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865 |
---|---|
한자 | 釜山海洋- |
영어공식명칭 | Busan Marine Sport Academy |
분야 | 문화·교육/체육 |
유형 | 행사/행사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3655|사하구 다대동|서구 암남동 129-32|해운대구 달맞이길62번길 47[중동 1015]|해운대해변로 84[우동 1393]|영도구 동삼동 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철우 |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매년 4~10월 개최되는 해양 스포츠 체험 프로그램.
[연원 및 개최 경위]
부산광역시가 ‘해양 레포츠 허브 도시’ 구축을 목표로 해양 레포츠의 저변 확대를 위해 2008년에 처음으로 시작하였다.
[행사 내용]
부산 해양 스포츠 아카데미는 부산광역시와 관련 단체들의 협조를 통해 각 지역별로 운영된다. 부산 요트 학교는 초급반·중급반·고급반, 어린이반, 학교 전일제 수업반 등 수준별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육 이수자에게는 국제 세일링 스쿨이 인정하는 부산광역시 요트협회 공인 수료증이 발급된다. 특히 2012년부터 요트 교육 이수 시 요트 면허를 습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부산 해양 스포츠 아카데미에서는 조정·실내 조정·래프팅[서낙동강 조정 경기장], 카누·카약·래프팅[서낙동강 카누 경기장], 서핑·바디 보드[해운대 해수욕장], 딩기 요트[한국해양대학교], 카이트 보딩·바다 래프팅·수상 스키[다대포 해수욕장], 윈드서핑·래프팅·딩기 요트[을숙도], 드래곤 보트·카약·모터보트[수영강] 등 다양한 종목의 강습이 진행된다.
[현황]
부산 해양 스포츠 아카데미는 부산광역시에서 주최하고 부산광역시 요트협회 외 7개 기관에서 종목별로 주관하고 있으며, 해운대 해수욕장 외 7개의 부산 지역 강과 바다에서 시행되고 있다. 청소년과 시민을 대상으로 요트, 윈드서핑, 카이트 보딩, 카누, 카약, 조정, 래프팅 등 다양한 해양 스포츠를 배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매년 4~10월[매주 월요일 제외]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30분에 상시 운영한다. 부산 요트 학교는 연중 상시 운영한다. 시민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부산 해양 스포츠 아카데미 홈페이지(http://www.busanmw.com)에서 일정과 종목을 확인한 후에 운영 단체에 전화로 신청하면 된다. 교육비는 무료이나 교재비, 보험 가입비 등 실비는 참가자가 부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