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우동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72
한자 佑洞港
영어의미역 Udong Harbor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남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항
이전 시기/일시 1986년 - 수영만 매립으로 현재의 위치에 항만 시설 축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5월 27일연표보기 - 지방 어항 지정
최초 설립지 우동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수영만 매립지
현 소재지 우동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지방 어항.

[건립 경위]

우동항(佑洞港)은 해운대구 수영만 일대를 중심으로 동남해안의 연안 어업 근거지로 지정된 어항이다. 우동항은 일찍부터 수영만 일대를 중심으로 발달한 포구였는데, 1972년 5월 27일에 「어항법」에 근거하여 지방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변천]

1986년 수영만 매립으로 현재의 위치에 항만 시설을 축조하고 옮겨와 현재에 이른다.

[구성]

우동항은 2기의 방파제 158m와 물양장 336m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우동항은 지방 어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으며, 시설 관리자는 해운대구청장이다. 수영만 내측의 수영강 하류에 있는 어항으로, 어항 구역은 해운대구 우동 1401번지 지선 어항 외측 남북 방파제 기부를 연결한 선내 수역이다. 우동항수영강이 바다로 유입하는 하구에 자리하고 있으며, 어항의 북쪽에 수영강의 마지막 다리인 수영 2호교가 통과하며, 남쪽으로는 수영만 요트 경기장이 있다. 또한 우동항 서쪽으로 광안 대교가 지나가고 있어 항만이 해안가가 아닌 내륙 쪽에 위치한 것처럼 보인다. 도로에서 확인이 가능한 위치이나 대부분 어항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형태인데, 우동항에는 어선 40여 척이 정박하며, 60여 명의 어촌 계원으로 구성된 어촌계도 있다. 주요 어획 어종은 멸치를 비롯하여 삼치, 갈치, 넙치, 잡어 등이며, 인근에 양식 미역밭이 20ha 있다. 부산광역시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우동항을 해양 관광 복합형 어항으로 조성하고자 계획 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