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과 해운대구 재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과정교는 다리의 서쪽으로 과정로와 정과정 교차로가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수영강 하구에 4번째로 건립된 다리라 하여 수영 4호교로도 불린다. 교량의 길이는 313m, 폭은 중앙 분리대 없는 30m로, 2개의 아치교를 연결한 왕복 6차로로 건설되었다. 교량 바깥쪽으로는 보도와 자전거 도로 2개소가...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 광안리 앞바다를 지나는 해상 교량이라서 광안대교로 이름 붙여졌다. 광안대교는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현수교는 중앙에 있고 양측에 각각 360m씩 3경간 연속 2층 트...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과 해운대구 우동을 연결하는 다리. 수영 2호교는 수영강을 지나는 다리로 수영 1호교에 이어 건설된 교량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민락동을 지난다 하여 한때 민락교라고도 부르기도 했다. 수영 2호교는 수영강이 바다로 흘러드는 수영만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교량의 높이는 10m, 길이는 접속 도로 500m에 교량 500m로 총...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과 해운대구 우동을 연결하는 다리. 수영교는 수영강을 지나는 다리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수영강 하구 쪽에 처음 건립된 교량이라 하여 수영 1호교라고도 불렀다. 수영교는 수영강의 하구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다리로 교량의 높이는 5m이다. 길이는 접속 도로 340m, 교량 180m로 총 520m이다. 폭 45m의 왕복 8차선 교...
-
동해 남부선 철도 선로를 연결하기 위해 1934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건설한 일반교. 연정천교 교량의 길이는 10.32m이며 형태는 직선이고, 폭은 2m정도이다. 교량에는 5.62m 길이의 2개의 교각이 있고, 교각의 구조는 ‘I’형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교량의 높이는 평균 2.1m 정도이다. 상판은 I-형의 관을 사용한 철골 트러스 구조로...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과 해운대구 우동을 연결하는 다리. 좌수영교는 수영강 서쪽 좌수영로와 연결되는 다리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수영강 에 건립된 3번째 교량이라 하여 수영 3호교라고도 부른다. 교량의 높이 4.5m, 길이 310m, 폭 29.1m의 왕복 6차선로이다. 좌수영교의 교각과 교각 사이는 110m 정도로 최대한 넓혀 다리 밑으로 유람선과 요트가 통...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강중학교 앞에서 남천동 KBS 삼거리까지 이어지는 도로. 광안동과 남천동을 통과하는 도로라 하여 두 지명의 앞 글자를 따서 광남로라고 이름 붙였다. 광남로는 길이 3,350m, 폭 20m의 4차선 도로이다. 수영 2호교를 통해 해운대에서 광안동을 지나 남천동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건립되었다. 광남로는 19...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 충전소에서 시 경계선까지 이어지는 도로. 기장군의 중심 시가지를 통과하는 도로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기장 대로는 길이 25㎞, 폭 30~40m의 6~8차선 도로이다. 부산과 기장, 울산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로 건립되었다. 해운대에서 기장군을 거쳐 울산으로 이르는 옛 도로가 도시화되고 기장과 부산·울산 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송정 해변 입구 사거리에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까지 이어지는 도로. 기장 지역의 해안을 따라 조성된 도로라서 붙은 이름이다. 도로의 길이는 12.5㎞로 송정 해수욕장에서 대변항까지의 7㎞가량은 왕복 4차로이며, 이후는 2차로이다. 도로의 폭은 8~16m이다. 기장군의 해안가와 포구를 연결하는 옛 도로를 확장 포장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 1동 주민센터 옆에서 청운교까지 이어지는 도로. 동백섬으로 향하는 도로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동백로는 길이 2,083m, 폭 12~30m의 2~4차선 도로이다. 동백로는 1978년 6월 3일 웨스턴 조선 호텔 부산이 개관하며 그 연결로로 조성되었으며, 동백섬을 돌아가는 연안 가로까지 연결되었다. 동백섬 연안 가로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왕자 맨션 삼거리에서 태광산업 반여 공장 후문에 이르는 도로. 반여동을 통과하는 도로라서 붙은 이름이다. 가로명이 제정되기 전까지는 무지개 길로 통용되었다. 반여로는 길이 2,645m, 폭 20m의 2~4차선 도로이다. 반여로는 일제 강점기 육군기술병과학교의 개소 및 6·25 전쟁 당시 포로 수용소 위치 등으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수영 2호교 입구에서 금정구 회동 고가교에 이르는 도로. 도로 구간의 대부분이 수영강 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붙은 이름이다. 