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220
한자 東萊中學校
영어의미역 Dongnae Middle School
이칭/별칭 동래중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삼성대7길 117[명륜동 661-1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만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중학교
설립자 신명록 외[동래기영회]
전화 051-790-0800
홈페이지 동래중학교(http://dongnae.ms.kr)
개교 시기/일시 1898년 9월 1일연표보기 - 공립동래부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23년 4월 2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360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52년 4월 20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삼성대 7길 117[명륜동 661-10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04년 3월 1일연표보기 - 공립동래부학교에서 개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06년 3월 1일연표보기 - 삼락학교로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07년 11월 5일연표보기 - 삼락학교에서 사립동래동명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6년 10월 5일연표보기 - 사립동래동명학교에서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2년 4월 24일연표보기 -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에서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5년 4월 1일연표보기 -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에서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8년 4월 1일연표보기 -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에서 동래공립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 9월 1일연표보기 - 동래고등학교와 분리하여 동래중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12월 26일 - 전국 체육 교육 활동 최우수교 표창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2월 15일 - 교육 활동 유공 학교 표창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9월 19일 - 제39회 청룡기 쟁탈 전국 축구 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7월 23일 - 제26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축구 대회 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7월 9일 - 제30회 대한배구협회장배 배구 대회 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7월 25일 - 제32회 대한배구협회장배 전국 배구 대회 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6월 20일 - 전국 소년 체전 테니스 단체부 준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6월 3일 - 전국 소년 체전 테니스 은메달 획득, 축구 동메달 획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2년 2월 - 조용기 졸업[제2회 졸업생, 종교인[목사], 국민일보 이사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8년 2월 - 고 김진재 졸업[제8회 졸업생, 전 정치인[국회 의원], 전 기업인[DRB]]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2월 - 고 이수현 졸업[제40회 졸업생, 일본 유학 시절 지하철역에서 일본인 구하고 의사(義死)]
최초 설립지 공립동래부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구 경상남도 동래부 동래읍성 내 군관청 뒤편의 한문 소학교 아래채]
주소 변경 이력 사립동래동명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주소 변경 이력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360[구 부산부 동래읍 칠산리]
주소 변경 이력 동래중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삼성대 7길 117[명륜동 661-10]지도보기
현 소재지 동래중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삼성대 7길 117[명륜동 661-1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건강한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되고 부지런하여 쓸모 있는 사람이 되자’이다.

[변천]

1898년(고종 35) 9월 1일에 신명록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육영 사업 단체 기영회가 초등 교육 기관으로 동래성 내 군관청(軍官廳) 인근에 설립하여 1903년(고종 40)까지 존속한 공립동래부학교동래중학교의 모체이다. 1904년(고종 41)에 일본인에 의해 동래성 내 서계소(書契所)에 설립된 개양학교동래부학교가 흡수되었고, 이에 1906년(고종 43) 3월 1일에 기영회가 동래성 내 수성청(守城廳)[구 학산여자중학교 부지]에 삼락학교를 설립해 대항하였다. 개양학교는 폐교되고 학생들은 신설된 삼락학교로 1907년(순종 1)에 편입되어, 1907년 11월 5일에 사립동래동명학교로 개편되었다.

1916년 10월 5일에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인가되었으나, 「조선 교육령」의 개정과 재단의 요청으로 1922년 4월 24일에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되었다. 1923년 4월 2일에 동래기영회에서 제공한 동래구 칠산동의 부지[현 동래고등학교 부지]로 교사(校舍)를 신축하여 이전하였고, 1925년 4월 1일에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38년 4월 1일에 동래공립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51년 9월 1일에 동래고등학교와 분리하여 동래중학교[3년제]가 되었다. 이후 1952년 4월 20일에 동래구 명륜동의 현재 교사로 이전하였다. 2012년 2월 10일에 제62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3만 434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동래중학교는 일제 강점기에 항일 운동을 펼친 학교로 유명하다.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 시절인 1919년 3월 13일 3·1 운동에 뒤이은 항일 학생 운동을 시작으로,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시절인 1929년 12월 20일 광주 항일 학생 운동에 응하여 동맹 휴학(同情盟休) 운동을 벌였다. 동래공립중학교 시절인 1940년 11월 23일에는 부산제2상업학교[현 개성중·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 ‘노다이 사건’을 일으키는 등 찬란한 항일 운동 역사를 가지고 있다.

[교육 활동]

동래중학교는 지식 기반 사회를 주도할 창의적 인적 자원 개발, 바른 인성과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간성 함양, 학생 건강 관리 및 보건·체육 교육 충실 등을 학교장 경영 목표 및 방침으로 정하고 교육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는 기초 학력 신장을 위한 ‘동래 프로젝트’ 운영, 안전하고 우정이 넘치는 즐거운 학교 만들기 등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기본 생활 습관 형성과 공경심, 봉사 정신과 공동체 의식 등을 배양하고, 서로 사랑하며 소중히 여기는 넉넉하고 따뜻한 심성을 함양하기 위해 ‘작은 실천, 큰 보람 3F[From] 운동[From I:나부터, From Now:지금부터, From Small:작은 일부터]’을 운영하고 있다.

1988년 12월 26일에 전국 체육 교육 활동 최우수교 표창[체육부]을 받았고, 1994년 12월 15일에는 교육 활동 유공 학교 표창[교육부]을 수상하였다. 1995년 9월 19일 제39회 청룡기 쟁탈 전국 축구 우승, 1999년 7월 23일 제26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축구 대회 우승, 2003년 7월 9일 제30회 대한배구협회장배 배구 대회 우승, 2005년 7월 25일 제32회 대한배구협회장배 전국 배구 대회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2006년 6월 20일에는 전국 소년 체전 테니스 단체부 준우승을, 2008년 6월 3일에는 전국 소년 체전 테니스 은메달, 축구 동메달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언철/작곡 김상을]

금정산 영봉 아래/ 우뚝 솟은 진리의 보금자리/ 갈려서 빛나는 금강석들아/ 학소대 저 송백의 지조를 품고/ 장산의 솔개보다 더욱 날래세/ 선배의 귀한 선혈 방울방울 어리어/ 서천물 붉혀서 담긴 듯이 흐른다/ 잊지 마라 숭고한 뜻 가슴에 새겨/ 전통의 동래중학 길이길이 빛내자.

2. 교목: 소나무로 올곧은 마음과 늘 푸른 기상, 한결같은 사람을 상징한다.

3. 교화: 장미로 단정한 용모와 화려한 개성, 함께하는 태도를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0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727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7학급에 256명, 2학년은 6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225명, 3학년은 7학급에 246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7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20명으로 총 59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3만 2853㎡로, 도서관, 과학실, 컴퓨터실, 미술실, 음악실, 역사실, 알뜰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