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682
한자 海産物
영어음역 haesanmul
영어의미역 seafood
이칭/별칭 수산물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김정호박종오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의 바다나 강 따위의 물에서 나는 동식물.

[개설]

진도 미역 은 조선 전기부터 진도 특산물로 조선 중기 이후 진상품이 되었다. 진도 서해안의 해태도 조기산으로 진상품의 하나가 되었다.

근래 모자반과 뜸부기는 오염으로 인해 자연산이 줄어들자 인공 양식법을 개발하였다. 다시마는 전복의 먹이로 진도에서 많이 생산되며, 민어와 조기도 많이 생산되고 있다.

한때 대일 수출품으로 상조도 성등포에 파시가 섰던 꽃게는 서망항을 중심으로 국내 최대 위판량을 보이고 있다.

2007년부터 양식 매생이가 출하되었고, 2005년부터 청각 양식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넙치, 해삼, 전복의 종묘 사업도 시작되어 어획량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현황]

2022년 12월 기준, 진도의 주요 해산물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해조류 양식은 967어가에서 23만 442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어패류 등 양식은 753어가에서 6,866톤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잡는 어업은 689어가에서 1,652톤을 생산하고 있다.

품목별 해조류 양식 현황은 다음과 같다. 김은 198어가에서 101건, 148.13㎢를 경영하여 10만 1167톤을 생산하고 있다. 미역은 176어가에서 71건, 23.04㎢를 경영하여 5만 2730톤을 생산하였다. 다시마는 210어가에서 144건, 18.01㎢를 경영하여 6만 9762톤을 생산하였다. 톳은 316어가에서 151건, 16.41㎢를 경영하여 3,992톤을 생산하였다. 참모자반은 55어가에서 20건, 1.79㎢를 경영하여 2,777톤을 생산하였다. 육상 종자는 12어가에서 12건, 0.054㎢를 경영하여 14톤을 생산하였다.

어패류 등의 양식 현황을 품목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성패 전복은 220어가에서 149건, 7.85㎢를 경영하여 4,121톤을 생산하였다. 전복 종자는 239어가에서 217건, 0.236㎢를 경영하여 1,182톤을 생산하였다. 굴은 310어가에서 17건, 2.5㎢를 경영하여 521톤을 생산하였다. 넙치는 13어가에서 13건, 0.05㎢를 경영하여 886톤을 생산하였다. 해삼은 8어가에서 30건, 0.03㎢를 경영하여 42톤을 생산하였다. 새우 및 갯지렁이 등은 7어가에서 11건, 0.082㎢를 경영하여 114톤을 생산하였다.

잡는 어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꽃게는 31어가에서 1,065톤, 낙지는 65어가에서 68톤, 멸치는 174어가에서 102톤, 그리고 기타 어류는 419어가에서 417톤을 생산하였다.

어장 개발 면적을 보면 양식 어업은 해조류 192.78㎢, 패류 11.48㎢, 어류 0.15㎢, 복합 28.98㎢ 등 233.48㎢가 허가되어 있다.

이 외에도 수산 가공 현황을 보면 김은 20업체에서 4,418톤, 미역은 9업체에서 957톤, 다시마는 9업체에서 216통 등을 가공하고 있다.

어업 허가 현황을 보면 연안 복합 331건, 연안 통발 96건, 연안 기타 63건, 어회성구획 어업 41건, 각망 97건, 낭장망 462건, 기타 정치성 구획 어업 19건, 근해 어업 30건, 어획물 운반업 10건, 육상 해수 양식 27건, 육상 종자 생산 248건 등 1만 2424건 등이다.

[참고문헌]
  • 『진도군지』 (진도군·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7)
  • 진도군청(https://www.jindo.go.kr/home/main.cs)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