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416
한자 水營江
영어의미역 Suyeong-gang River
이칭/별칭 수영천,사천,영천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해운대구|수영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하천
면적 198.8㎢
길이 약 28.6㎞
전구간 수영강 - 울산광역시 웅상면~경상남도 양산시 두명리~부산광역시 기장군~해운대구~수영구
해당 지역 소재지 합류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해당 지역 소재지 유입지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해운대구, 수영구를 흐르는 하천.

[명칭 유래]

수영강은 1652년(효종 3) 하구에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慶尙左道水軍節度使營)이 설치되면서 수(水)와 영(營) 자를 따와 수영천 또는 수영강으로 불리게 되었다.

[자연 환경]

수영강은 경상남도 양산시 매곡동과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에 걸쳐 있는 용천산[542.8m] 동양골에서 발원해 남으로 흐르다가 회동 수원지에 이르러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에서 발원해 남서쪽으로 흐르는 철마천과 합류한다. 회동 수원지를 거쳐 남으로 흐르는 수영강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서 금정산 북동 사면에서 발원한 온천천과 합류해 수영만으로 유입한다. 수영강이 유입하는 하구에는 본래 재송포가 있었고, 하구에는 소규모의 수영강 삼각주가 퇴적되어 있었으나 수영 비행장으로 이용되다가 도시화되어 현재는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현황]

수영강은 유역 면적 198.8㎢에 유로 연장이 약 28.6㎞로, 부산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수영강은 상류부에서 영천, 중류부에서는 사천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금정산에서 발원하는 지류의 상류는 범어천, 그 중류는 온천천으로 불리는 등 다양한 부분 명칭을 가지고 있다. 영천과 사천은 울산 단층선을 따라 흐르는데, 이 단층선 주변으로 부산~울산 간 국도 제7호선이 있으며, 범어천을 따라서는 부산 지하철 1호선이 지나간다.

수영강 상류부에는 높은 산지가 발달해 있으며, 중류부에 이르러서는 하천 양안으로 평지가 발달해 시가지를 이루고 있다. 수영강철마천의 합류점에는 부산 시민의 식수원인 오륜대 수원지가 있고, 온천천수영강의 합류점에서 남해로 유입되는 수영만을 따라서는 반여동·재송동·수영동센텀 시티가 있어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상업 및 서비스 시설, 관광 위락 시설이 집중하고 있다. 특히 하구의 수영강 삼각주 지역은 현재 센텀 시티로 개발되어 70~80층의 고층 아파트를 비롯하여 벡스코, 문화의 전당, 신세계 백화점, 롯데 백화점 등 상업 및 서비스 시설이 들어서고 있으며, 벤처 단지도 조성되고 있다.

하천변을 따라서는 온천천 시민 공원이나 APEC 나루 공원 등 수변 공간을 조성하여 시민의 휴식처 및 위락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수영강남해로 유입하는 수영만에는 수영만 요트 경기장[1986년 준공되어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요트 경기 대회를 시작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 요트 경기 대회,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요트 경기 대회 등이 개최됨]이 있어 해양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