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53
한자 法定洞
영어의미역 Beopjeong-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홍섭

[정의]

부산광역시 내에 있는 법으로 정해진 동.

[개설]

법정동(法定洞)은 대한민국 법정 구역으로, 법률로 지정된 행정 구역이다. 행정 운영의 편의를 위하여 설정하는 행정동은 주민 수 증감에 따라 수시로 설치 또는 폐지되지만, 법정동은 법률로 지정되어 변동이 쉽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정동 대부분은 1914년 시행된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정하여진 것이다. 동명은 대부분 예부터 전해 온 고유 지명을 사용하였으나, 부산광역시의 경우는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시가지 확장과 인구 변동, 매축으로 인한 거주지 확장 등의 변동이 많았으며, 중구서구 등 일본인 거주 지역은 일본식 지명을 사용하여 1945년 광복 이후 변동이 많았다.

[현황]

2023년 12월 기준 부산광역시의 법정동과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중구(中區)는 41개 법정동[9개 행정동]으로 광복동1-3가(光復洞1-3街), 남포동1-6가(南浦洞1-6街), 대창동1-2가(大昌洞1-2街), 대청동1-4가(大廳洞1-4街), 동광동1-5가(東光洞1-5街), 보수동1-3가(寶水洞1-3街), 부평동1-4가(富平洞1-4街), 신창동1-4가(新昌洞1-4街), 영주동(瀛州洞), 중앙동1-7가(中央洞1-7街), 창선동1-2가(昌善洞1-2街)가 있다.

서구(西區)는 24개 법정동[13개 행정동]으로 남부민동(南富民洞), 동대신동1-3가(東大新洞1-3街), 부민동1-3가(富民洞1-3街), 부용동1-2가(芙蓉洞1-2街), 서대신동1-3가(西大新洞1-3街), 아미동1-2가(峨嵋洞1-2街), 암남동(岩南洞), 초장동(草場洞), 충무동1-3가(忠武洞1-3街), 토성동1-5가(土城洞1-5街)이 있다.

동구(東區)는 4개 법정동[12개 행정동]으로 범일동(凡一洞), 수정동(水晶洞), 좌천동(佐川洞), 초량동(草梁洞)이 있다.

영도구(影島區)는 21개 법정동[11개 행정동]으로 남항동1-3가(南港洞1-3街), 대교동1-2街(大橋洞), 대평동1-2가(大平洞1-2街), 동삼동(東三洞), 봉래동1-5가(蓬萊洞1-5街), 신선동1-3가(新仙洞1-3街), 영선동1-4가(瀛仙洞1-4街), 청학동(靑鶴洞)이 있다.

부산진구(釜山鎭區)는 11개 법정동[20개 행정동]으로 가야동(伽倻洞), 개금동(開琴洞), 당감동(堂甘洞), 범전동(凡田洞), 범천동(凡川洞), 부암동(釜岩洞), 부전동(釜田洞), 양정동(楊亭洞), 연지동(蓮池洞), 전포동(田浦洞), 초읍동(草邑洞)이 있다.

동래구(東萊區)는 9개 법정동[13개 행정동]으로 낙민동(樂民洞), 명장동(鳴藏洞), 명륜동(明倫洞), 복천동(福泉洞), 수안동(壽安洞), 사직동(社稷洞), 안락동(安樂洞), 온천동(溫泉洞), 칠산동(漆山洞)이 있다.

남구(南區)는 6개의 법정동[17개 행정동]으로 감만동(戡蠻洞), 대연동(大淵洞), 문현동(門峴洞), 우암동(牛岩洞), 용당동(龍塘洞), 용호동(龍湖洞)이 있다.

북구(北區)는 5개 법정동[13개 행정동]으로 구포동(龜浦洞), 금곡동(金谷洞), 덕천동(德川洞), 만덕동(萬德洞), 화명동(華明洞)이 있다.

해운대구(海雲臺區)는 8개 법정동[18개 행정동]으로 반송동(盤松洞), 반여동(盤如洞), 석대동(石坮洞), 송정동(松亭洞), 우동(佑洞), 재송동(栽松洞), 중동(中洞), 좌동(佐洞)이 있다.

사하구(沙下區)는 8개 법정동[16개 행정동]으로 감천동(甘川洞), 구평동(舊平洞), 괴정동(槐亭洞), 다대동(多大洞), 당리동(堂里洞), 신평동(新平洞), 장림동(長林洞), 하단동(下端洞)이 있다.

