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065 |
---|---|
한자 | 瀛仙洞一-二-三-四街 |
영어의미역 | Yeongseon-dong |
이칭/별칭 | 영선동,영선동 1가,영선동 2가,영선동 3가,영선동 4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1가|영산동 2가|영산동 3가|영산동 4가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0.80㎢ |
가구수 | 5,313가구 |
인구(남, 여) | 11,104명[남 5,397명|여 5,707명] |
개설 시기/일시 | 1896년 - 경상남도 동래부 사중면 영선리 |
변천 시기/일시 | 1910년 - 경상남도 동래부 사중면 영선리에서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25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에서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4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에서 부산부 사중면 어영정 1·2·3·4 정목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7년 - 부산부 사중면 어영정 1·2·3·4 정목에서 부산부 사중면 영선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동 1·2·3·4가에서 부산시 사중면 영선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1년 - 부산시 사중면 영선동 1·2·3·4가에서 부산시 영도출장소 영선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영도출장소 영선동 1·2·3·4가에서 부산시 영도구 영선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영도구 영선동 1·2·3·4가에서 부산직할시 영도구 영선동 1·2·3·4가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영도구 영선동 1·2·3·4가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1·2·3·4가로 개편 |
법정동 | 영선동 1·2·3·4가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1·2·3·4가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영선동의 옛 지명은 나릿가로 육지와 연결되는 나루가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885년(고종 22) 영도가 처음 동리의 체제를 갖추게 되며 당시 절영도 첨사 임익준(任翊準)이 동해상에 있는 전설의 섬인 영주(瀛州)와 신선이 사는 봉래산에서 각각 한 글자씩 빌려 와 ‘영선(瀛仙)’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영선동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의 조개무지[貝塚, 1930년에 발굴되었으며 토기, 석기, 뼈연모, 조가비 팔찌 등이 출토되었으나 현재는 파괴되어 남아 있지 않다. 현재의 부산은행 영도지점 부근에 있었다]가 있어 동삼동과 함께 영도에서 가장 거주 역사가 오래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896년(고종 33) 경상남도 동래부 사중면 영선리가 되며 영도에서 최초로 공식 동명을 갖춘 지역이다. 1910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편되었다가, 1914년 부산부를 다시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행정 구역을 조정하며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가 되었다.
1925년 영선정(瀛仙町)으로 개칭되었고, 1944년에는 영선정이 어영정(御影町) 1정목·어영정 2정목·어영정 3정목·어영정 4정목이 되었다. 1947년 광복으로 어영정 1정목·어영정 2정목·어영정 3정목·어영정 4정목이 영선동 1가·영선동 2가·영선동 3가·영선동 4가로 개칭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칭되었으며, 1951년에는 영도출장소가 설치되고 그 관할이 되었다. 1957년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승격하였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82년에는 영선동 3가 일부가 신선동 3가로, 신선동 1가 일부가 영선동 1가로, 신선동 2가 일부가 영선동 2가로 편입되고, 1984년에는 신선동 3가 일부가 영선동 4가로 편입되는 법정동 구역 조정이 있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1·2·3·4가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영도구의 서북쪽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남항동 및 대교동과 접하고, 동쪽은 봉래동·신선동, 남쪽은 동삼동과 접한다. 봉래산의 서쪽 산기슭에서 영도의 서쪽 해안을 따라 길게 발달하여 있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인 영선1,2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80㎢이며, 인구는 5,313가구에 총 1만 1,104명으로 남자가 5,397명, 여자가 5,707명이다. 영선동의 서북쪽에 남항 대교가 개통되어 서구 암남동으로 연결된다. 동의 북쪽은 대교동과 봉래동에 있는 영도 대교 및 부산 대교가 이어지고, 남항 대교에서 부산항 대교를 연결하는 고가도로가 지나고 있다. 고가도로 아래 대로변으로 주거지와 상가가 발달하였다. 봉래산의 서쪽 기슭으로는 산기슭을 따라 오래된 주거지가 있으며, 해안을 따라 동삼동까지 연결된 해안 산책로가 있다.
해안 산책로를 따라 곳곳에 영도의 역사[모자이크 타일 벽화]나 쉼터, 파도의 광장, 뱃놀이터 등 각종 관광 편의 시설이 들어서 있다. 자연 마을로 제2 송도 마을과 성발추 마을이 있었다. 법정동인 영선동 1가와 영선동 2가는 신선동 1가 일부를 포함하여 행정동으로 영선 1동에 속하며, 영선동 3가와 영선동 4가는 행정동인 영선 2동에 속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5.08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11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2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영선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80㎢이며, 인구는 5,948가구에 총 1만 3,160명으로 남자가 6,420명, 여자가 7,640명이다 |
2020.05.25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영선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80㎢이며, 인구는 5,925가구에 총 1만 3,558명으로 남자가 6,649명, 여자가 6,909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