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24 |
---|---|
한자 | 勞動集約形産業構造 |
영어의미역 | Labor-intensive Industrial Structure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석 |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의 비율이 높은 산업 구조.
[개설]
대표적인 노동 집약형 산업에는 식음료 제조업, 섬유 제품 제조업,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 제조업, 가죽 가방 신발 제조업, 목재 및 나무 제품 제조업[가구 제외], 펄프, 종이 및 종이 제품 제조업, 인쇄 및 기록 매체 복제업, 가구 제조업, 기타 제품 제조업 등이 있다.
[변천 및 현황]
부산 지역이 경제 개발 초기에 섬유와 봉제 산업, 그리고 신발 산업을 통하여 성장하였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들어 그 비중이 상당히 많이, 그리고 급속히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비중이다.
1990년 노동 집약적 산업으로 분류할 수 있는 제조업 사업체 수는 1,677개로 전체의 40.1%에 달하고 있다. 종사자 수는 6만 1,950명으로 39.5%에 이르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급여액의 비중과 부가 가치의 비중은 20%대에 머물러 있고, 유형 자산의 연말 잔액의 비중은 15.8%에 불과하다. 즉 영세한 소규모 기업이 많다는 점이며, 이들은 대부분 자본의 투자에 의한 기계 설비 등이 다소 노동자나 부가 가치에 비하여 열악하다는 점이다.
1990년대 이후 급격하게 비중이 감소하여 2006년 이후 사업체 수의 비중은 25%대로, 그리고 종사자 수는 23~24%대로 하락하고 있다. 여전히 급여액과 종사자 수의 비중을 비교해 보면 다른 업종에 비하여 현저히 저임금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 부가 가치의 비중은 더욱 낮다. 2009년 종사자 수의 비중은 23.6%인 것에 비하여 부가 가치의 비중은 14.4%에 불과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