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진도문화대전 > 진도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언어·문학) > 언어
-
전라남도 진도지역에서 쓰이는 토박이 언어를 통칭하는 말. 진도 방언은 적어도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전라남도 전역에서 두루 쓰이는 방언, 전라남도의 하위 방언인 서남부 방언[무안, 목포, 영암, 신안, 완도, 진도, 해남, 강진, 장흥 등의 방언]에 속하는 요소, 그리고 진도 지역에서만 쓰이는 고유한 표현 등이 그것이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풍자·교훈·비판 등이 담긴 짧은 구절. 속담은 민중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이다. 그래서 간결한 형식 속에 민중의 생활철학을 담고 있으며 표현은 고상하기보다 비속한 것이 많다. 또한 속담은 민중의 풍속·관습·신앙 등을 반영하고 있다. 더불어 속담에는 예리한 풍자, 엄숙한 교훈, 실감나는 비유 등이 살아 있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언어유희로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놀이.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않고 빗대어서 말하여 그 사물의 뜻이나 이름을 알아맞히는 놀이이다. 음운을 되풀이하거나, 무언가에 빗대어 표현한 물음에 재치 있는 대답을 요구하는 말장난이라고도 할 수 있다....
-
전라남도 진도지역에서 일상생활 혹은 의례 등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기를 꺼리는 말이나 행동. 금기는 일상생활이나 종교적 의례에서 어떤 대상에 대한 접촉이나 언행을 제한하는 관습을 일컫는다. 금기에는 행동이나 표시로 하는 것과 말로 하는 것의 두 유형이 있다. 신성한 제의 공간에 황토를 뿌리고 금줄을 쳐 사람의 출입을 막는 것은 전자에 해당하고, “밥 먹고 금방 누우면 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