수영 강변 대로는 길이 8,200m, 폭 30~35m의 6차선 도로이다. 수영 강변 대로는 1990년대 반여동과 재송동 지역이 개발되며 교통 수요가 증가하고, 구서동에서 원동 IC까지 번영로와 해...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과 해운대구 우동을 연결하는 도로.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영을 줄여서 좌수영 또는 수영이라 했고, 좌수영은 임진왜란 직전부터 구한말까지 경상 수군의 요충지였다. 경상 좌수영의 치소였던 수영성을 지나는 길이라 하여 수영로라는 명칭이 붙었다. 문현 교차로에서 수영교까지 길이는 8,100m이고, 폭은 30m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왕복...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올림픽 교차로에서 송정 터널 어귀 삼거리까지 이어지는 도시 고속 도로. 장산을 통과하는 도로이기 때문에 장산로로 명칭이 정해졌다. 장산로는 길이 5.01㎞, 폭 33m의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장산로 구간 중 장산 터널에서 좌동 지하 차도까지의 구간은 왕복 6차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가 도로와 지하 차도가 각 1개소 있...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제2 만덕 터널 입구에서 해운대구 우동 수비 삼거리까지 이어지는 도로. 도로가 충렬사 앞으로 통과하고 있어 붙은 이름이다. 충렬 대로라고도 부른다. 충렬로는 길이 5,200m, 폭 20~30m의 6차선 도로이다. 충렬로는 만덕 고개에서 동래 읍성 남문을 거쳐 해운대로 이르는 옛길이었는데, 부산의 도시화로 확장 포장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원동 IC에서 송정 충전소에 이르는 도로. 해운대를 통과하는 주간선 도로라서 붙은 이름이다. 해운대로는 길이 1만 2500m, 폭 30~40m의 6~8차선 도로이다. 해운대로는 재송동에서 해운대로 연결되던 소도로를 확장 포장해 건립한 도로이다. 원동 IC에서 해운대 해수욕장을 거쳐 송정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개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도시 철도 2호선의 기점역.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포동·서면 등 주요 지역의 교통난이 심각하여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이후 부산은 북구·강서구의 성장과 남구·해운대구의 발전으로 시가지의 외연적 확장이 계속되며 동서 방향으로도 심각한 교통난을 보이게 되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도시 철도 2호선의 일반역.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포동·서면 등 주요 지역의 교통난이 심각하여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이후 부산은 북구·강서구의 성장과 남구·해운대구의 발전으로 시가지의 외연적 확장이 계속되어 동서 방향으로도 심각한 교통난을 보이게 되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는 동해 남부선의 역. 부산 송정역(釜山松亭驛)은 일제 강점기에 동해안의 석탄과 목재, 광물, 해산물 등을 반출하고, 함경선과 부산과의 연결을 긴밀하게 하기 위하여 건설된 동해 남부선 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된 역이다. 송정역은 1934년 12월 16일에 동해 남부선 철도의 역원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41년 6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동해 남부선의 기차역. 해운대역(海雲臺驛)[철도]은 1934년 7월 15일 부산진~해운대 간 동해 남부선이 개통되면서 보통 역으로 개소하였다. 동해 남부선은 일제 강점기 동해안의 석탄과 목재·광물·해산물 등을 반출하고 함경선과 부산과의 연결을 긴밀하게 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해운대역이 개통되면서 해운대 온천과 해운대 해수욕장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과 송정동을 연결하는 터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을 연결하고 있어 송정 터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송정 터널의 길이는 상·하행선 모두 410m이고, 폭 13m, 높이는 8.2m이다. 편도 3차선의 반원형의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투자자는 부산광역시이다. 부산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0년대에 해운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과 송정동을 연결하는 터널. 해운대의 대표적인 산인 장산의 산록을 따라 건립되어 장산 터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장산 1터널의 길이는 상행선 543.5m, 하행선 547.5m이다. 폭은 13m, 높이는 8.2m이고 편도 3차선의 반원형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시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0년대에 해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과 송정동을 연결하는 터널. 