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68
한자 東海線
영어의미역 Donghae Railroad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철도
길이 145.8㎞
차선 복선
1,435㎜
준공 시기/일시 1936년 12월 1일연표보기 - 개통
증설|폐설 시기/일시 1930년 7월 10일 - 부산진 방면으로의 공사가 시작
증설|폐설 시기/일시 1990 4월~9월 - 동해 남부선 부전~울산 구간 복선 전철화 예비타당성조사 실시
증설|폐설 시기/일시 2011년 11월 30일 - 광역철도 폐지 일반철도로 격상
증설|폐설 시기/일시 2016년 4월 29일 - 기존 동해남부선을 동해선으로 개칭
증설|폐설 시기/일시 2016년 12월 30일 - 부전역∼일광역 구간 복선전철 개통
전구간 동해 남부선 - 부산광역시~경상북도 포항시
해당 지역 경유 구간 부산진역 -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55지도보기
해당 지역 경유 구간 포항역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당로 91번길 7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역과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역을 잇는 철도 노선.

[명칭 유래]

동해의 남부 해안을 따라 부설된 철도라 하여 동해 남부선(東海南部線)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016년 4월 29일 동해선(東海線)으로 개칭하였다.

[제원]

동해 남부선의 길이는 145.8㎞이고 궤간은 1,435㎜의 표준 궤로이다. 전 구간이 단선화되어 있으며, 범일역에서 부전역까지의 2.5㎞ 구간은 전철화되어 있다. 구간 전체에 38개 역이 운영 중이다. 부산∼울산 구간과 울산∼포항 구간의 복선 전철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건립 경위]

동해 남부선은 1918년 10월 31일 762㎜ 협궤로 경주~포항 간 노선이 조성되었다. 일제 강점기 동해안의 석탄과 목재, 광물, 해산물 등을 반출하고 함경선과 부산을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건설된 동해선의 일부 구간이다. 본래 원산~포항, 울산~부산까지의 두 구간 연결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완공되지 못하였다.

[변천]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부산부터 원산까지의 동해선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1,435㎜ 표준 궤도 확장 공사를 진행하였으며, 1930년 7월 10일 부산진 방면으로의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4년 7월 16일에는 부산진~해운대 간 18.9㎞ 구간이 개통되었고, 해운대~좌천 간 22.3㎞는 1934년 12월 16일에, 좌천~울산 간 31.8㎞는 1935년 12월 16일에 개통되었다.

1921년 10월 25일 개통한 울산~경주~포항 간 경동선(慶東線)은 1935년 6월부터 광폭 궤도 공사에 착수하였으며, 1936년 12월 1일 준공해 부산진에서 포항에 이르는 동해 남부선을 운행하였다. 울산시의 팽창으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 이설 필요성이 제기되어 1992년 8월 20일 울산역이 울산시 중구 학성동에서 남구 삼산동으로 이전되고 태화강역으로 개칭되는 등의 이설 공사가 있었다.

1990년에는 부산직할시의 광역 철도 구상 사업으로 동해 남부선 부전~울산 구간 복선 전철화 예비타당성조사 실시되었고, 2000년 11월 14일 광역철도 지정 고시되어, 2003년 6월 4일 부전역~일광역, 덕하역∼태화강역 구간 노반공사를 착공하였다. 2011년 11월 30일 광역철도 지정폐지로 일반철도로 전환되어 전액 국비 지원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2013년 12월 일광역∼덕하역 구간 노반공사 착공하였고, 해운대 도심 관통 구간은 해운대신시가지로 우회 지하화 하여 신해운대역과 송정역을 이설하였다. 2016년 12월 30일 1단계 부전역∼일광역 구간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고, 2단계 일광역∼태화강역 구간은 2018년 개통 예정이다.

[현황]

전 구간을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동해선부산광역시 부산진역을 기점으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를 거쳐 종점인 포항시 포항역까지의 구간이다. 동해선은 부산광역시 동구·부산진구·연제구·동래구·해운대구·기장군을 통과하며 관내 역으로는 부산진역, 범일역[부산진역 기점 2.1㎞], 부전역[부산진역 기점 4.6㎞], 거제해맞이역[부산진역 기점 7.8㎞], 거제역[부산진역 기점 9.1㎞], 동래역[부산진역 기점 10.6㎞], 안락역[부산진역 기점 11.9㎞], 재송역[부산진역 기점 13.6㎞], 신해운대역[부산진역 기점 18.9㎞], 송정역[부산진역 기점 25.4㎞], 기장역[부산진역 기점 32.9㎞], 일광역[부산진역 기점 35.9㎞], 좌천역[부산진역 기점 41.2㎞], 월내역[부산진역 기점 44.6㎞]이 있다. 이후 연결 구간인 울산광역시의 태화강역까지 광역 복선 전철화 사업은 2016년 12월 30일 1단계 부전역∼일광영 구간이 개통되었고, 2단계 일광역∼태화강역 구간은 2018년 개통 예정이다.

동해선은 기점인 부산진역에서 경부선·우암선과 접속하며, 범일역에서는 가야선, 부전역에서는 부전선과 접속하고 경주역에서는 중앙선과 연결된다. 2008년에 219만 2755명의 여객을 수송하였고, 36만 2358톤의 화물을 수송하였다. 또한 부산광역시 관내의 역은 도시 철도와도 연결되는데, 부산진역은 부산 도시 철도 1호선 부산진역, 부전역은 부산 도시 철도 1호선 부전역, 거제역은 부산 도시 철도 3호선 거제역, 교대역은 부산 도시 철도 1호선 교대역, 동래역은 부산 도시 철도 4호선 낙민역, 백스코역은 부산 도시 철도 2호선 백스코역과 연결된다.

동해선은 다기능 철도인데, 포항·울산·온산 등 우리나라 최대의 임해 공단을 끼고 있는 연안 간선 철도로서의 화물 수송 기능이 뚜렷하다. 또한 해운대부터 송정, 기장, 포항까지 이어지는 임해 철도 구간은 관광지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부산과 울산을 연결하는 복선 전철화 사업이 완공되면 부산~울산 간 통근형 전동차와 전기 기관차 운행으로 대도시 교통난 해소와 두 도시간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