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40
한자 海雲臺
영어음역 Haeun-da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경승지
전구간 해운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해운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경승지.

[개설]

해운대(海雲臺)동백섬 남쪽 암벽에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857~?]이 새긴 해운(海雲)과 해안가의 높게 형성된 지역을 일컫는 대(臺)가 합성된 지명으로, 지형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이 결합된 명칭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1481]에는 “해운대는 현의 동쪽 18리에 있고 산이 가파르게 바닷속으로 들어가 있어, 마치 누에머리와 같고 그 위는 모두 동백, 두충, 송삼 등의 나무가 사시사철 울창하다. 또 겨울과 봄이 교차하는 시기에는 동백꽃이 유인마제(遊人馬蹄)에 쌓여 삼사촌을 밟게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랜 시간 해운대가 주변 지명에 붙여지며 현재는 해운대 해수욕장이 있는 해안과 주변 지역을 포함한 넓은 지역 전체를 일컫는 지명으로 대체 사용되고 있다.

[명칭 유래]

해운대최치원이 머물렀다는 데서 유래한 지명으로 알려져 있다. 최치원의 자는 고운(孤雲), 해운(海運), 해부(海夫)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 “신라 때 최치원이 일찍이 대를 쌓고 놀았다고 한다”라는 기록이 있어, 해운[최치원의 자]이 쌓은 대(臺)라 하여 붙은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자연 환경]

해운대는 남쪽으로는 남해안과 접하고, 북쪽으로는 장산(萇山)이 솟아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와우산(臥牛山)달맞이 고개가 있다. 해운대의 동쪽 해안에는 미포(尾浦)가 있고, 서쪽 해안으로는 동백섬이 자리 잡고 있다. 동백섬의 서쪽에는 수영강남해로 흘러들며 수영만을 형성하고 있다. 해운대의 해안가 백사장 뒤쪽[북쪽]으로는 소나무 숲이 우거진 사구가 발달해 있었으나, 현재는 도로 개설과 건물 건립 등으로 숲이 대부분 파괴되고 일부만 남겨져 있다.

[현황]

해운대해운대구 중동 일대의 수려한 사빈 해안과 배후의 송림, 동백나무 자생지로 유명한 육계도인 동백섬 등이 조화를 이룬 절경지로, 예로부터 시인·묵객들이 즐겨 찾던 경승지이다. 해운대는 빼어난 자연 환경을 갖춘 사포지향(四抱之鄕)[산, 강, 바다, 온천]으로, 해운대의 일출은 대한 팔경의 하나이며, 해운대 팔경(海雲臺八景)으로도 알려져 있다.

해운대 팔경은 첫째 ‘해운대상(海雲臺上))’으로 해운대 위에서 바라보는 경관이고, 둘째는 ‘오륙 귀범(五六歸帆)’으로 오륙도 앞에서 고깃배들이 돌아오는 한적한 풍경, 셋째는 ‘양운 폭포(養雲瀑布)’로 해운대 주산인 장산 계곡에 있는 폭포, 넷째는 ‘구남 온천(龜南溫泉)’으로 해운대 온천을 말한다. 다섯째는 ‘봉대 점화(烽臺點火)’로 간비오산(干飛烏山)의 봉수대에서 피어오른 봉화가 화산을 연상케 하는 광경, 여섯째는 ‘우산 낙조(牛山落照)’로 서산으로 지는 저녁놀의 아름다움, 일곱째는 ‘장지 유천(萇旨流川)’으로 장지천에 늘어선 버드나무의 우거진 풍경, 여덟째는 ‘춘천 약어(春川躍魚)’로 밝은 달밤에 춘천에 고기가 뛰는 광경을 말한다.

해운대에 자리한 동백섬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로 지정되어 있고, 남쪽 암벽에 새겼다는 해운대 석각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5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송림 공원과 1.5㎞의 광활한 해안을 자랑하는 해운대 해수욕장을 비롯하여 온천, 고급 관광 호텔 등의 숙박 시설 및 위락 시설이 고루 갖추어져 있는 우리나라 제일의 관광지·피서지·피한지 중의 하나이다.

해운대는 4개절 내내 관광을 즐길 수 있으며,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어 기반 시설의 활용도 용이해 찾는 이들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해운대에서는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해맞이 축제를 시작으로 한겨울 추위에 온몸을 던지는 북극 곰 수영 대회, 6월 해운대 모래 축제, 한여름 바다를 수놓는 8월 부산 바다 축제, 그리고 늦가을의 부산 국제 영화제 등 사시사철 다양한 축제가 벌어지는 한국 최고의 관광지 중 하나이다.

[참고문헌]
  • 『부산 지명 총람』3(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 『부산의 자연 마을』3-해운대구·기장군(Ⅰ) 기장읍(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8)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 해운대 문화 관광(http://tour.haeunda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