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216
한자 東萊高等學校
영어의미역 Dongnae High School
이칭/별칭 동래고,동래고교,동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285번길 22[칠산동 36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종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고등학교
설립자 신명록[동래기영회]
전화 051-555-0151
홈페이지 동래고등학교(http://dongnae.hs.kr)
개교 시기/일시 1898년 9월 1일연표보기 - 공립동래부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23년 4월 2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285번길 22[칠산동 360]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04년 3월 1일 - 개양학교에 흡수
개칭 시기/일시 1906년 3월 1일연표보기 - 삼락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07년 11월 5일연표보기 - 삼락학교에서 사립동래동명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6년 10월 5일연표보기 - 사립동래동명학교에서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2년 4월 24일연표보기 -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에서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5년 4월 1일연표보기 -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에서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8년 4월 1일연표보기 -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에서 동래공립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 9월 1일연표보기 - 동래중학교와 분리하여 동래고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11월 7일 - 개교 100주년 행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7월 31일 - 제33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 고교 축구 대회 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8월 19일 - 제45회 부산 MBC 전국 고교 축구 대회 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12일 - 제91회 전국 체육 대회 테니스 개인전 및 단체전 금메달 획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7년(동래고보 1회) - 곽상훈 졸업[제1회 졸업생, 독립운동가, 전 국회 의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6년 - 고 유치환 귀국 후 편입[시인]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8년 3월 - 고 김정한 졸업[소설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8년 - 고 허웅 졸업[한글학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7년 2월 - 박관용 졸업[제33회 졸업생, 전 국회의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3년 2월 - 김호 졸업[제39회 졸업생, 전 축구 국가 대표 감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0년 2월 - 김호곤 졸업[제46회 졸업생, 전 축구 국가 대표 감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2월 - 박정태 졸업[제63회 졸업생, 전 롯데자이언츠 선수·코치]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2월 - 최용수 졸업[제66회 졸업생, FC 서울 축구 감독]
최초 설립지 공립동래부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구 경상남도 동래부 동래읍성 내 군관청 뒤편의 한문 소학교 아래채]
주소 변경 이력 사립동래동명학교 - 부산시 동래구 수안동
주소 변경 이력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285번길 22[칠산동 360]
현 소재지 동래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285번길 22[칠산동 36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민족 학교의 전통과 긍지를 계승하는 동고인 육성,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 세계화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힘 기르고 뭉쳐서 내일의 일꾼 되자’이다.

[변천]

1898년 9월 1일에 신명록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육영 사업 단체 기영회가 초등 교육 기관으로 동래성 내 군관청(軍官廳) 인근에 설립하여 1903년(고종 40)까지 존속한 공립 동래부학교동래중학교의 모체이다. 1904년(고종 41) 4월 1일에 일본인에 의해 동래성 내 서계소(書契所)에 설립된 개양학교동래부학교가 흡수되었고, 이에 1906년(고종 43) 3월 1일 기영회가 동래성 내 수성청(守城廳)[구 학산여자중학교 부지]에 삼락학교를 설립해 대항하였다. 개양학교는 폐교되고 학생들은 신설된 삼락학교로 1907년(순종 1)에 편입되어, 같은 해 11월 5일에 사립동래동명학교로 개편되었다. 1916년 10월 5일에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인가되었으나, 「조선 교육령」의 개정과 재단의 요청으로 1922년 4월 24일에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되었다.

1923년 4월 2일에 동래기영회에서 제공한 동래구 칠산동의 부지[현 동래고등학교 부지]로 교사(校舍)를 신축 이전하였고, 1925년 4월 1일에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38년 4월 1일에 동래공립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51년 9월 1일에 동래중학교와 분리하였다. 1964년 8월 23일에 대화재로 교사가 소실되어, 1968년 7월 1일에 신축 공사로 본관이 완성되었다. 2012년 3월 1일에 제28대 조현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89회 졸업식을 통해 497명이 졸업하여 총 3만 358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졸업생 중에는 유명 인사가 많다. 독립운동가이자 전 국회 의원인 곽상훈이 제1회 졸업생이며, 시인 유치환이 1926년 귀국해 학교를 다녔으며, 1928년에는 소설가 김정한이 졸업하였다. 1938년 한글학자인 허웅, 1957년 전 국회 의장인 박관용, 1963년 전 축구 국가 대표 감독인 김호, 1970년 전 축구 국가 대표 감독인 김호곤, 1987년 전 롯데 자이언츠 선수·코치인 박정태, 1990년 FC 서울 축구 감독인 최용수가 졸업하였다.

[교육 활동]

동래고등학교 전통의 창조적 계승, 실천·체험 중심의 인성 교육 강화, 교실 수업 개선을 통한 학력 신장, 자율과 책임의 학생 생활 지도, 국제적 역량과 마인드 제고 등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는 체험과 실천 중심의 인성 교육을 통한 학교 전통의 창조적 계승, 명사 초청 강연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 및 진로 탐색의 기회 제공 등을 실시하고 있다. 1995년 3월 25일에 ‘우리의 다짐’을 제정하였고, 그해 11월 4일에 항일 운동 기념탑을 건립하였으며, 1998년 11월 7일에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가졌다. 학교 운동부는 2006년 7월 31일 제33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 고교 축구 대회와 2009년 8월 19일 제45회 부산 MBC 전국 고교 축구 대회에서 우승을 하였으며, 2010년 10월 12일에는 제91회 전국 체육 대회 테니스 개인전 및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유치환/작곡 김동진]

우람히 굽이쳐 온 아세아의 거창한 얼이/ 여기 장산 기름진 벌 끝 그 염원을 이루었나니/ 거룩할 손 어진 겨레의 슬기 받아 일어선 자/ 동고는 정의와 인도의 횃불 우렁차게 솟쳐 올렸네/ 망월대 위에 걸린 하늘 휘영청 푸르고/ 사나이의 벅찬 뜻은 멀고도 높거니/ 동고 동고 거룩하다 그 이름/ 동고 동고 빛내리라 영원히.

2. 교목: 소나무로 강인한 의지와 씩씩한 기상을 상징하며, 국가의 유능한 인재인 동량 양성을 의미한다.

3. 교화: 국화이다. 격정과 고통을 견디어 낸 성숙한 인간의 인고와, 고고한 기품과 절개를 지키는 군자를 상징한다.

4. 교조: 까치이다. 반가운 소식을 알려 주는 길조로, 은혜를 아는 의로운 삶의 자세와 좋은 인연을 맺어 주는 다리를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37학급에 1,473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2학급에 491명, 2학년은 인문계 4학급에 171명, 자연계 8학급에 318명, 3학년은 인문계 4학급에 170명, 자연계 8학급에 323명이 재학하고 있으며, 특수 학급이 1학급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2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21명으로 총 55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3만 6217㎡로, 역사관, 도서관, 발간실, 화학실, 생물실, 물리실, 지학실, 방송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넓은 대지와 건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선택 중심의 교육 과정 적용에 적합한 교육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