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43 |
---|---|
한자 | 産業構造 |
영어의미역 | Industrial Structure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의 전체 산업에서 각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각 산업의 상호 관계.
[산출액 기준 산업 구조]
부산 지역 산업의 영역별 변화 과정을 산출액을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농림어업은 1997년의 1조 8610억 4700만 원을 정점으로 산출액이 감소하고 있다. 1994년을 저점으로 1997년까지 증가한 것은 1994년 2월 22일 공포된 제6차 행정 구역 개편에 의해 기장읍, 장안읍, 철마면, 정관면, 일광면과 경상남도 진해시 웅동면 일부가 부산직할시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제외하면 1985년 이후 산출액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공업은 제조업의 변화에 산출액이 크게 좌우되었다. 1985년 이후 부산 제조업의 산출액 추이를 보면 1995년에 30조여 원[30조 3104억 5500만 원]에 이를 때 까지는 변동을 포함하지만 증가하였다. 이후 1998년까지는 극심하게 산출액이 감소하였다. 전국 제조업이 1997년까지는 증가했다가, 1998년에 감소한 것과는 상이하였다. 1998년의 22조 5632억 5400만 원을 저점으로 산출액이 다시 증가하여 2002년에는 35조여 원[35조 31억 2,700만 원]으로 경제 위기 이전의 수준을 회복하였다. 이후 일정한 조정 기간을 거쳤고, 2004년 29조여 원[29조 2075억 2,500만 원]을 저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다만 세계적인 경제 위기였던 2009년은 전년도 보다 산출액이 감소하였다. 2010년 현재 산출액은 39조 8049억 8100만 원이다.
서비스업의 산출액은 경제위기 직후였던 1998년과 2009년을 제외하면 일관되게 증가하고 있다. 2005년 불변 가격을 기준으로 1985년 17조 9793억 100만 원에서 2010년 현재 80조 3065억 4200만 원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 지역 산업 구조의 변화를 산출액을 기준으로 보면 농림어업과 제조업의 비율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농림어업은 1985년 4.51%에서 저하하는 경향을 보여 2010년 현재 0.91%에 불과할 정도로 감소하였다. 광공업은 1985년 44.96%에서 1988년에 47.75%로 증가했고, 이어 1995년을 예외로 하면 1998년까지 30.83%로 감소하였다. 이후로는 완만한 비율로 상승과 하락을 경험하면서 30% 전후에 머물러 있다가 2010년 현재 32.84%를 기록하고 있다. 서비스업은 1985년 50.54%에서 1987년에는 47.98%로 감소하였다. 이후 1995년을 예외로 하면 비교적 급격하게 비율이 상승하여 1998년에는 66.99%를 기록하였고, 이어 66%대에서 변동하다가 2004년에 69.02%까지 증가하였다. 이후로는 다소 비율이 하락하여 2010년 현재 66.24%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 산업 구조의 변화는 농림어업은 전국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전국에 비해 부산 지역의 농림어업의 비율이 낮은 것은 부산광역시가 기장군을 포함하고 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대도시이기 때문이다. 반면 광공업과 서비스업의 변화 경향은 전국과 다소 상이하다. 먼저 광공업의 경우 1988년을 기점으로 비율이 하락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탈공업화가 이 시기를 전후하여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전국 비율은 하락이 완만하게 진행되었고, 늦어도 1998년 41.82%를 저점으로 다시 상승하고 있다. 2010년 현재 전국의 광공업 비율은 51.32%이다. 반면 부산 지역은 급격하게 하락하고, 회복도 미미한 수준이다. 부산 지역 제조업의 침체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서비스업의 경우는 전국 비율이 완만하게 상승했다가 1998년의 54.82%를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전국 비율은 2010년 현재 서비스업이 46.86%로 광공업의 51.32%보다 오히려 낮다. 그러나 부산 지역은 서비스업의 비율이 높고, 광공업과의 비율 차이가 무려 33.40%로 2배가 넘는다. 부산 지역 광공업의 침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산출액을 기준으로 한 부산 지역 산업의 전국에서의 비중을 보면 농림어업이 3%를 전후하여 변동하고 있으면서 기본적으로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광공업의 경우는 1995년과 2001~2002년을 예외로 하면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86년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88%였고, 2010년 현재는 3.03%에 불과하다. 서비스업의 경우는 1988년의 7.47%가 정점이었고, 이후 7%대에서 변동하고 있다. 부산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하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3년에 이르기까지 감소하고 있다. 이는 부산 지역의 침체를 보여주는 것이다. 2009년에는 비중이 6.64%로 감소하였고, 2010년 현재 6.69%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산업별 취업자 기준 산업 구조]
산업별 취업자를 기준으로 하면 1975년의 경우 1차 산업 비율이 3.5%, 2차 산업 비율이 27.5%, 3차 산업 비율이 69.0%였다. 이는 부산 지역 산업 구조의 주요 특징이다. 부산 지역은 공업이 상당히 발전한 지역이었지만 일제 강점기부터 3차 산업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었다. 이후 공업의 성장에 따라 광공업의 비율이 증가했고, 1990년 38.6%를 기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국과 마찬가지로 1988년부터 서비스업 종사자가 증가했다가 이후 서비스업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고, 다소의 변동을 포함했지만 2010년 현재 129만 2,000명으로 전체의 82.1%를 차지하였다. 제조업 생산액의 비율이 다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 종사자 수가 증가세를 보인 것은 제조업이 고기술 산업으로 전환하면서 고용 흡수력이 다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