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383 |
---|---|
한자 | 機張邑 |
영어의미역 | Gijang-eup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속하는 행정 구역.
[명칭 유래]
기장의 읍내면이 있어 그 중심이라는 의미에서 기장읍(機張邑)으로 불렀다. 기장은 『서경(書經)』의 고우기장주(苦虞機張註)에 노기기장(弩機旣張)이라 하여 국토를 지키기 위하여 변방을 수비하는 의미가 있는데, 이에 바다에 닿는 첫째 마을로서 변방의 군사적 중요성을 고려해 한자화한 지명으로 추론된다.
[형성 및 변천]
기장읍 지역은 청강리 고분군 70여 기가 발굴되어 오랜 거주 역사를 알게 한다. 현재의 기장읍 지역은 조선 전기 기장현 읍내면, 남면과 동면 일부에 속하였으며, 1599년(선조 32)에 기장현이 폐지되면서 동래군에 예속되었다가 1617년(광해군 9)에 다시 기장현으로 환속하였다. 1895년(고종 32) 동래부 기장군의 읍내면, 남면과 동면 일부에 해당하였다가, 1914년 기장군이 폐지되며 읍내면과 남면을 합치고, 동면의 교동·만화동을 합쳐 동래군 기장면으로 개편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폐군되면서 양산군에 통합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가 설치되며 이 지역을 관할하였다. 1995년 부산광역시에 통합되면서 기장군이 복군되어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기장군의 남부에 위치하여 북쪽으로 일광면, 서쪽으로 철마면, 남쪽으로 해운대구와 접한다. 동쪽은 해안과 접해 있는데, 이 동부 해안 가까이에 봉대산(峰臺山)·연화봉(連花峰) 등의 해안 산지가 발달해 있고, 서부에는 양달산(陽達山)·구곡산(九谷山) 등의 높이 100∼200m 낮은 산지가 남북으로 뻗어 있다. 이들 산지 사이를 송정천(松亭川)·죽성천(竹城川)·만화천(萬化川)·서부천(西部川) 등이 동해로 흘러든다. 동부의 대변포(大邊浦) 동쪽 해상에 죽도(竹島)가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기장읍의 면적은 39.27㎢이며, 인구는 2만 6,016가구에 총 5만 2,152명으로 남자가 2만 5,466명, 여자가 2만 6,686명이다. 읍 소재지는 대라리이며, 법정동은 14개로 동부리, 교리, 신천리, 죽성리, 서부리, 대라리, 청강리, 대변리, 연화리, 만화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 내리이다. 동쪽 해안에는 기장군의 중심 항인 대변항을 중심으로 어류 어획과 양식에 의한 해조류 생산이 많다. 상설 시장인 기장 시장에서는 지역 특산물을 비롯한 각종 농산물과 수산물과 생활 잡화류가 거래되고 있다.
기장군청이 소재하고 있고, 은행 등 금융 기관이 집중해 군의 행정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1995년 부산광역시 편입과 더불어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단위 택지 개발 및 아파트 건설이 활발하다. 읍의 중앙부를 동해 남부선과 송정∼덕하 간 지방도 1019호선이 통과하고, 북서부에는 거제 울산 간 국도 14호선이 지난다. 대변리·연화리 일대에는 횟집이 밀집해 있고, 해동용궁사와 죽도의 절경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관내에 기장 읍성과 기장 향교, 죽성리 왜성이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2.11.15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면적은 39.25㎢이며, 인구는 2만 5,317가구에 총 5만 3,230명으로 남자가 2만 5,975명, 여자가 2만 7,255명이다 |
2020.07.09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기장읍의 면적은 39.26㎢이며, 인구는 2만 5,242가구에 총 5만 5,567명으로 남자가 2만 7,081명, 여자가 2만 8,486명이다. |
2019.05.08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