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838
한자 俗談
영어음역 sokdam
영어의미역 proverb
이칭/별칭 이언,속언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박병훈박종오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풍자·교훈·비판 등이 담긴 짧은 구절.

[개설]

속담은 민중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이다. 그래서 간결한 형식 속에 민중의 생활철학을 담고 있으며 표현은 고상하기보다 비속한 것이 많다. 또한 속담은 민중의 풍속·관습·신앙 등을 반영하고 있다. 더불어 속담에는 예리한 풍자, 엄숙한 교훈, 실감나는 비유 등이 살아 있다.

[현황]

진도군의 속담에 자주 등장하는 어휘는 물·집·사람·밥·말[言]·발[足]·개·똥·소·떡 등으로 일상적이고 비속적이다.

1.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속담

다음 속담의 예에서는 진도군의 역사적 사실, 지역, 벼슬의 이름 등을 볼 수 있다.

·가뭄에는 향동(香洞) 사람이 양반

·금갑만호 밥상은 파래가 열두 접시

·무자년(戊子年) 방죽 파듯 한다.

·박응하[의신면 하굴리 태생] 힘쓰듯 한다.

·소포리 백안산이 잔꾀 부리듯 한다.

·고군면장 맥주 따르듯 한다.

·유조[사람이름] 해창 갔다 오듯 한다.

·읍내서 뺨 맞고 꿀재[굴치고개]에서 눈 감춘다.

·중 삼밭[의신면 사하리] 지나가듯 한다.

2. 농사 관련 속담

농사와 관련한 속담은 절기의 중요성, 농부가 바로 보는 논의 가치 등을 이야기하는 속담이 주를 이룬다.

·보리 끝나기 반늙은이 얼어죽는다.

·샘배미보다 샘배미 아랫배미가 더 좋다.

·십년 대한(大旱)에도 살아났다.

·억지가 무논 서마지기보다 낫다.

·오뉴월 병아리 하룻볕이 아쉽다.

·석 달 가뭄은 살아도 한 달 장마에는 못 산다.

3. 바다와 관련된 속담

바다와 관련된 속담은 해조류나 어류와 관련된 것이 있고, 생활 속에서 얻어진 지혜를 나타내는 속담이 많다.

·갈치 제 꼬리 잘라 먹는다.

·갈포래[파래과의 해초]로 귀신 속인다.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잘 먹는다.

·고기도 익기 전에 곶대부터 익는다.

·고린데 젓국 친다.

·배는 부자간에 안 탄다.

·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

·초친 새우 뛰듯 한다.

·한 물에 쌓인 고기

4. 남녀와 관련된 속담

남녀와 관련된 속담에는 부부와 관련된 속담, 남녀 이성의 애정에 관한 속담, 남녀 차별적 속담 등이 있다.

·계집하고 전답은 주인이 따로 없다.

·고무신도 짝이 있다.

·과부가 과부 속 안다.

·과부는 금이 서 말, 홀아비는 이가 서 말

·과부는 일이 많아야 산다.

·그 씨엄씨 난 부엌에 그 며느리 들어온다.

·백여우하고는 살아도 능구렁이하고는 못 산다.

·부부간도 등 돌리면 남남이 된다.

5. 일상생활의 속담

일상생활의 속담은 가정 경제, 즉 살림과 관계된 속담들이다. 가난한 살림에 대한 속담, 효심과 관련된 속담, 가족과 관련된 속담 등이 있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 한다.

·굶어 죽어도 배 터져 죽었다고 한다.

·못생긴 며느리 제삿날 병난다.

·못된 자손 선산 뒷꼭지 팔아먹는다.

·병신 자식이 효자 노릇한다.

·선산치레 못 했으면 비위치레라도 해라.

·슝늉도 위아래가 있다.

·씨도둑은 못 한다.

·어릴 때는 외갓집 것, 커서는 문중 것 먹고 산다.

·어미가 미우면 새끼도 밉다.

·왕대밭에서 왕대 난다.

·의붓어미 벌초하듯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