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러 가지 전통놀이. 민속놀이는 의례를 중심으로 하는 의례적 놀이와 겨루기를 중심으로 하는 놀이로 나눌 수 있다. 전통적인 민속놀이들이 거의 사라진 현대에는 의례에 속한 민속연희도 민속놀이에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전라남도의 남도문화제나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민속놀이라는 이름으로 각종 의례와 연희 전통들이 소개되는 경향에 기인하는 것으...
-
진도다시래기 중 둘째마당에 해당하는 놀이. 진도다시래기는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출상하기 전날 밤 초상집에서 상두꾼들이 벌이는 놀이로, 마을사람들이 모두 모여 익살스런 재담과 노래, 춤으로 상주와 그 가족을 위로하는 것이다. 소박한 소극(笑劇) 형태의 놀이인 진도다시래기는 ‘가상제놀이’, ‘거사(사당)놀이’, ‘상여(생여)소리’, ‘가래소리’, ‘여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강강술래의 부수놀이로 고사리를 꺾는 행위를 모사한 놀이. 고사리 꺾자의 가사는 마을마다 가창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데, 보편적인 가사는 다음과 같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강강술래를 추는 중간에 부수적으로 하는 놀이. 허리를 굽히고 늘어선 대열의 등을 밟고 건너는 놀이로 경상도 안동, 의성 등에서 행해지는 놋다리밟기와 유사하다. 기와밟기의 가사는 창을 교환하는 방식인데, 앞소리는 물어보는 형식이고 뒷소리는 대답하는 형식이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깨금발 자세로 목표물을 돌아오는 놀이. ‘깨감’은 ‘깨금발’의 진도 방언이다. ‘깨금발’은 한 발을 들고 다른 한 발로 서는 것, 또는 그러한 자세를 이르는 말이다. 진도 지역에서 행하는 ‘깨감좆기’는 한쪽 발을 들어 올려 손으로 잡은 후 뛰어서 상대편보다 먼저 목표물을 돌아오면 이기는 놀이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아이들 놀이. 나래짚기는 두 편으로 나누어 서로 상대방을 잡아들여 포로로 만드는 놀이이다. 포로로 잡히더라도 자기 편 사람이 손으로 건들면 다시 살아날 수 있으며, 모두 포로로 잡힌 쪽이 놀이에서 지게 된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로서,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집단가무였다. 남생아 놀아라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면서 그 놀이에서 불리는 노래제목이기도 하다....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 남한산성 도척놀이는 일종의 강강술래 여흥놀이 형식으로 구성된 민속놀이로서 ‘남한산성 도척이야’ 혹은 ‘남원선선 도재기야’라고도 한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던 아이들 놀이. 노루씨름은 두 사람이 한 팀이 되어 행하는 놀이이다. 놀이방법이 어려워서 연습을 많이 해야 잘할 수 있지만, 승패와는 관계없는 놀이로 서로 호흡이 잘 맞아야 오랫동안 계속할 수 있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강강술래를 할 때 행하는 여흥놀이의 하나. 강강술래는 달 밝은 밤에 하는 놀이로, 노래와 춤이 하나로 어우러진 부녀자들의 집단놀이이다. 담넘기는 이러한 강강술래 놀이 끝에 행해지는 여흥놀이의 하나로 ‘고사리 꺾자’와 비슷한 놀이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로서,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집단가무였다. 덕석몰이는 강강술래 놀이의 여흥놀이인 ‘덕석몰이’에서 불리는 놀이 및 민요 이름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강강술래를 할 때 행하는 여흥놀이의 하나. 강강술래는 달 밝은 밤에 하는 놀이로, 노래와 춤이 하나로 어우러진 부녀자들의 집단놀이이다.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다가 흥이 나면 중간에 다른 놀이들을 하는데, 도굿대 당기기도 그러한 여흥놀이의 하나이다....
-
※분야 수정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여성들이 집안에서 엽전을 가지고 하는 놀이....
-
「배돌기」는 ‘남한산성도척이야’에 들어가는 여흥놀이 중 하나. 남한산성도척이야는 ‘남원산성도척놀이’ 혹은 ‘남원선선도재기야’라고도 한다. 일종의 강강술래 여흥놀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1에서 10까지 숫자가 새겨진 엽전으로 하는 민속놀이. 살랭이놀이는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전승되는 남성 중심의 투전놀이에 속하는데, 살랭이노래라는 음영식(吟詠式)의 노래를 통해 놀이가 이루어진다.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는 사시랭이놀이라는 명칭으로 전승되고 있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진도다시래기에서 빈 상여를 메고 벌이는 놀이. 진도다시래기는 부모의 상을 당한 상주와 유족들의 슬픔을 덜어주고 위로하기 위하여 출상 전날 밤늦도록 벌이는 민속놀이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로서,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집단가무였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로서,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집단가무였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놀이. ‘실구리 감자’는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가사처럼 ‘실꾸리 감자 명주꾸리 감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실구리는 실꾸리의 진도지방 방언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서 강강술래가 끝난 후 부수적으로 하는 놀이. 여물썰자는 강강술래가 끝난 후, 편을 둘로 나눈 뒤 서로 힘을 겨루는 놀이의 일종이다....
-
※분야 수정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주로 하는 아이들 놀이의 하나....
-
전라남도 진도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민속놀이. 쥐잡기놀이는 다리세기놀이를 통해 고양이 역할을 할 사람과 쥐 역할을 할 사람을 뽑은 후, 고양이 역할을 하는 사람이 눈을 가리고 쥐 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잡는 놀이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해안 일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로서,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집단가무였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행해지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서남해안 일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로서,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집단가무였다. 차첨지놀이는 강강술래의 여흥놀이 중 하나로서 외따먹기놀이라고도 하였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강강술래를 할 때 행하는 여흥놀이의 하나. 강강술래는 전라남도 서남해안 지역에서 부녀자들에 의해 전승되는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다. 강강술래의 기본 형태는 서로 손을 잡고 둥글게 돌며 춤을 추는 원무이다. 청어엮고 풀기는 이러한 놀이 끝에 하는 것으로 청어를 엮듯이 강강술래하던 사람들의 손과 손을 엮었다가 푸는 놀이이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처녀나 젊은 색시들이 모여서 놀던 놀이. 춘향내론다놀이는 음력 설이나 보름, 추석 등의 명절이나 농한기에 젊은 여자들이 ‘춘향’이라고 부르는 신을 불러내서 노는 놀이로, 주로 방안에서 연행된다. 진도군에서뿐만 아니라 전라북도,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여러 지방에서 연행되는 놀이로 「꼬대각시놀리기」나 「춘향내리기놀이」 등으로도 불린다....
-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놀이. ‘콩동팟동’ 놀이는 호남농악에서 연행되는 ‘콩동지기’와 비슷한 놀이로, 두 사람씩 한 조를 이루어 서로 등을 맞대고 서서 상대방의 허리를 뒤로 하여 잡고 한 번씩 번갈아 가면서 등에 졌다 내렸다 하면서 논다....
-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두 사람이 서로 한 손을 잡고 제자리에서 돌면서 노는 놀이. ‘행기돌아 복개돌아’는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서 노는 놀이이다. 먼저, 상대방의 한 손만 서로 잡은 다음 잡아당긴다. 그런 후 왼쪽과 오른쪽으로 번갈아 돈다. 이때 “행기돌아 복개돌아, 내칼도라 끈달아 주마.”라는 소리를 한다. 또는 한 사람이 “지주영감[제주도] 붕알 따러 가자.”라는 소리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