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31010 |
---|---|
한자 | 富興山 |
영어공식명칭 | Buheungsan |
이칭/별칭 | 부흥데미,부흥봉(富興峰)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가치리|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철웅 |
전구간 | 부흥산 - 전라남도 진도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부흥산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가치리|지산면 인지리![]() |
성격 | 산 |
높이 | 171m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의 가치리와 인지리의 경계에 자리한 산.
[개설]
부흥산[171m]은 노적봉이 주봉이다. 지력산[327.6m]의 한 자락이 남동쪽으로 분기하면서 부흥산과 큰부엉산으로 이어진다. 부흥산 북동쪽 지력산과의 사이에 말안장과 같은 안부 지형인 와우재가 있어 이를 통하여 지산면 와우리와 동석산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명칭 유래]
부흥산은 부흥데미, 부흥봉(富興峰)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부흥산을 좌·우측으로 나누어 부흥산 주봉보다 낮은 좌측 봉우리 쪽을 작은부흥데미[부흥대미], 주봉을 비롯한 인근을 큰부흥데미[부흥대미]라고 부른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지산면 관리(觀里)에 있다고 나온다.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인지리]에는 지산면 십일시(十日市) 부근에 부흥봉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부용산(芙蓉山)의 자리와 혼동한 것이다.
[자연환경]
부흥산은 풍화에 강한 암석으로 북서-남동 산열의 침식 잔구성 구릉이다. 부흥산 정상부의 지질을 보면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신라층군 진도유문암과 응회암이 대표 암상이며, 부흥산의 기저는 경상계 신라층군 안산암질 응회암이 주를 이룬다.
[현황]
부흥산은 독치마을 뒤쪽에 있는 산이다. 부흥산 아래에 있는 서당샘은 신사당 터 밑에 있는데, 기우제와 충제를 모실 때에는 이 샘물을 갖다 썼기 때문에 주민들은 평소에 이 샘물을 함부로 떠다 먹지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