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31008
한자 南山
영어공식명칭 Namsan
이칭/별칭 내남산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남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철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남산 - 전라남도 진도군
해당 지역 소재지 남산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남산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243.3m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남산리에 있는 산.

[개설]

진도읍의 지형은 남산(南山)[243.3m], 북산(北山)[292m], 철마산(鐵馬山)[298m], 춘산봉(春山峰)[221m] 등으로 둘러싸인 서쪽이 터진 분지이다. 이 중 남산이 북산과 함께 진도읍을 남북으로 감싸고 진도천이 동출 서류하면서 배산임수형을 이루는 점에서, 진도의 북산과 철마산이 주산이라면 남산은 안산(案山)의 형국을 취한다. 남산 남동쪽을 통과하는 왕온로의 왕무덤재에는 고려 후기 삼별초 항쟁 때 죽은 왕온(王溫)의 무덤과 말무덤이라고 불리는 2기의 고분이 자리하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옛날 삼별초 항쟁 때 몽골군에서 쫓기던 왕온이 아들 왕환과 함께 논실골에서 잡혀 죽어서 진도 사람들이 지금의 왕무덤재에 묻어 주었다고 한다.

[명칭 유래]

진도군 치소의 남쪽에 자리해 남산으로 불렀다고 한다. 이칭으로 내남산이라고 한다. 『호남지도(湖南地圖)』[진도]에 남산이 보이고, 『해동지도(海東地圖)』에는 내남산(內南山)의 표기가 보이고 외남산(外南山)이 내남산보다 먼 곳에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부내면(府內面) 두정리(斗井里) 앞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자연환경]

남산진도읍진도천 남쪽에 자리하며, 첨찰산의 남서부 산줄기와 연속되어 있다. 의신천진도천의 분수계를 이루며, 남산의 북서쪽 안부는 왕온로로 진도읍의신면의 경계이면서 동서 횡단로이다. 남산은 경상계 여귀산 응회암으로 용결 응회암[이그님브라이트]과 함화강암력 라필리(lapilli) 응회암이 대표 암상이다.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산성암맥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관입되어 산정부의 암릉을 구성하고 있다.

[현황]

남산은 풍수형국상 진도읍의 안산을 이루고 있다. 서쪽으로는 수약산이 자리한다. 주변에 왕온의 묘가 있고 왕온로를 통해 의신면으로 넘어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