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35
한자 釜山敎育大學校
영어의미역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이칭/별칭 부산교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병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립 대학교
설립자 교육과학기술부
전화 051-500-7114
홈페이지 부산교육대학교(http://www.bnue.ac.kr)
개교 시기/일시 1946년 9월 2일연표보기 - 부산사범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46년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에서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61년 4월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에서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61년 4월연표보기 - 부산사범학교에서 부산사범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62년 3월연표보기 - 부산사범대학에서 부산대학교 병설 부산교육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63년 3월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병설 부산교육대학에서 부산교육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3년 3월연표보기 - 부산교육대학에서 부산교육대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3월 - 4년제 교육 대학으로 승격
최초 설립지 부산사범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사범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사범대학 -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
현 소재지 부산교육대학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립 교육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하고, 사표로서의 지도적 인격을 도야함으로써 유능하고 사명감 있는 초등 교원을 양성한다’이다. 교훈은 ‘우리는 사랑과 슬기를 길러 겨레와 인류에 이바지하는 바르고 큰길에 살자’이다.

[변천]

부산교육대학교의 전신은 1946년에 초등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개교한 공립 부산사범학교이다. 부산사범학교는 1946년 9월 2일에 부산공업중학교[중구 보수동]를 임시 교사로 하여 개교하였다가, 현 화랑초등학교[서구 동대신동]로 이전하였다. 이후 1950년 4월에 국립으로 이관되었으며, 6·25 전쟁 때 교사를 미군에게 내어 주고 시내 각 국민학교를 전전하다가 1954년 7월 6일에 화랑초등학교로 복귀하였다.

1961년 4월에 「국립 학교 설치령」[국무원령 제211호] 개정에 따라 부산사범학교와 부산사범대학[1955년 개교, 중등 교원 양성을 위해 설립]이 통폐합하여 부산사범대학으로 개편되면서 현재의 연제구 거제동으로 이전하였다. 1962년 3월에는 부산대학교 병설 부산교육대학으로 다시 개편되었고, 1963년 3월에 부산대학교에서 분리하여 부산교육대학으로 개편하였으며, 동년 4월에 부설 초등교원연수원을 설립하였다. 1981년 3월에 교육법 개정에 따라 4년제 교육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93년 3월에 부산교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교육대학교는 ‘지혜, 비상, 정의로움을 갖춘 고결한 초등 교원의 양성’이라는 비전 아래 학생 행복 지수 1위, 대외 영향력 1위, 그린 캠퍼스 1위를 목표로 ‘SAGACIOUS[총명]’, ‘SOARING[상승하는]’, ‘JUSTICE[정의]’의 세 가지 전략적 계획을 가지고 있다.

첫째, ‘SAGACIOUS’는 학생의 마음을 읽는 최고의 교원, 학생의 현재와 미래를 공감하는 가장 전문적인 교원 양성, 학생의 삶에 열정을 가지고 몰입, 지식과 지혜를 함께 성장시키는 역량 있는 교원을 양성하는 것이다. 둘째, ‘SOARING’은 국가 교육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정신, 교육 문화 발전을 이끌고 창의적인 리더를 키우는 선구자의 정신, 국제화 교육 시스템을 바탕으로 세계를 바라보고, 자신의 역량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지속적인 노력을 가리킨다. 셋째, ‘JUSTICE’는 이타적 사고방식을 함양하고, 상호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정신, 모든 사람들이 교육 복지 혜택을 누리고, 자신의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 봉사할 수 있는 정신을 나타낸다.

이러한 세 가지 전략적 계획으로 최상의 학부 교육 시스템, 세계 지성과 교류하는 국제화 시스템, 지역과의 연합 시스템, 재정 확충과 투자 관리와 같은 4대 발전 전략을 설정하여 2015년 국내 1위 교육 대학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02년 11월에 국립 대학 평가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2008년 3월에는 교육 대학원 계절제를 개설하였다. 국제 및 국내 교류 활동으로 미국의 일리노이주립대학, 일본의 시마네대학, 후쿠오카교육대학, 중국의 항주사범대학, 천진한국국제학교, 필리핀의 Trinity University of Asia, 필리핀한국국제학교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 교육 대학으로서 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을 위해 다음과 같은 대회가 시행된다. 첫째, 생활 발명 아이디어 경진 대회를 개최하여 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의 우수한 생활 발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창의성 계발 및 지식 재산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둘째, 부산 시내 초등학교 아동 시·산문 백일장을 개최하여 무한한 가능성과 꿈을 지니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문학적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하여 상상력과 창작력을 기르게 하며, 정서 순화와 건전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 수학 창의력 교실을 진행하여 초등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기를 수 있도록 해당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여러 가지 조작 교구를 통해 활동과 게임, 퍼즐을 통해 즐기면서 이해를 돕도록 하고 있다. 넷째, 과학 체험 교실을 통해 초등 현장의 정규 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다양한 실험 활동을 직접 해 봄으로써 아동들이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과학 실험에 대한 즐거움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 전국 초등학교 학생 무용 경연 대회와 과학 경시대회, 음악 경연 대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시 유치환/작곡 이상근]

보아라 여기 금정 고운 기슭에/ 청춘의 한량없는 꿈과 사랑을/ 내 겨레를 깨우고 길러 내기에/ 애오라지 사르려는 영원 있으니/ 부산교대 부산교대 사명의 전당.

2. 상징물: ‘한새’이다. ‘한새’는 큰 새[붕새]를 일컫는 상상의 새이다. 옛날 금정산 기슭 일대는 큰 새들이 보금자리를 치던 곳이며, 부산교육대학교가 자리 잡고 있는 곳이 바로 ‘붕새 알 터’였다고 구전된다. ‘붕서 알 터’는 ‘한새 알 터’이니 이 고장 일대에서는 ‘한새벌’로 지칭되며, 기능 연마에 힘쓰는 한새인의 성스러운 둥지가 되고 있다.

[현황]

2012년 기준 1,829명의 학부생과 375명의 대학원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전임 교원 79명, 조교 19명, 그리고 일반직 및 기능직, 기성회직을 포함하여 64명이 근무하고 있다. 총면적은 14만 1402㎡이다. 조직은 교무처, 학생 지원처, 기획처, 사무처의 4개 처가 있으며, 부설 기관으로 교육 연수원, 평생 교육원, 인재 교육원, 부설 학교로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가 있다. 교육 기구로는 교육 대학원과 윤리 교육, 국어 교육, 사회 교육, 수학 교육, 과학 교육, 체육 교육, 음악 교육, 미술 교육, 실과 교육, 유아 교육, 영어 교육의 13개 학과가 있으며, 부속 기관으로는 학술 정보관, 정보 전산원, 생활관, 방송국, 대학 신문사, 평생 교육원, 교수 학습 지원 센터, 다문화 교육 지원 센터 등이 있다. 연구 시설로는 교육 연구원과 학생 생활 연구원, 사업단으로 산학 협력단과 학생 군사 교육단 등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