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중기 진도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금천. 김장생의 제자이며 우의정을 역임한 강석기(姜碩期)[1580~1643]의 둘째 아들이다....
-
조선 말기의 의병. 충청남도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맞서 싸우다가 체포되어 진도로 유배되었다....
-
조선후기 신임사화로 진도에 유배된 광산김씨 인물. 조선후기 광산김씨 집안은 격화되는 노론·소론 당쟁의 중심부에 있었다. 김춘택(金春澤)[1670~1717]은 노론으로 광산김씨 명문가 출신이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인경왕후(仁敬王后)[1661~1680]의 아버지이자 숙종의 장인이었던 김만기(金萬基)였고, 숙부는 당대 문장가로 유명한 김만중(金萬重)이었다....
-
조선 중·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구지(久之), 호는 문곡(文谷). 증조부는 김극효(金克孝)이고, 조부는 김상헌(金尙憲)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김광찬(金光燦)이다. 어머니는 목사 김사(金瀉)의 딸이다. 형은 김수흥(金壽興)이고, 아들은 김창집(金昌集)·김창협(金昌協)이며, 손자는 김제겸(金濟謙)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보숙(輔叔), 호는 유와(牖窩). 증조부 김창업(金昌業)은 진도에 유배와서 사사당한 김수항(金壽恒)의 넷째 아들이고, 할아버지는 김우겸(金祐謙)이다. 아버지는 김유행(金由行)이며 어머니는 이덕영(李德英)의 딸이다. 형제는 형으로 김이흥(金履興)·김이인(金履寅)이 있고, 서제로 김이진(金履眞)이 있다. 자식으로는 김철순(金徹淳)·김휘순(...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무숙(茂叔), 호는 광남(光南). 할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이고, 아버지는 참판을 지낸 김반(金槃)이며, 어머니는 첨추(僉樞) 김진려(金進礪)의 딸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경어(景魚). 아버지는 성균진사 김흠(金欽), 할아버지는 김승석(金承碩), 증조부는 김결(金潔)이다. 동생은 김효재(金孝哉), 김현재(金賢哉), 김덕재(金德哉), 김강재(金强哉) 등이다. 아들은 김백함(金白緘)이고, 사위는 황보신(皇甫信)이다....
-
조선 후기 신임사화로 진도에 유배된 광산김씨 인물. 조선 후기 광산김씨 집안은 격화되는 노론·소론의 당쟁의 중심부에 있었다. 김춘택(金春澤)[1670~1717]은 노론으로 광산김씨 명문가 출신이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인경왕후(仁敬王后)[1661~1680]의 아버지이자 숙종의 장인이었던 김만기(金萬基)였고, 숙부는 당대 문장가로 유명한 김만중(金萬重)이었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중휘(仲輝), 호는 의졸(宜拙). 좌의정 남지(南智)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남아(南啞)이고, 증조부는 남언순(南彦純), 아버지는 평강현감 남리(南裡)이다. 어머니는 서주(徐澍)의 딸이다. 아들은 남세하(南世夏)·남상하(南相夏)·남수하(南壽夏)·남성하(南聖夏)·남서하(南瑞夏)·남경하(南敬夏)·남덕하(南德夏)가 있다. 사위는 민진장(閔鎭...
-
전라남도 진도에 유배되었던 조선 중기의 문신. 노수신(盧守愼)[1515~1590]의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 우의정 노숭(盧嵩)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노경장(盧敬長)이고, 할아버지는 노후(盧珝)이고, 아버지는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 노홍(盧鴻)이다. 1531년 성리학자로 명망 높은 이연경(李延慶)의 딸...
-
한말의 의병장으로 진도에 유배된 문신. 1895년 을미사변 후 벼슬을 버리고 충청남도 정산으로 우거, 운둔하였다가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되자 의병을 일으켰다. 홍주성 점령 후 일군에 패하여 재기를 도모하던 중에 붙잡혀 진도로 유배되었다....
-
조선말기 진도로 유배된 의병. 1868년(고종 5)년에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났다. 궁내부주사, 의병대 향관으로 의병 활동을 하다가 1939년에 향년 72세로 타계하였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정오(靜吾), 호는 현포(玄圃). 증조부는 신숙(申淑)이고 조부는 신중엄(申仲淹)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신식(申湜)이고 어머니는 광주인(光州人) 노개(盧塏)의 딸이다. 처는 동래인 정창연(鄭昌衍)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원서(元瑞)·군서(君瑞), 호는 묵재(默齋)·묵치(默癡)·적안(適安). 첨정(僉正) 신목(申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성 신민일(申敏一)이고, 아버지는 부사 신상(申恦)이며, 어머니는 이흥인(李興仁)의 딸이다. 동생으로 신명륭(申命隆)이 있고, 아들에 신유, 신임, 신심, 손자에는 신사철(申思喆), 신사영(申思永), 신사건(申思建...
