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70 |
---|---|
한자 | 製造業 |
영어의미역 | Manufacturing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호범 |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물품을 대량으로 만드는 업종.
[개설]
제조업은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 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이다.
[변천]
1. 제조업체와 종사자 수
부산 지역 제조업체 수의 변동은 크게 몇 개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전쟁 기간이었던 1952부터 1974년에 이르는 기간이다. 둘째는 1991년의 상대적 침체를 제외하면 1974년의 저점으로부터 1993년에 이르는 기간으로 제조업체 수의 급속한 증가가 나타났다. 셋째는 1993년부터 1996년에 이르는 정체기에 이어 1998년에 제조업체 수가 급속히 감소하는 시점이다. 넷째는 1998년을 저점으로 새롭게 제조업체 수가 증가하고 있는 기간이다.
한편 제조업 종사자 수의 추이를 보면 제조업체 수의 추이와는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먼저 비록 1966년과 1970~1971년 사이에 상대적 정체를 경험하고 있지만 1961년을 저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1978년에 한 번의 정점에 도달하고 있다. 국제 유가 위기가 극에 달했던 1979년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1980년을 저점으로 점차 회복 국면에 있었고 1987년에 정점에 도달하고 있다. 이후 1998년에 이르기까지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체 수의 증가 경향과는 달리 종사자 수는 늦게 잡아도 1988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체 수와 종사자 수의 추이를 같이 고려해 보면 양자가 전혀 상이한 움직임을 보이는 시기를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1962년부터 1970년대 초에 이르는 기간으로 종사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제조업체 수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특히 노동자 수는 1971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제조업체 수는 1975년부터 증가하고 있어 노동자 수의 증가가 먼저 진행되고 이어 제조업체 수의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1978년을 기점으로 198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제조업체 수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제조업 종사자 수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1988년 이후의 변화는 더 극적인데 제조업 종사자 수는 급속히 감소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사업체 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고, 특히 상대적 정체기라고 할 수 있는 1993년에 이르는 기간은 이 양자 사이의 폭이 더욱 크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제조업 사업체 수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 변화의 추이를 보면 1982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은 기본적으로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1967년에 부산 지역 사업체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22%였지만 1982년에는 12.64%에 다다르고 있다. 이후는 기본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91년의 9.70%가 가장 낮았고, 이후 10%를 전후하여 변동하였다. 1999년부터 비율이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하여 1999년에는 9.5%, 2000년에는 9.15%로 떨어졌다.
부산 지역 제조업 종사자 수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1976년에 이르는 기간은 기본적으로 증가하였다. 1966년 14.12%에서 1976년에는 무려 18.20%까지 비율이 증가하였다. 전국 제조업 종사자의 1/5이 부산에서 생산 활동에 종사하고 있었다. 이후 다소의 변동을 포함하지만 비율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1997년에는 7.37%까지 하락하였고, 이후 다소 안정화되었지만 2000년에는 더욱 비율이 감소하여 6.96%에 불과하였다. 1976년과 비교하면 거의 1/3수준이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사업체 수는 2002년부터 더욱 감소하였다. 2002년 4,138개사에서 2006년에는 3,878개사로 감소하였다. 2007년에는 다소 증가하였지만 이후 더욱 감소하여 2009년 현재 3,825개사에 불과하다. 종사자 수도 완만하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1999년 15만 6739명에서 2009년 현재 12만 5567명으로 감소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2. 산출액
