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31078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죽림리 산222 일원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덕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2년 2월 29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여귀산봉수 진도군 향토문화유산 유형유산 제16호에서 진도군 향토유형유산으로 변경 |
현 소재지 | 여귀산봉수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죽림리 산222 일원![]() |
원소재지 | 여귀산봉수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죽림리 산222 일원 |
성격 | 관방 시설|통신시설 |
소유자 | 진도군 |
관리자 | 진도군 |
문화재 지정 번호 | 진도군 향토문화유산 유형유산 제16호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죽림리 여귀산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
[개설]
여귀산(女貴山)[457m]은 진도 남단에서 제일 높은 산으로, 남쪽 해안이 거의 모두 관찰될뿐더러 남쪽의 상당곶연대와 남동쪽 굴포연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여귀산 봉우리 자연 암벽 위에 조성된 여귀산봉수는 조선의 5개 봉수망 가운데 ‘제5거’에 속하여, 동쪽의 해남 관두산 봉수대에서 연락을 받아 북쪽의 첨찰산 봉수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형태]
암반 위에 50×30㎝ 정도의 막돌을 이용하여 ‘막돌허튼쌓기’ 방식으로 지름 6m, 높이 4.5m의 원형으로 조성되었다. 봉수대에는 봉수군이 화목을 비치해 놓고 상주하였기 때문에 주거시설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봉수대가 몇 개 있었는가는 알 수 없지만, 2024년 기준 완전히 도괴되어 주위에 석재 편들이 흩어져 있다. 여귀산봉수는 2012년 2월 29일 진도군의 향토문화유산 유형유산 제16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관련 조례에 따라 진도군 향토유형유산으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