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31050 |
---|---|
영어공식명칭 | Jindo Dog Medical Center |
이칭/별칭 | 진도개 동물병원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성죽골길 30[동외리 268-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숙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동외리에 있는 진도개 전문 동물병원.
[개설]
‘진도개’란 진도군이 원산지인 개로서 진도군이 「한국진도개 보호·육성법」 제5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진도개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정하여 고시하는 혈통 및 표준 체형을 갖춘 개를 말한다. 한국 진도개는 균형이 잘 잡힌 중형견이며, 사냥 및 번견으로 이용되고 있다. 귀는 직립하여 있으며, 꼬리는 말려서 올라가 있거나 장대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경계심이 있으며, 민첩하고 힘이 있고 위엄이 있다. 체고와 체장의 비율은 10 대 10.5이다.
진도개는 뛰어난 방향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주인을 따르나 주인이 바뀌었을 때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 주인을 받아들이기는 하지만 강아지 때부터 기른 주인에 대한 애착을 잊지 않는다. 몸 관리를 깨끗이 하며, 음식을 게걸스럽지 않고 깔끔하게 먹는다. 수렵에 대한 강한 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대담하고 용감하며 기민하면서도 신중하고 유혹에 쉽게 넘어가지 않고 맹렬한 성격을 갖추고 있다.
진도군 메디컬센터에서 대상으로 하는 진도개는 「한국진도개 보호·육성법」 제4조의 규정에 의거, 진도개보호지구 안에서 사육하고 있는 모든 진도개와 그 자견을 말하며, 관외에 반출된 진도개와 그 자견은 대상에 포함하지 않는다.
[설립 목적]
진도개 메디컬센터는 진도개 관리와 보호 체계를 개선하여 진도개 양육 농가의 불편을 해소하고, 진도개 혈통 관리와 명견 진도개의 위상을 이어 나가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진도군에서는 총사업비 15억 원을 투입하여 2011년 5월 30일 부지면적 3,569㎡, 건축면적 1,162㎡[지상 3층] 규모로 진도개 메디컬센터를 완공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진도개 메디컬센터에서는 진도개의 건강을 위하여 예방접종과 구충제 등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진도개만을 위한 시설로 일반 반려동물 진료는 하지 않는다.
[현황]
진도개 메디컬센터는 진도군청 진도개사업소에서 모든 업무를 총괄한다. 1층은 동물병원, 2층은 사무실과 연구실, 3층은 다목적 강당으로 운영되고 있다. 바로 옆에 진도개테마파크가 있다. 진도개테마파크에는 진도개의 사육장, 홍보관, 경주장이 함께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체계적인 관리와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진도개 메디컬센터에서는 2023년부터 전문 수의사를 채용해 진료를 시작하였으며, 이로 인해 천연기념물 진도개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가 용이해졌다. 그동안 진도군에는 개를 전문으로 다루는 동물병원이 없어 진도개 양육 농가들이 외지로 나가야 하는 불편을 겪었으나, 수의사 채용으로 진도개 양육 농가에 편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경제적 부담 또한 줄어들게 되었다. 진도군에서는 진단 장비를 추가로 도입하여 수준 높은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의의와 평가]
1982년 세계견종협회는 진도개의 원산지를 한국으로 등록하였다. 2005년에는 세계 최고 권위의 애견 협회인 영국 견종협회 케널클럽에 진돗개를 정식 품종으로 등록하는 데 성공하였다. 영국 왕실의 지원을 받는 케널클럽은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거쳐 진도개를 ‘품종 및 혈통 보호가 잘되어 있는 견종’으로 평가하였다. 명견으로 등록되기까지 삼성 이건희 회장의 숨은 노력도 있었지만 진도개의 본고장인 진도군의 진도개시험연구소[현 진도개테마파크]와 진도개 메디컬센터의 지속적인 활동이 뒷받침되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