1985년 이후 부산 지역 제조업 산출액의 추이를 보면 1995년에 30조여 원[30조 3104억 5500만 원]에 이를 때 까지는 변동을 포함하지만 증가하였다. 이후 1998년까지는 극심하게 산출액이 감소하였다. 전국 평균이 1997년까지는 증가하고, 1998년에 감소한 것과는 상이하다. 1998년의 22조 5632억 5400만 원을 저점으로 산출액이 다시 증가하여 2002년에는 31조여 원[35조 31억 2,700만 원]으로 경제 위기 이전의 수준을 회복하였다. 이후 일정한 조정 기간을 거쳤고, 2004년 29조여 원[29조 2075억 2,500만 원]을 저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다만 세계적인 경제 위기였던 2009년은 전년도 보다 산출액이 감소하였다. 2010년 현재 39조 8049억 8100만 원을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제조업이 전국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1986년에 7.9%를 정점으로 다소의 변동을 포함하지만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1989년에 6.7%로 떨어졌고 1992년에는 5.8%, 1997년에는 4.7%, 2003년에는 3.8%로 점차 비율이 감소하였다. 2010년 현재 겨우 3.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부산 지역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과 전국 전체 산업에서 전국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해 보면 1987년 부산 지역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49.4%로 전국의 46.3%보다 높았다. 적어도 이 시기까지는 부산이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도시였다. 그러나 이후 부산 지역 내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8년에 30.8%를 기록했을 만큼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전국적으로는 제조업이 여전히 40% 이상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1998년 이후의 변화도 상이하다. 전국은 제조업의 비율이 다소의 변동을 포함하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1998년의 41.6%를 저점으로 비율이 상승하여 2010년 현재는 51.2%로 1985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산 지역은 30%를 조금 넘는 수준에서 다소의 변동을 보여 왔을 뿐이다. 2010년 현재 32.8%로 2007년의 32.9%를 제외하면 1998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제조업의 각 부문별 산출액의 추이를 보면 기초 소재형은 경기 변동에 따른 변동을 포함하고 있지만 생산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1998년 이후에는 비교적 급격하게 생산액이 증가하고 있다. 1998년, 2004년, 2009년 등 경기 하강의 다음 해에는 심한 산출 감소를 경험하고 있다. 2010년 현재 20조 7250억 300만 원이다. 반면 생활 관련형은 1988년을 정점으로 2006년까지는 산출액 감소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6년을 저점으로 최근 다소 산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2010년 현재 7조 4643억 2,300만 원이다. 기초 소재형의 경우는 1995년의 급격한 증가, 1998년의 급격한 감소를 예외로 하면 완만하게 증가해 왔다고 할 수 있다. 2008년의 12조 3767억 700만 원이 정점이었으며, 2010년 현재 11조 6156억 5500만 원을 기록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황]
최근 부산 지역 제조업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지속적으로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먼저 사업체 수를 보면 1999년에 8.81%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7년에는 6.47%까지 하락하였다. 이후 다소 완만하지만 상승하여 6.6%대를 유지하고 있다. 2009년 현재 6.60%이다. 종사자 수의 비율도 1999년에 7.16%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06년에는 5.27%까지 하락하였다. 이후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2009년에는 5.12%로 다시 하락하였다.
급여액 역시 1999년에 6.04%에서 변동을 포함하지만 지속적으로 하락하였고, 2009년 현재 4.26%이다. 부가 가치는 3.5% 전후에서 변동하고 있다. 1999년에는 3.80%였고, 이후 3.2%까지 하락하였다. 2008년에는 3.56%였고, 2009년 현재는 3.35%이다. 전반적으로 사업체 수보다 종사자 수의 비율이 더 낮은 것은 사업체당 종업원이 적은 영세한 규모의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며, 종사자 수의 비율보다 급여액의 비율이 더 낮은 것은 전국에 비해 저임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또 부가 가치가 낮은 것은 저부가치 산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산출액을 기준으로 기초 소재형 제조업의 변화 경향을 보면 전국에서 부산 지역 기초 소재형 제조업의 비율은 1995년을 예외로 하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1986년의 5.3%가 정점이었고, 2010년 현재는 2.6%에 불과하다. 화학 공업과 비금속 광물, 제1차 금속 제조업 등의 비율이 지극히 낮았다. 지역 내에서도 기초 소재형 제조업의 비율은 전국과 비교해서 낮았다. 즉 전국은 2000년에 이르기까지 전체 제조업에서 거의 항상 20% 전후의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부산 지역은 1995년을 예외로 하면 지속적으로 비중이 감소하였다. 