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574
한자 竹城里
영어의미역 Jukse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리
면적 3.09㎢
가구수 1,145가구
인구(남, 여) 1,531명[남 456명|여 1,075명]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월전동과 두호동을 병합하여 기장면 죽성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동래군이 폐군되면서 양산군에 통합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양산군 기장면에서 양산군 기장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6년연표보기 - 양산군 동부출장소 설치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로 개편
법정리 죽성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죽성리(竹城里)는 지역에 축조된 죽성에서 비롯되었다. 신라 시대의 토성(土城)인 고성(古城)이 있는데, 이를 죽성이라고 하였다. 고성 사방에 대[竹]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불린 이름으로 추정된다.

[형성 및 변천]

죽성리는 조선 시대에 두모포진성이 있던 곳이다.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1449]에 “현에서 동쪽 5리에 있고 수군만호(水軍萬戶)가 수비하고 있다”라는 기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 “두모포영은 수군만호가 있고 중종 5년[1510]에 설치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또 임진왜란 당시 축조된 왜성이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 두모포의 만호영은 부산진성(釜山鎭城)으로 이전하였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는 기장현 읍내면 두모포로 기록되어 있고, 1895년(고종 32) 동래부(東萊府) 기장군 읍내면 월전동두호동이었으며, 1914년 동래군으로 귀속되며 월전동두호동을 병합하여 기장면 죽성리가 되었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통합되었고, 1980년 양산군 기장면양산군 기장읍으로 승격하였으며,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가 되었다.

[자연 환경]

죽성리봉대산[228m]을 중심으로 한 산지가 남쪽으로 발달해 있다. 동쪽으로는 동해와 접해 있으며, 서쪽 산지에서 발원해 남북의 두 산지 사이를 흐르는 죽성천동해로 흘러든다. 죽성천 북쪽으로는 평지가 발달해 있으며, 동해로 유입하는 하구에는 죽성항이 있다. 동쪽 해안에는 해송이 자리 잡은 사구가 있고, 대부분은 암석 해안으로 작은 넙둑 바위·큰 넙둑 바위·작은 거무 섬·큰 거무 섬 등 기암괴석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3.08㎢이며, 인구는 1,065가구에 총 1,406명으로 남자가 409명, 여자가 997명이다. 법정리인 죽성리에는 행정리 월전, 두호, 원죽 1,2 리가 있다. 법정리인 죽성리는 행정리로 두호리, 원죽 1리·원죽 2리, 월전리가 있다. 죽성리기장읍의 북동쪽에 위치해 북쪽은 일광면 학리, 서쪽은 신천리, 남쪽은 대변리와 접하고 있다. 동쪽 만에는 죽성항과 죽성 등대가 있으며, 남서쪽의 봉대산 북동쪽 끝자락에서 연결된 작은 언덕에는 죽성리 왜성이 있고, 해안가에는 두모포진성 터가 남아 있다.

그리고 죽성천변에는 신앙촌[시온식품]이 있으며, 해안가 쪽으로 기장 해변로가 지나간다. 자연 마을로는 두호 마을, 원죽 마을, 월전 마을이 있다. 두호 마을의 지명은 두모포진에서 비롯되었고, 두호 마을 위쪽에 위치한 원죽 마을에는 임진왜란 때 일본에 납치된 도공들의 넋을 기리는 무명 도공비가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11.14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2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3.09㎢이며, 인구는 1,204가구에 총 1,637명으로 남자가 475명, 여자가 1,162명이다
2020.07.09 현행화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3.09㎢이며, 인구는 1,221가구에 총 1,701명으로 남자가 494명, 여자가 1,207명이다
2019.05.08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