대학원, 경영 대학원, 멀티미디어 대학원, 교육 대학원, 사회 복지 대학원, 임상 약학 대학원, 디지털 디자인 전문 대학원이 개설되어 있다.

학칙 연구소로는 인문 과학 연구소, 한국학 연구소, 사회 과학 연구소, 산업 개발 연구소, 기초 과학 연구소, 공학 기술 연구소, 환경 문제 연구소가 있으며, 대학 부설 연구소로는 교육 인재 개발 연구소, 법학 연구소, 식품 생명 과학 연구소, 약학 연구소, 멀티미디어 신학 연구소, 영재 뇌 교육 연구소, 바이오텍 연구소, 한국 한자 연구소, 부동산 도시 연구소, 스마트 메카트로닉스 연구소, 글로벌 차이나 연구소, 스포츠 건강 과학 연구소, 유아 창의·인성 교육 연구소가 있다. 대학원 부설 연구소로는 문화 발전 연구소, 유기 소자 특성화 연구소, 디자인&문화 콘텐트 연구소가 있다.

[참고문헌]
  • 경성대학교(http://www.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