전국은 2000년의 20.9%를 정점으로 감소하여 2009년에 17.3%까지 비율이 감소했지만 부산 지역은 9.6%까지 비율이 감소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가공 조립형 제조업은 부산 지역 내에서의 비율이 기본적으로 증가하였다. 1985년 8.3%였던 것이 2010년에는 17.1%까지 비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국에서 가공 조립형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의 증가에 비하면 완만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전국은 1985년에 9.4%에서 2010년 28.9%까지 증가하였다. 자동차를 비롯한 운송 장비 제조업, 전기 전자 산업, 그리고 금속 가공 제품 제조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문으로, 전반적으로 고기술, 고부가 가치 산업이다. 이 부분의 비율이 증가한 것은 산업 구조의 고도화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었지만 전국의 증가를 따라잡지 못하였다. 그 결과 전국의 가공 조립형 제조업에서 부산 지역 가공 조립형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1985년에 6.4%에서 2010년 현재는 2.8%에 불과하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1980년대에는 전국에서 생활 관련형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 부산 지역에서 해당 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전국에서 생활 관련형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던 것은 1987년의 14.1%였지만 부산 지역의 경우는 무려 25.7%였다. 이후 전국과 부산 지역 모두 그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부산 지역 내에서 생활 관련형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의 감소는 급격한 것이었다. 1987년의 25.7%를 정점으로 감소하여 2006년에는 4.5%에 이르렀다.
특히 2003년부터 2006년까지 기간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도 부산 지역 내에서 생활 관련형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낮았다. 부산 지역을 대표하던 봉제 산업과 신발 산업의 침체를 단적으로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2006년 이후 부산 지역에서 생활 관련형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다소 증가하여 2010년 현재는 6.2%이다. 전국의 생활 관련형 제조업에서 부산 지역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1987년 13.2%를 정점으로 감소하여 2006년에는 4.5%였다. 이후 다소 회복되어 2010년 현재 6.3%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제조업 사업체당 지표를 전국과 비교해 보면 사업체당 종업원 수는 1999년에는 전국 평균의 81.2% 수준이었고, 변동을 포함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감소하여 2009년 현재는 전국 평균의 77.6% 수준이다. 종업원 평균 임금도 전국 평균의 83% 수준에서 변동하고 있다. 가장 높았던 것은 2004년의 84.9%이고, 2009년 현재는 전국 평균의 83.3% 수준이다. 사업체당 생산액과 부가 가치는 경향적으로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2009년 현재 전국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사업체당 생산액은 2000년에는 전국 평균의 39.7% 수준이었고, 이후 다소 증가하여 2008년에는 51.5%였다. 2009년 현재는 48.8%이다. 부가 가치 역시 기본적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1999년은 전국 평균의 43.2% 수준이었고, 2008년에는 53.9%까지 증가하였다. 2009년 현재 50.8% 수준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구·군별 사업체 수를 보면 2010년 현재, 전체의 32.1%인 4,657개사가 사상구에 위치해 있다. 공업 단지를 중심으로 하는 오래된 부산 지역의 공업 지역이다. 다음으로는 16.3%인 2,360개사가 강서구에 위치해 있다. 대규모 산업 단지가 조성된 지역이며, 부산광역시의 새로운 제조업 중심지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14.1%인 2,045개사가 사하구에 위치해 있다. 신평 장림 공업 단지를 중심으로 제조업이 입주해 있다. 그 다음이 6.7%인 부산진구, 3.7%인 기장군, 3.6%인 영도구 등의 순이다. 부산진구는 아주 오래된 부산의 공업 지구였고, 기장군은 부산광역시가 새롭게 조성 중인 공단이 위치해 있는 지역이다. 영도구는 조선업을 중심으로 하는 제조업이 위치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한편 구·군별 종사자 수를 보면 2010년 현재, 전체의 27.1%인 4만 8157명이 강서구의 사업체에 고용되어 있다. 대규모 산업 단지가 조성된 지역이며, 제조업체 수의 비율에 비해 고용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다음으로는 22.4%인 3만 9812명이 사상구에서 생산 활동에 종사하고 있다. 제조업체 수에 비해 고용의 비율이 낮은 것은 비교적 소규모의 공장이 많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사하구가 17.7%로 3만 1,501명이 취업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