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812 |
---|---|
한자 | 現代-歲時風俗 |
영어의미역 | Seasonal Customs in Contemporary Times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승찬 |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주로 양력을 주기로 일 년에 한 번 일정한 날에 행해지는 현대의 풍속.
[개설]
현대의 세시 풍속은 명절을 제외하고는 일 년을 단위로 한 단순한 시간의 흐름으로 인식하고 있다. 부산 지역의 세시 풍속을 보면 설, 한식날 성묘, 추석, 시월 묘사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양력 4월, 5월, 8월, 10월 등의 축제 때 전통 문화적 연희와 놀이들이 재현되고 있을 뿐이다. 음력의 세시에 따른 기축(祈祝)과 벽사진경(辟邪進慶), 이방과 액막이, 금기(禁忌), 점복(占卜), 시식(時食) 등도 현대의 과학적·합리적 사유 체계에 따라 소멸 상태에 이르고 있다.
[내용]
부산광역시에서 아직도 행해지고 있는 현대의 세시 풍속을 제의(祭儀)를 비롯하여 미약하나마 행해지는 기축·벽사진경, 이방·액막이, 금기, 점복, 시식, 놀이, 윤달 등은 물론, 현대 젊은이들에 의하여 새롭게 탄생된 신풍속 등으로 세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의
부산광역시에서 일 년에 한 번 행해지는 제의 중 대표적인 것이 설과 추석의 제의이다. ‘설’과 ‘추석’은 3일간의 연휴로 되어 있어 다른 날에 비해서 여유 있게 보내는데, 설날의 정조 차례와 가을에 벌초하면서 추석 차례를 지내고 해외나 국내의 명승지를 가족 단위로 여행을 갔다 온다. 그리고 지연적 결속을 다지는 공동 제의인 당산제와 혈연적 결속을 다지는 한식날 성묘제와 음력 10월의 종중(宗中) 묘사는 그대로 행해지고 있다. 그 외, 음력에 따른 정월의 가택신제[성주·조왕·업장군·조상단지], 삼재풀이, 안택굿 등과 2월의 영동할매제, 3월의 용왕제, 4월의 용왕 먹이기, 6월의 유두천신제(流頭薦新祭)와 용신제(農神祭), 7월의 백중재, 9월의 중양제, 10월의 우마제·안택굿·조상단지 햇곡 갈기제, 11월의 동지 팥죽제, 12월의 조왕제는 농어촌의 나이 든 주부가 더러 행할 뿐이고, 배고사는 작은 어선을 가진 가정에서만 때로 행할 뿐 이전과 같이 널리 행해지지는 않고 있다.
2. 기축·벽사진경
기축과 벽사진경의 경우, 부산 지역에서는 보통 정초에 덕담(德談)하기와 복조리 걸기, 입춘에 춘첩자(春帖子) 붙이기, 정월 대보름에 귀밝이술 먹기와 부럼[嚼癤] 깨물기, 달맞이, 2월에 개구리 알 먹기, 3월에 고로쇠 물 먹기, 4월 초파일에 불교 신도들이 절에 가서 연등 걸기와 칠석의 칠석 불공 및 백중재와 동지 불공 등이 행해지고 있다.
3, 이방·액막이
이방과 액막이의 경우 농촌의 나이 든 주부가 동짓날 팥죽을 쑤어 집안에 잡귀의 범접을 막기 위해 팥죽 물을 집안 곳곳에 뿌리는 풍속이 남아 있을 뿐 다른 풍습은 거의 사라졌다.
4. 금기
금기로는 영동할매가 내려오는 음력 2월과 액달인 음력 6월, 그리고 그해의 마지막 달인 음력 섣달에는 결혼 당사자들 사이에 액운이 끼일까봐 결혼을 되도록 하지 않는 모습으로 그 흔적이 남아 있다.
5, 점복
점복으로는 세말(歲末)이나 정초에 『토정비결(土亭秘訣)』을 보고, 윷놀이를 하여 그해의 운수를 점치고, 음력 3월에 농촌에서는 “당산나무[서낭나무]의 잎이 한꺼번에 피면 풍년이 들고 드문드문 피면 흉년이 든다.”고 점친다.
6. 시식
시식으로는 설날에 떡국·수정과·식혜·강정 등이 있고, 대보름에 오곡밥·약밥 등을 해 먹는다. 음력 3월에는 숭어회와 도다리회 등을 먹고, 음력 4월에는 죽순을 삶아 먹기도 한다. 단오에는 쑥떡이나 수리취떡을 먹고, 6월에는 칼국수와 콩국수 등을 해 먹는다. 복날에는 삼계탕과 보신탕[개장국] 등을 먹는다. 음력 7월에는 밀국수와 육개장을 먹고, 추석에는 송편과 연계탕을 해 먹는다. 음력 9월에는 추어탕과 전어회를 먹고, 10월 상달의 묘제에서는 시루떡과 인절미 등을 해 먹는다. 동짓날에는 팥죽과 대구구이를 먹고, 섣달에는 동치미·담근 연시(軟柿)··호박떡 등을 먹는다.
7. 놀이
부산 지역의 경우 현대에도 놀이하는 풍속은 남아 있다. 놀이는 주로 어린아이들을 중심으로 이어진다. 남아 놀이로는 딱지치기·구슬치기·숨바꼭질·연날리기·제기차기·팽이치기 등이, 여아 놀이로는 고무줄놀이·살구받기[공기놀이]·술래잡기·소꿉놀이 등이 있다. 성인 놀이는 주로 축제의 현장 등에서 행해지는데, 남자 놀이로는 농악·지신밟기·씨름 등이 있고, 여인 놀이에는 그네뛰기·널뛰기 등이 있으며, 남녀 공용으로 윷놀이·화투놀이 등을 한다.
8. 윤달
윤달(閏月)에 대한 풍속은 현대에도 이어져 탈 없는 달, 손 없는 달, 또는 공달·덤달이라 한다. 윤달에는 평상시 기피했던 일들인 집수리, 담 고치기, 이사하기, 조상 묘 손질과 이장하기 등을 행한다.
9. 신풍속
현대에 젊은 층에 의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세시 풍속은 주로 계절과 상술적(商術的)인 이벤트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 많다. 이들은 보통 양력을 기준으로 행해지고 있다. 양력 1월 14일은 다이어리데이(Diary day), 2월 14일은 밸런타인데이(Valentine Day), 3월에는 삼겹살데이[3월 3일]와 화이트데이(White Day)[3월 14일] 등이 있다. 4월 14일은 블랙데이(Black Day), 5월 14일은 로즈데이(Rose day)와 옐로우데이(Yellow day), 6월 14일은 머그데이(Mug day)와 키스데이(Kiss day)이다.
7월 14일은 링데이(Ring day)와 실버데이(Silver day)이고, 8월 14일은 그린데이(Green day)·껌데이(Gum day)·달데이(Doll day) 등이라고 한다. 9월 9일은 구구데이, 9월 14일은 뮤직데이(Music day)와 포토데이(Photo day)이다. 10월 14일은 레드데이(Red day)와 와인데이(Wine day)이며, 10월 24일은 사과데이이다.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 11월 14일은 무비데이(Movie day)·오렌지데이(Orange day)·쿠키데이(Cookie day) 등이다. 12월 14일은 머니데이(Money day)·허그데이(Hug day)·양말데이 등이며, 12월 25일은 성탄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