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무당이 굿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무가는 굿이라는 종교 의례에서 연행되므로 일반 노래와 달리 주술 종교성이 있다. 또한 무당이라는 전문가에 의해 전승되어 왔기 때문에 문화적 가치와 문학성이 남다르다. 그리고 무가에는 서정·교술·서사·희곡 장르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무가를 통해 우리는 민속 문학의 기층성과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진도씻김굿 중에서 제석굿을 할 때 부르는 노래 중 하나. 「노적청」은 제석굿을 할 때 부르는 노래의 하나로, 살아 있는 가족의 평안과 복락을 빌어 주는 과정에서 불린다. 노적을 청(請)한다는 노래 이름처럼, 많은 노적[재물]이 쌓여 부자가 되기를 축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신부가 신랑집으로 들어오는 신행에서 단골이 대문 앞에서 하는 굿. 덕물림은 전통 혼인 의례의 하나인 신행에서 행하는 의례 의식으로 신행길에 붙었을지도 모르는 살과 잡귀를 물리치기 위해서 하는 굿이다. 단골이 집례를 하는데, 신랑집 대문 앞에 상을 차린 뒤 징을 치면서 무장단으로 귀신을 쫓아내는 무가를 소리 내어 읊는다....
전라남도 진도군 지역에서 잡귀나 객귀를 물릴 때 부르는 소리. 「물리는소리」는 는 갑자기 누가 아프게 되었을 때 잡귀나 객귀의 소행으로 병이 난 것으로 간주해서 그들을 물리기 위해 연행한다. 단골이 담당하기도 하지만 일반인이 하는 경우도 많았다....
진도씻김굿의 제석굿 가운데 자손들이 잘 될 것을 축원하는 내용의 악곡. ○씨 가문에 오늘 이 정성을 나섰으니 지령을 받아서 우리나라 백두산부터 산정기 물정기 다 받어 훌륭한 자손 점지시켜 달라 벼슬궁을 돋웁시다/ 갑진부사 좌우영장 남평부사 삼도탱괴사로 치불러 놓고 좌의정 우의정 영에 전영들영 부성궁 부엉주와 벼슬길로 치불렸구나...
전라남도 진도군 지역에서 무당이나 민간인이 행하던 축귀(逐鬼) 및 축원(祝願)하는 소리의 총칭. 「비손 소리」는 ‘손굿’과 ‘비는 소리’로 나뉜다. 손굿이란 정식으로 무당을 초청하여 비는 굿이며, 의례의 형식과 내용이 조금 더 체계적이다. 비는 소리는 무당이 아닌 일반인이 행하는 것이다. 비는 소리 중에서 물리는 소리는 객귀를 퇴치할 때 부르는 소리다. 「물리는 소리」는 보통 집안...
진도씻김굿의 제석굿 중에서 가족의 평안을 빌어 주는 축원 대목 중 하나. 「성국 터 잡기」는 제석굿의 한 대목이며, 명당터 잡기와 지경 다지기 중간에 말의 형태로 연행되는 축원이다....
진도씻김굿의 제석굿 중에서 제석에게 시주하는 장면을 담고 있는 노래. 진도씻김굿은 죽은 사람이 이승에서 풀지 못하고 맺혀 있는 원한을 풀어 주어 극락에 가도록 기원하는 굿이다. 씻김굿의 여러 절차 중에는 살아 있는 사람들의 복락을 축원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집안의 재수와 가족의 건강을 축원하는 제석굿이 바로 그런 절차다. 제석굿은 대개 1. 제석의 근본을 찾는 대목, 2. 제석...
진도씻김굿에서 망자를 위로하기 위하여 부르는 무가 중의 하나. 진도씻김굿은 죽은 사람이 이승에서 풀지 못하고 맺혀 있는 원한을 풀어 주어서 극락에 가도록 기원하는 굿이다. 「약풀이」는 그러한 진도씻김굿의 한 거리에 포함되어 있다....
진도씻김굿에서 사용되는 장단. 진도씻김굿 중에서도 주로 안당에서 사용한다고 하여 ‘안당장단’ 또는 ‘안땅장단’이라고도 한다. 다른 지역의 씻김굿에서는 ‘흘림’을 장단명 대신 ‘동살풀이’라고도 한다. 흘림은 진도를 중심으로 많이 사용하는 명칭인데, 악사나 무당에 따라 동살풀이와 흘림을 동일한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고, 서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