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950 |
---|---|
한자 | 藥- |
영어음역 | Yakpuri |
영어의미역 | Medicine S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집필자 | 이윤선,이경엽 |
[정의]
진도씻김굿 에서 망자를 위로하기 위하여 부르는 무가 중의 하나.
[개설]
진도씻김굿 은 죽은 사람이 이승에서 풀지 못하고 맺혀 있는 원한을 풀어 주어서 극락에 가도록 기원하는 굿이다. 「약풀이」는 그러한 진도씻김굿의 한 거리에 포함되어 있다.
씻김, 즉 영돈말이가 끝난 후 영돈을 풀어 그 속에 든 넋을 들고 「왕풀이」를 한다. 「왕풀이」는 저승을 관장하는 시왕[十王]에게 망자 천도를 비는 무가다. 진도씻김굿이 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될 당시에는 「왕풀이」 속에 「동갑풀이」와 「약풀이」가 포함되어 있었다.
[가사]
(「왕풀이」에 이어서 「약풀이」로 바로 넘어간다)
넋이로구나 넋을 불러 십왕전에 바쳤으니
약수지천 근을 불러 십왕전에 바쳐보세
불쌍한 망제님 약사발 옆에 놓고
인삼불 옆에 높고 병세를 구완할제
강원도 은방죽에 은기놋기 띄였거든
은기놋기 열고보니 전나래 전치황
우리나래 불사약이 갖가지 담겼어도
그약다 못다 잡수고
원통케 죽은 약수지천근이로구나.
천근이로구나 천근이야 천근이야
약수지 천근이야 득수지 천근이야
일월에 천근이면 단님에다 천근이야
동갑에 천근이고 갑장에 천근이고
갑장에 천근일세
천근천근 천근이야
약수지 천근이고 득수지 천근일세
아그 문전에 득수지천근이로구나
[내용]
「약풀이」에는 각종 약(藥)이 등장한다. 망자(亡者)가 먹었으면 죽지 않았을 텐데 그 약을 구하지 못해 죽었으니 각종 약들을 거론하면서 망자의 한을 풀어 준다는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약풀이」가 독립된 거리로 연행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진도씻김굿 문화재 지정 보고서」가 제출될 때까지만 해도 「약풀이」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왕풀이」 속에 속해 있었기 때문이다. 근래에 「왕풀이」, 「넋풀이」, 「동갑풀이」, 「약풀이」 등을 각각 개별 굿거리인 것처럼 말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 씻김 또는 희설 등의 절차 속에 들어 있는 ‘천근말·천근소리’ 중의 하나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