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373
한자 海雲臺冬柏島
영어의미역 Haeundae Dongbaekseom Island
이칭/별칭 동백섬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71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3월 9일연표보기 - 해운대동백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해운대동백섬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재지정
전구간 동백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710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동백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710지도보기
성격
면적 보호구역 151,511㎡
높이 57m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기념물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섬.

[명칭 유래]

해운대동백섬은 동백섬으로도 부르는데 동백나무가 무성하게 자라 붙은 이름이다. 섬의 모양이 또한 다리미와 비슷하다고 하여 다리미산 또는 다리미 섬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자연 환경]

해운대동백섬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남서쪽에 자리한 백사장 끝과 연결된 육계도[모래톱으로 육지와 연결된 섬]이다. 본래 해운대동백섬장산(萇山)의 산등성이인 간비오산의 말단에서 떨어져 나간 바위섬이었으나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 후빙기의 해수면 상승과 함께 춘천천의 토사 공급으로 흙, 모래, 자갈 등이 내려와 쌓이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해운대동백섬의 남쪽과 동쪽 해안은 계단 모양의 암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사빈 해안이 발달해 해운대 해수욕장과 연결되어 있다. 해운대동백섬 주위에는 본래 동백나무가 우거졌으나 현재는 소나무가 울창하게 자라고 있다. 북쪽으로 해운대 장산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고 그 옆으로 구곡산(九曲山)과 감딤산이 산맥을 이루고 있다.

[현황]

고도 57m의 해운대동백섬은 1999년 3월 9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섬은 자연을 그대로 살려 동백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섬의 중앙에는 신라 말기의 유학자 최치원(崔致遠)[해운대의 지명은 최치원의 호에서 따옴]의 동상과 시비(詩碑)가 있으며, 동쪽의 해벽(海壁)에는 최치원이 ‘해운대(海雲臺)’라고 새겼다는 바위가 있다.

해운대 바닷가 쪽의 암반과 해식애 위에는 황옥 공주의 전설이 담긴 동백섬 인어상이 있고, 해운대동백섬 주위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그 길을 따라 바다와 숲이 만드는 절경과 함께 멀리 광안 대교, 오륙도, 달맞이 고개 등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섬의 서쪽 수영만에는 1988년 서울에서 열린 제24회 올림픽 경기 대회 때 설치한 수영만 요트 경기장과 여러 위락 시설이 그대로 갖추어져 있다. 또한 섬의 남단에는 2005 APEC 정상 회의 장소인 누리 마루 하우스가 건립되어 있다. 동백섬은 천혜의 자연조건과 인문적 요건으로 도시민과 관광객들의 산책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해운대 해수욕장을 끼고 있어 여름 휴가철뿐만 아니라 사시사철 젊은 열기로 붐빈다. 해외 관광객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어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참고문헌]
  • 『부산 지명 총람』3(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 『부산의 자연 마을』3-해운대구·기장군(Ⅰ) 기장읍(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8)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부산광역시 강서구청(http://www.bsgangseo.go.kr)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 큐비 여행(http://www.qubi.com)
  • 해운대 문화 관광(http://tour.haeunda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