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79 |
---|---|
한자 | 鶴章洞 |
영어의미역 | Hakja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학장(鶴章)이란 1914년 일제 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에 학성리, 장문리, 구덕리 등을 합칠 때 학성리와 장문리에서 각각 한 자씩 떼어 만들어진 지명이다. ‘학성(鶴城)’은 엄광산 기슭에 위치한 학성[고려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걸쳐 조성된 성으로 방어를 목적으로 쌓은 성을 후에 목장성으로 활용한 것으로 추정]에서 유래하였다. 학성의 명칭은 이 일대 모래펄에 학이 모여든 풍경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한편, 엄궁동 쪽에서 주례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인 ‘두루재’를 한자로 표현한 것이 학성이라고도 한다. ‘장문(場門)’은 이곳에 시장이 있어 유래된 지명으로 전한다.
[형성 및 변천]
학장동(鶴章洞) 지역에 마을이 형성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처음 동래군 사천면(沙川面)에 “장문리거관문 35리(場門里距官門 三十五里)”라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문서인 『사천면 전답재결영탈책(沙川面田畓災結永頉冊)』[1775]에는 학성과 장문의 2개 마을 지명을 확인할 수 있고, 『사상면 호적중초(沙上面戶籍中草)』[1888]에서는 장문리·학성리와 함께 구덕리가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학성리, 장문리, 구덕리를 합쳐 동래군 사상면 학장리가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며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학장동이 되었다. 1975년 부산진구의 구포출장소와 통합하여 시 직할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78년 북구 학장동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북구에서 분리되어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구의 남동쪽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감전동과 주례동, 서쪽으로는 감전동, 남쪽으로는 엄궁동과 서구, 동쪽으로는 서구와 주례동에 접한다. 남동쪽에 구덕산이 위치하고 북서쪽으로는 북동쪽에서 발원해 남서쪽으로 흐르는 학장천이 흐른다. 남동쪽의 구덕산 골짜기에서 발원한 소하천은 북쪽으로 흘러 세원 교차로 부근에서 학장천에 합류한다. 학장천을 경계로 남동쪽의 산지 쪽으로 주거 지역이 발달해 있으며, 낙동강으로 향한 북서쪽은 저지대이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5.48㎢이며, 인구는 1만 1,991가구에 총 2만 6,579명으로 남자가 1만 3,142명, 여자가 1만 3,437명이다. 동의 북쪽 경계로 가야 대로와 동서 고가 도로가, 남쪽의 구덕산 기슭을 따라서는 학장천과 나란히 발달한 학장로가 동서로 관통하며, 남북으로는 학감 대로가 통과하며 구덕 터널로 연결되어 서구로 통한다. 학장로의 북서쪽 저지대에 공단이 조성되어 있으나 기반 시설이 미흡하고 영세 기업이 밀집하여 환경이 열악한 편이다. 학장동의 자연 마을로 구덕리 마을·장문리 마을·학성리 마을·홍개 마을이 있었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2.11.14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5.48㎢이며, 인구는 1만 2,129가구에 총 2만 9,572명으로 남자가 1만 4,946명, 여자가 1만 4,626명이다 |
2020.06.04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5.48㎢이며, 인구는 1만 2,189가구에 총 3만 777명으로 남자가 1만 5,523명, 여자가 1만 5,254명이다 |
2019.05.08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