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진도문화대전 > 진도향토문화백과 >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 경제·산업 > 특산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유명한 물품. 진도 지역에서 유명한 특산물로는 미역, 김, 구기자, 대파, 울금, 흑미, 홍주 등을 들 수 있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의 바다나 강 따위의 물에서 나는 동식물. 진도 미역은 조선 전기부터 진도 특산물로 조선 중기 이후 진상품이 되었다. 진도 서해안의 해태도 조기산으로 진상품의 하나가 되었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 해안에서 자라는 모자반과 해조류. 모자반은 모자반과(Sargassaceae)를 대표하는 종으로 일반적으로 참몰 또는 참모자반이라고 부른다. 갈조류인 모자반은 톳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고 짙은 황갈색을 띠고 있다. 자웅이주이며, 타원형 또는 도란형의 기포 끝에 미철도 또는 소엽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 연안에서 생산되...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서식하는 원시복족목 전복과에 속하는 타원형의 연체동물. 전복의 일반성분은 단백질 약 13%, 지방 0.5%, 당질 4.2%, 무기질 약 2.0%이다. 이 외에 미량 함유되어 있는 글루탐산, 아데닐산, 글리신, 베테인 등의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이 전복의 독특한 향과 맛에 관여한다. 또 수분이 약 80%로 쉽게 부패할 수 있으므로 여름철에는 주의하여 먹어야 한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재배되는 겉이 검은색을 띠는 특산 쌀. 흑미는 중국 품종이 전세계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종류는 수백 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0여 종의 흑미가 재배되고 있으며 그 품종에 따라 색깔에 큰 차이를 나타낸다. 검은색의 정도가 진한 것에서부터 연한 것, 검은색과 검붉은색이 혼재하는 것이 있다. 보통 검정약쌀을 줄여 검정쌀이라 한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수확하는 작은 고추와 같은 붉은 과실의 구기자나무 열매. 구기자나무는 저지대의 토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높이 1~2m의 낙엽 관목으로, 줄기는 직립하지 않고 약간 덩굴지게 자란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길이 2~4㎝, 폭 1~2㎝로 열린다. 초가을부터 엷은 자색이나 백색의 작은 꽃을 피우고 늦가을에 작은 고추와 같은 붉은 과실을 맺는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자라는 홍조류 보라털과의 해조류. 진도에서 김은 해태(海苔), 해의(海衣), 해우 등으로 부른다. 바다의 바위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라는데, 바로 수확한 해조는 ‘물김’이라 하고, 이를 말린 것은 ‘김’이라 부른다. 진도에서 김이 생산되는 곳은 동남쪽 바다로 갯벌이 발달한 원품, 회동, 수품 등지이며, 수협에서 위탁 판매가 이루어진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겨울철에 생산되는 잎의 수가 많은 계통의 파. 진도 대파는 썰어 국에 넣으면 위로 떠오른다. 다른 지역의 대파가 그릇 밑에 가라앉는 것과는 반대되는 현상이다. 또 대파 잎을 꺾었을 때 새어나오는 끈끈한 액체가 타 지방의 것보다 훨씬 많다. 그리고 그 액체에 함유된 영양과 향기, 맛이 다른 지역의 것보다 더 풍부하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 해안에서 자생하는 갈조류 미역과의 해조류. 진도 미역은 돌미역·진도곽이라고도 하며, 자연산돌미역과 양식미역으로 구분한다. 조도면 일대 해역은 수심이 깊어 갯벌이 없는데다 섬 사이를 지나는 물살이 빨라 오염된 바닷물이 머무를 틈이 없다. 섬의 바위와 절벽에 붙어 자라는 진도돌미역은 생명력이 강해 질기면서 바다의 영양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
전라남도 진도군 등지에서 재배되는 다년생 초본식물. 울금(鬱金)은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열대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이다. 땅속에 굵은 뿌리줄기가 있으며, 표면에는 바퀴 모양으로 마디가 있다. 뿌리줄기는 향신료 외에 노란색 염료를 만드는 데도 쓴다. 울금은 카레의 주원료로 사용되는데, 울금차, 울금 엑기스 등으로도 만들어 먹는다. 또한 가공을 통해 울금 비누, 울금 청국환(...
-
전라남도 진도 지역 해안 일대에 자생하거나 지역 사람들이 양식하는 모자반과 해조(海藻). 톳은 갈조식물 모자반과에 속하는 바닷말의 일종이다. 조간대 하부 경사가 완만한 암초 지대나 파도가 심하지 않으며 펄이 약간 덮인 지역에 군락을 이루며 자생한다.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줄기는 원뿔형이다. 잎은 주걱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톳의 어린 유체(幼體)나 포복지(匍匐枝)[헛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