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941
한자 西區
영어의미역 Seo-g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면적 13.98㎢
가구수 53,622가구
인구(남, 여) 106,206명[남 51,164명|여 55,042명]
개설 시기/일시 1951년 - 서구출장소 설치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서구출장소가 서구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63년연표보기 -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서구에서 사하출장소가 분할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서구가 됨
행정 구역 서구 - 부산광역시 서구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1951년 이 지역에 출장소가 설치되었는데, 당시 중앙동에 소재했던 부산시청을 기준으로 서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서부출장소(西部出張所)라고 불렀다. 그 후 1957년 구제를 변경하면서 서구(西區)가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서구는 1740년(영조 16) 동래부 사천면(沙川面)구초량리·대치리·신초량리·목장리·감천리·독지리·장림리·다대리에 해당하며, 대일 방어상 요충지여서 다대진성과 목장 등을 비롯한 관방 시설이 있었다. 1866년(고종 3) 사천면이 사상면(沙上面)과 사하면(沙下面)으로 나누어지며, 사하면부민리·암남리·대치리 등에 해당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민리·대치리 등은 부산부에 속하고, 암남리동래군 사하면에 속하였다.

1933년 부산부제 개정으로 방면사무소를 설치[서부 제1 방면·서부 제2 방면·서부 제3 방면·중부 제1 방면·남부 제1 방면·북부 제1 방면·북부 제2 방면·북부 제3 방면]하였는데, 이때 서부 제1 방면·서부 제2 방면·서부 제3 방면이 서구대신동·아미동·남부민동에 해당한다. 1936년 부산부(釜山府) 제1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사하면 암남리부산부에 편입되었다.

일제 강점기 후반 서구 관내의 동은 소화정(昭和町)[현 충무동]·부평정(富平町)[현 부평동]·부민정(富民町)[현 부민동]·중도정(中島町)[현 부용동]·녹정(綠町)[완월동으로 현 충무동]·곡정(谷町)[현 아미동]·토성정(土城町)[현 토성동]·암남정(岩南町)[현 암남동]·초장정(草場町)[현 초장동]·동대신정(東大新町)[현 동대신동]·서대신정(西大新町)[현 서대신동]·남부민정(南富民町)[현 남부민동]이다. 1951년 서구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와 서구 사하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 서구가 되었으며, 1966년 아미동아미 1동·아미 2동으로 분동되었고, 1975년에는 사하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여 서구에서 분할되었다. 1978년 부산진구 학장동 일부가 서대신 4동으로 편입되었으며, 1982년에는 법정동인 완월동 1가완월동 2가충무동 2가, 충무동 3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 서구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동쪽으로 중구동구, 서쪽으로 사하구, 북쪽으로 부산진구와 접한다. 서구의 북쪽은 지세가 비교적 험준한 산지가 연속되며, 이 산지가 남쪽으로 줄기를 뻗어 아미산·천마산·장군산·진정산이 남항을 감싸는 반도로 연결된다. 가장 높은 산은 엄광산(嚴光山)[504m로 고원견산으로 불렸음]으로 금정 산맥의 주능선에 솟아 있다. 이 산은 북쪽으로 백양산과 마주하며, 남쪽으로 구덕산(九德山)[565m]에 이어진다. 구덕산북구사하구의 경계를 이룬다. 북동쪽으로는 엄광산백양산 그리고 상학봉으로 연결되면서 금정산고당봉에 이어지고, 남서쪽으로 시약산승학산에 차례로 이어지면서 다대포의 몰운대까지 산세를 뻗치는데, 전형적인 노년 산지의 모습을 지녔다.

사하구와 경계를 이루는 아미산(峨眉山)[163m]은 아미동 일대에 넓게 자리 잡고 있는 구릉성 산지로 천마산의 연맥에 해당된다. 남부민동에 소재한 천마산(天馬山)[324m]은 사하구[감천동]와 경계를 이룬다. 엄광산에서 남쪽으로 송도 반도까지 이어지는 부산항 등줄 산맥 산정의 하나이다. 암남동장군산(將軍山)[152m]은 천마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등성이가 대한 해협에 몰입하여 형성된 암남 반도 중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송림산(松林山)[23m]은 송도 해수욕장의 동쪽에 자리 잡은 독립 구릉이다. 송도 해수욕장이 자리 잡고 있는 일대에서 불리는 ‘송도’라는 지명은 송림산에서 비롯되었다.

구덕천이 이들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항에 유입되어 비교적 넓은 평지를 형성하고 있다. 엄광산의 서남쪽으로 계곡이 발달하여 있으며, 구덕 고개에는 터널이 개통되어 있다. 지금의 남포동·충무동·남부민동에 이르는 지역은 일제 강점기 때 남항의 매립에 의해 형성된 매축지이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면적은 13.98㎢이며, 인구는 5만 3,622가구에 총 10만 6,206명으로 남자가 5만 1,164명, 여자가 5만 5,042명이다. 구의 서북 지역은 주거지, 동남부 지역은 어항 기능이 발달하여 있다. 남쪽으로는 남항에 접하여 수산업의 중심지이며, 감천만부산항의 보조항으로 이용된다. 중구와 인접한 대신동·부용동·부민동 일대는 주거지로 개발되어 고급 주택 지구를 이룬다. 특히 동대신동은 부산의 대표적인 주택 지구이다. 부민동에는 아미산 기슭에 주택 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대신동구덕 운동장과 많은 학교가 밀집해 교육 중심지 구실을 한다. 보수천 하류의 충무동 로터리남부민동 일대는 매립지로서 수산물 가공 공장과 냉동 회사가 있으며, 남해안 각지에서 집산된 수산물의 거래가 활발한 곳이다. 남부민동부산공동어시장이 있다. 구의 중앙을 사하구중구를 연결하는 간선 도로가 지나며, 해안과 샛티 고개에 구내의 각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 사하구와는 대티 터널과 이어지며, 북구와는 구덕 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서구 내에는 구덕 운동장을 비롯한 스포츠 시설과 여러 공원이 있다.

법정동으로 서대신동 1가·서대신동 2가·서대신동 3가·동대신동 1가·동대신동 2가·동대신동 3가·부민동 1가·부민동 2가·부민동 3가·부용동 1가·부용동 2가·토성동 1가·토성동 2가·토성동 3가·토성동 4가·토성동 5가·아미동 1가·아미동 2가·초장동·충무동 1가·충무동 2가·충무동 3가·남부민동·암남동 등 24개 동이 있다. 행정동으로는 동대신 1동·동대신 2동·동대신 3동, 서대신 1동·서대신 3동·서대신 4동,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 1동·남부민 2동, 암남동이 있다.

구의 상징물로 구목은 해송으로 아름답고 살기 좋은 서구의 발전과 늠름한 서구민의 기상을 상징하고, 구화는 목련으로 구민 화합을 상징하며, 구조는 사랑과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로 평화를 사랑하는 서구민의 의식에 부합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5.04.28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2024.07.08 현행화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2022.11.07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1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3.98㎢이며, 인구는 5만 3,853가구에 총 11만 51명으로 남자가 5만 3,521명, 여자가 5만 6,530명이다.
2020.05.22 현행화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3.98㎢이며, 인구는 5만 2,786가구에 총 11만 350명으로 남자가 5만 3,941명, 여자가 5만 6,409명이다.
2019.04.29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14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