해운대의 대표적인 산인 장산의 산록을 따라 건립되어 장산 터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두 개의 터널이 같이 만들어져 장산 2터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장산 2터널의 길이는 상·하행선 587.4m이고, 폭은 13m, 높이는 8.2m이다. 편도 3차선의 반원형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과 송정동을 연결하는 터널. 해운대 좌동을 지나고 있어 해운대 터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해운대 터널의 길이는 상·하행선 680m이다. 폭은 10.4m, 높이는 7.3m이고 편도 2차선의 반원형 쌍굴로 구성되어 있다. 해운대 터널은 부산광역시와 울산 공업 단지를 연결하여 영남 동부권 물동량 증가에 대처하고, 국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해운대 시외버스 정류장은 전국적인 명성을 지닌 해운대 해수욕장과 해운대와 송정·기장 등 부산 동부권의 교통 수요에 따라 건립되었다. 해운대 시외버스 정류장은 1970년 경상남도과 울산 등지로 오가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해운대고속·거제현대고속·경남고속 등 3개 운송업자가 중심이 되어 설립되었다. 2009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던 조선 시대의 포구. 가을포(加乙浦)는 현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해 있지만, 옛 기장 구포(機張九浦) 중 하나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제1 포구이었다. 지금은 송정 해수욕장으로 변하여 옛날 모습은 완연하게 사라졌으나, 송정 해수욕장의 왼편에 죽도가 있고, 죽도 옆에 고기잡이하는 배들이 정박하고 있어 옛 포구의 흔적...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는 포구. 구덕포(九德浦) 주변은 본래 갈대가 많아 가래포 또는 가을포로 불렸는데, 조선 후기 광주 노씨가 해송이 우거진 언덕에 송호재(松湖齋)라는 정자를 지었다 하여 송정으로 불리게 되었다. 구덕포는 송정과 청사포 사이에 있는 만입의 포구이다. 동쪽 해안은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서쪽에는 부흥봉에서 남쪽 달맞...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포구. 미포(尾浦)는 해운대 동북쪽에 자리 잡은 와우산(臥牛山)[소가 누워 있는 것같이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의 꼬리 부분에 해당되는 갯가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미늘, 미암(尾巖)이라고도 불렸다. 미포는 와우산이 바다에 몰입되면서 형성된, 해운대 해수욕장 동쪽 끝에 있는 암석 포구로 곳곳에 암반이 넓게 나타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던 조선 시대의 포구.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동래부지(東萊府誌)』에 재송포(裁松浦)는 소나무가 만 그루나 서 있다고 하였다. 소나무가 이렇게 많은 이유는 뒷산인 장산(萇山)이 봉산(封山)[나라에 필요한 목재를 조성하기 위하여 벌채를 금지하는 산으로 주로 소나무가 대상이 되었다]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포구. 청사포(靑蛇浦)[푸른 구렁이의 포구]는 골매기 할매의 전설과 관련된 지명이다. 새 신부였던 김씨 부인은 고기잡이를 나간 남편이 난파하여 돌아오지 않자 매일 해안가의 바위에서 두 그루의 소나무를 심고 남편을 기다렸다고 한다. 수십 년을 하루같이 기다리는 김씨 부인을 애처롭게 여긴 용왕이 청사(靑蛇)[푸른 구렁이]를 보내 용...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는 지방 어항. 송정항은 조선 시대 기장 구포의 하나인 가을포에 속한 지역으로 일찍부터 포구가 발달한 지역이었는데, 1975년 5월 3일 「어항법」에 근거하여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해운대구 송정동 일대의 동남해안을 중심으로 한 연안 어업 지원의 근거지로 조성하고자 건립되었다. 1999년에 방파제 끝에 송정 등대가 건립되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지방 어항. 우동항(佑洞港)은 해운대구 수영만 일대를 중심으로 동남해안의 연안 어업 근거지로 지정된 어항이다. 우동항은 일찍부터 수영만 일대를 중심으로 발달한 포구였는데, 1972년 5월 27일에 「어항법」에 근거하여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1986년 수영만 매립으로 현재의 위치에 항만 시설을 축조하고 옮겨와 현재에 이른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지방 어항. 청사포항(靑沙浦港)은 해운대구 중동의 청사포 어촌 마을을 중심으로 동남해안의 연안 어업 지원 근거지로 조성되었다. 청사포항은 해운대와 송정 사이에 위치한 포구로 일찍부터 해안가 어촌 마을인 청사포 마을이 형성되었던 지역이다. 1972년 5월 27일 「어항법」에 근거하여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던 비행장. 수영 비행장(水營飛行場)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 육군이 대륙 침략을 위한 군사 시설로 건립하였다. 비행장이 건립된 용지는 수영강과 온천천에서 실려 내려온 토사의 퇴적으로 형성된 충적 평야 지대로 비행장이 건립되기 적합한 장소였다. 일본 육군은 수영강과 온천천에 의해 형성된 충적 평야에 1940년 인근 주민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