-
고려 후기 삼별초의 토벌에 참여한 몽고 원수. 1270년(원종 11) 몽고 원수 아해(阿海)는 전라도추토사로 임명된 김방경과 함께 진도로 삼별초를 토벌하기 위해 갔다. 아해는 김방경과 함께 삼견원(三堅院)에 주둔하면서 삼별초와 여러 날 대치하였다....
-
고려후기 왕족으로 진도현에 유배된 인물. 1153년(의종 7)에 고려 18대 국왕 의종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장경황후 김씨이다. 초명은 왕홍(王泓)이고, 효령태자(孝靈太子)로 봉해졌다....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장흥. 고려 중기 예종대에 문장으로 명망을 떨치고 문하시중을 역임한 위계정(魏繼廷)이 9대조이다. 위충(魏祌)의 아버지는 위윤기(魏潤琦)이다.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면 방촌에서 태어났으며 그 후손들이 현재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에 살고 있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방숙(方叔), 호는 취옹(醉翁). 유영(兪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대의(兪大儀)이고, 아버지는 예조참의 통훈대부(通訓大夫) 유성증(兪省曾)이며, 어머니는 구준(具濬)의 딸이다. 아내는 풍천 임효달(任孝達)의 딸이다. 형으로 유황(兪榥)이 있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희순(希醇), 호는 묵곡(墨谷)·묵암(墨巖). 태사(太師) 이도(李棹)의 후손이며, 부여감무 이의(李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감 이대종(李大種)이고, 아버지는 이영(李潁)이며, 어머니는 생원 채소명(蔡紹明)의 딸이다....
-
고려전기 진도에 유배된 인물. 고려 인종 때 척신 이자겸의 아들이다. 1126년(인종 4) 이자겸이 척준경(拓俊京) 등의 거사로 붙잡히는 난이 일어났을 때, 그 처와 큰아들 이지윤이 영광으로 유배되고 다른 아들들도 모두 유배되었다. 그 중 이공의는 진도에 유배되었다....
-
진도에 유배되었던 조선 후기의 문인, 서화가. 본관은 전주. 자는 도보(道甫), 호는 원교(園嶠) 또는 수북(壽北). 아버지는 예조판서를 지낸 전주이씨 이진검(李眞儉)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비변사의 낭관을 지냈다. 1623년(인조 1) 이순혐이 허위로 계본(啓本)을 만들어 여러 관리들에게 돌리고 왕의 윤허까지 받은 일이 있었다. 그 내용은 “이순혐(李純馦)은 이미 3년이나 되었음에도 아직 실직(實職)으로 공로에 대해 보답하는 은전(恩典)이 없어 쓸쓸해하는 마음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에 해당하는 수령(守令)에 결원이 생기게 되면 우선 제수할 것을...
-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대년(大年). 아버지는 안성군의 호장(戶長)으로 경군(京軍)이 된 이중선(李仲宣)이다. 고려 16대 국왕 예종의 측근 세력인 한안인의 매서(妹壻)이다....
-
조선 중기 진도로 유배된 상궁. 상궁 이정민(李貞敏)은 1643년(인조 21) 7월 인조의 총애를 받던 조귀인(趙貴人)을 저주했다는 죄목으로 진도로 유배되었다. 상궁 이씨가 여종 애향(愛香) 등과 함께 모의하여 조귀인(趙貴人)을 해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일설에는 조귀인(趙貴人) 스스로 저주 사건을 꾸며내어 상궁 이씨를 모략하기 위한 것이었다고도 한다. 유배된 이정민은 같은 죄목으...
-
조선전기 때 진도로 유배된 이시애의 딸. 이시애(李施愛)는 1467년(세조 13) 함경도민들을 선동해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반란이 실패한 후, 이시애는 참살되고 그와 관련된 자들은 유배되었다. 그 후 성종 때 이시애의 첩 막금의 아들 이장손(李將孫)과 딸 이흔비(李欣非)가 진도에 유배되었다. 이장손의 생활은 김화(金化)의 관노(官奴) 가구지(加仇之)가 책임지게 하였고, 이흔비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사극(士克), 호는 퇴수재(退修齋). 조박(趙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견소(趙見素)이고, 아버지는 감역 조시채(趙始采)이다. 어머니는 최득일(崔得一)의 딸이다. 아내는 변세구(邊世耉)의 딸이다. 형으로 조성집(趙聖集)이 있다....
-
조선 후기의 유생. 1696년(숙종 22) 7월 21일 방찬(方燦) 등이 장형(張炯)의 묘에 목인(木人)을 묻어 서인을 모해하려 한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건이 동궁(東宮, 후일의 경종)에게 불리하다 여긴 채제윤(蔡悌胤)은 강오장(姜五章)과 윤종서(尹宗緖)에게 그 부당함을 상소하기를 권하였다. 소초는 윤종서가 짓고 강오장은 상소문을 썼다....
-
조선 중기 진도에 유배된 문신. 자는 국이(國耳). 할아버지는 중추부경력(中樞府經歷)을 지낸 허진(許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