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31016
한자 方岩島-
이칭/별칭 방여도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철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방암도(방아섬) - 전라남도 진도군
해당 지역 소재지 방암도(방아섬)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지도보기
성격 무인도
면적 11,801㎡
높이 40m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에 속하는 무인도.

[개설]

방암도(방아섬)는 ‘관매도 8경’의 하나이자 ‘절대보전무인도서’로 보호받는 지역이다. 본섬인 관매도 동북쪽 해안에서 10m 내외의 거리에 있어 썰물 때는 걸어서 건너갈 수 있는 일종의 육계도로, 모양은 타원형이다. 섬 정상부는 거대한 화산 퇴적암체의 아랫부분이 침식되어 마치 버섯 모양 같기도 하고 절구 모양 같기도 한데, 이곳 사람들은 이를 남근바위로 부른다.

남근바위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내려온다. 옛날에 하늘에서 선녀들이 내려와 남근처럼 생긴 이 방아를 들고 곡식을 찧었다고 한다. 예로부터 아이를 갖지 못한 여인들이 이 바위 앞에서 정성껏 기도하면 아이를 갖게 된다고 전해져, 아이를 갖지 못하는 여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선녀들이 남근바위로 방아를 찧었다거나 남근바위에 치성을 드리면 아이를 갖는다는 내용은 유사한 사물에 대한 유감주술(類感呪術)로 해석되며, 남근바위라는 상징을 통해 생산성, 다산성을 강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명칭 유래]

방암도(방아섬)는 하늘에서 선녀들이 내려와 방아를 찧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방에섬, 방여도로도 부른다.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에는 방암도로 나온다.

[자연환경]

방암도(방아섬)는 관매도 해안에 인접한 육계도로, 간조 때는 관매도와 이어져서 걸어다닐 수 있다. 섬은 강한 암석 부분이 파도의 연안 침식작용으로 떨어져서 형성된 해안 지형 중 하나인 시스택(sea stack)이다. 섬 모양은 북서-남도 방향의 타원형이며, 관매도와는 단층선이 통과하면서 차별 침식이 진전되어 분리되었다. 그 모양이 외돌괴나 촛대처럼 주변은 급애로 이루어지고 높이는 40m 정도 솟아 있으며, 정상부에 버섯 모양의 남근바위가 나타난다.

남근바위는 화산 퇴적암인 응회암 층리들이 소금기를 가진 해무의 염풍화와 차별 침식으로 위가 높고 아래가 낮은 과분수 모양을 하고 있어 버섯, 남근 모양처럼 보인다. 이는 사막의 버섯바위나 대만 예류지질공원의 버섯바위와 비슷한 형태이다. 흔히 설악산의 흔들바위와 같은 토어(Tor)는 하나의 바위가 절리로 분리되어 풍화가 되면서 탑 모양을 이룬 경우를 말하며, 방암도(방아섬)의 남근바위는 층리의 차별 풍화와 침식에 의해 형성된 점이 차이가 있다.

[현황]

방암도(방아섬)의 면적은 1만 1801㎡이다. 관매도 북서 해안에 인접하여 간조 때는 걸어서 들어갈 수도 있는데, 정상부의 남근바위는 적당한 거리를 두어야만 형체가 뚜렷하게 보인다.

[참고문헌]
  • 『진도군지』 (진도군·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7)
  •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5)
  • 『진도통계연보』 (진도군, 2023)
  • 『한국섬진흥원 출범 3년 백서』 (행정안전부 한국섬진흥원, 2024)
  • 공공데이터포털_행정안전부_유인도서현황(https://www.data.go.kr/data/15042646/fileData.do)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http://uii.mof.go.kr)
  • About전남의섬(https://islands.jeonnam.go.kr/jnia/ad/si/selectSrchIslaList.d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