금정구(金井區)는 13개 법정동[16개 행정동]으로 금사동(錦絲洞), 금성동(金城洞), 구서동(久瑞洞), 남산동(南山洞), 노포동(老圃洞), 두구동(杜邱洞), 부곡동(釜谷洞), 서동(書洞), 선동(仙洞), 오륜동(五倫洞), 장전동(長箭洞), 청룡동(靑龍洞), 회동동(回東洞)이 있다.

강서구(江西區)는 22개 법정동[8개 행정동]으로 강동동(江東洞), 구랑동(九郞洞), 녹산동(菉山洞), 눌차동(訥次洞), 대저1동(大渚1洞), 대저2동(大渚2洞), 대항동(大項洞), 동선동(東仙洞), 명지동(鳴旨洞), 미음동(美音洞), 범방동(凡方洞), 봉림동(鳳林洞), 생곡동(生谷洞), 성북동(城北洞), 송정동(松亭洞), 식만동(食滿洞), 신호동(新湖洞), 죽동(竹洞), 죽림동(竹林洞), 지사동(智士洞), 천성동(天城洞), 화전동(花田洞)이 있다.

연제구(蓮堤區)는 2개 법정동[12개 행정동]으로 거제동(巨堤洞), 연산동(蓮山洞)이 있다.

수영구(水營區)는 5개 법정동[10개 행정동]으로 광안동(廣安洞), 남천동(南川洞), 망미동(望美洞), 민락동(民樂洞), 수영동(水營洞)이 있다.

사상구(沙上區)는 8개 법정동[12개 행정동]으로 삼락동(三樂洞), 모라제1동(毛羅第1洞), 모라제3동(毛羅第3洞), 덕포제1동(德浦第1洞), 덕포제2동(德浦第2洞), 괘법동(掛法洞), 감전동(甘田洞), 주례제1동(周禮第1洞), 주례제2동(周禮第2洞), 주례제3동(周禮第3洞), 학장동(鶴章洞), 엄궁동(嚴弓洞)이 있다.

기장군(機張郡)는 5개 법정읍․면에 62개 법정리[5개 행정읍․면]가 있다. 기장읍(機張邑)은 14개 법정리로 교리(校里), 내리(內里), 당사리(堂社里), 대라리(大羅里), 대변리(大邊里), 동부리(東部里), 만화리(萬化里), 서부리(西部里), 석산리(石山里), 시랑리(侍郞里), 신천리(新川里), 연화리(蓮花里), 죽성리(竹城里), 청강리(淸江里), 장안읍(長安邑)은 14개 법정리로 고리(古里), 기룡리(奇龍里), 길천리(吉川里), 덕선리(德仙里), 명례리(鳴禮里), 반룡리(盤龍里), 오리(五里), 용소리(龍沼里), 월내리(月內里), 임랑리(林浪里), 장안리(長安里), 좌동리(佐東里), 좌천리(佐川里), 효암리(孝岩里), 정관읍(鼎冠邑)은 10개 법정리로 두명리(斗明里), 달산리(達山里), 매학리(梅鶴里), 모전리(茅田里), 방곡리(芳谷里), 병산리(屛山里), 용수리(龍岫里), 월평리(月坪里), 임곡리(林谷里), 예림리(禮林里), 일광면(日光面)은 13개 법정리로 동백리(冬柏里), 문동리(文東里), 문중리(文中里), 삼성리(三聖里), 신평리(新平里), 용천리(龍川里), 원리(院里), 이천리(伊川里), 칠암리(七岩里), 청광리(靑光里), 화전리(花田里), 횡계리(橫溪里), 학리(鶴里), 철마면(鐵馬面)은 11개 법정리로 고촌리(古村里), 구칠리(九七里), 백길리(栢吉里), 송정리(送亭里), 이곡리(耳谷里), 임기리(林基里), 안평리(安平里), 연구리(蓮龜里), 웅천리(熊川里), 와여리(瓦余里), 장전리(長田里)가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4.07.05 현행화 현황 현행화
2022.11.25 현행화 [현황] 2020년→2021년
2021.03.10 현행화 금정구 행정동 수 수정
2020.05.22 현행화 2019년 12월 기준
2019.04.29 2019년 현행화 2019년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이용자 의견
신**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2016.11.2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