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523
한자 海雲臺區-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in Haeundae-gu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영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 세거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성씨 세거지.

[개설]

해운대구의 자연 마을은 농업과 어업을 주업으로 하는 마을로 구분된다. 먼저 전자는 석대천 유역과 수영강의 좌안, 춘천 유역 분지에 주로 입지하고 있다. 하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퇴적 지형이 형성되고 계류천 유역에 곡저 평야를 끼고 있어 마을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었다. 후자는 수영만과 송정 일대 해안에 입지하고 있다. 동해안은 바위와 모래 해안이 조화를 이루어 어촌이 형성될 만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런 농업과 어업을 주로 하는 자연 마을이 장산을 중심으로 송정동에서 반송동까지 31곳에 이른다.

[현황]

해운대구의 자연 마을에 세거하는 성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반송동 반송 마을에는 남원 양씨(南原梁氏)[반송재, 이하 괄호 안은 재실을 지칭], 운봉 마을에는 광주 김씨(光州金氏)[운봉사]와 동래 정씨(東萊鄭氏)[운곡재]가 있다. 석대천 하류 석대동 상리 마을에는 창원 구씨(昌原具氏)[충효원], 하리 마을에는 영양 천씨(潁陽千氏)[정려각]가 세거한다.

수영강 중류 반여동 상리 마을에는 여산 송씨(礪山宋氏)[영모재]와 남평 문씨(南平文氏), 삼어 마을에는 여산 송씨[영모당동래 정씨(東萊鄭氏)[인화당남평 문씨 세거지가 있다. 중리 마을에는 청도 김씨(淸道金氏)[동영재]와 남평 문씨 세거지가 각가 있다.

수영강 하류 재송동 재송 마을에는 압해 정씨(狎海丁氏)[장산재], 뒷골 마을에는 은진 송씨(恩津宋氏)[재송재, 송문 삼성 회관] 세거지가 있다. 해운대 춘천 유역 상류 좌동좌동 마을에는 김해 김씨(金海金氏)[덕송재]와 김녕 김씨(金寧金氏) 세거지가 있고, 춘천 중류 중동오산 마을에는 밀양 박씨(密陽朴氏)[행오재동래 정씨 세거지가 있다. 또 온천 마을에는 신안 주씨(新安朱氏)가 있다. 장지천 상류 우동장지 마을에는 김해 김씨 안경공파[선황사]와 한림공용파가 세거한다.

어촌 자연 마을인 중동미포 마을에는 인동 장씨(仁同張氏)[옥운재]가, 청사포에는 연일 정씨(延日鄭氏)가 세거한다. 송정동송정 마을에는 광주 노씨(光州盧氏)[문중 회관], 구덕포 마을에는 함안 조씨(咸安趙氏)가 세거하고 있다.

이상의 세거 성씨는 전국 여러 지역에서 들어와 자리 잡았는데, 주로 왕조 멸망, 전란, 정변, 사화 등을 피하여 동래 지방 산골 오지나 바다 해안을 통해 이거하였다. 이들 세거 성씨는 임진왜란 때 특히 공신을 많이 배출하였다. 선무 원종공신으로 장지 마을 김해 김씨 안경공파의 김희수(金希壽), 좌동 마을김녕 김씨 충의공파 김복, 석대 마을 창원 구씨 석대파 구영취, 반송 마을의 남원 양씨 평창공파 양조한·양통한, 중리 마을청도 김씨(淸道金氏) 서동파 김사위, 운봉 마을의 남평 문씨(南平文氏) 동래 종중 문덕겸(文德謙)·문세휘(文世輝)·문택용 등이다.

그러나 1970년대 도시 개발로 많게는 50여 가구에 이르던 세거 성씨가 점점 사라지게 되었다. 특히 다음의 여러 원인이 성씨 세거지의 해체를 부추겼다. 첫째는 혈연적인 결합 의식을 고취하는 문중 행사가 없고, 둘째는 정보 사회에서 지역적 공동체의 성격을 잃어 가며 동성 집단 성원의 많은 이주 대신 비동족의 전입이 많다. 셋째는 문중 가문을 고수해 온 종가의 몰락과 문중 주체 세력이 없어졌으며, 넷째는 가문을 중시하거나 조상을 숭배하는 등의 가치관이 변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