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31005
한자 義新川
영어공식명칭 Euisincheo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철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의신천 - 전라남도 진도군
해당 지역 소재지 의신천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30.03㎢
길이 10.09㎞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남산 남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의신면 만길리 도목방조제를 통해 진도의 동쪽 바다로 유입되는 2급 지방하천.

[개설]

의신면진도읍 사이에 있는 남산[243m]은 의신천진도천의 분수계를 이룬다. 의신천의 상류인 덕신산과 주변의 수리봉[389m]과 첨찰산[485m] 줄기의 여러 산지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길들은 운림산방 아래 사천저수지에서 하나의 물길로 모인다. 이후 의신면 창포리의 창포마을을 지나면서 동쪽으로 흘러 돈지에서 옥대천과 청룡천을 좌안에서 합류한 후 도목방조제에서 바다로 유입된다. 지류인 초상천[초사천]은 덕신산에서 발원하여 남류하고 향동천은 첨찰산에서 발원하여 남동류하여 금계 해안으로 유입된다. 하구역의 갯벌은 간척되어 개간되어 있다.

[명칭 유래]

의신천 지명은 하천이 흐르는 의신면에서 비롯되었다. 고려시대 이곳에 의신향(義新鄕)을 설치하였고, 1437년(세종 19) 의신면이 되어 진도군의 관할이 되었다.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진도]에 ‘의신면(義新面)’ 지명이 표기되어 있다. 의신면 소재지인 돈지리는 과거에 돈대(敦臺)가 있어 유래한 지명이다.

[자연환경]

의신천의 주변 지질은 진도군의 관내 하천들 중 지질과 구조가 가장 복잡한 곳이다. 진도에서 가장 높은 산줄기를 이루는 첨찰산 줄기가 남남동 출구 이외는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여귀산 응회암과 이를 관입하여 염기성 암맥으로 산정부의 암봉을 이루고 있다. 사천저수지의 아래는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산성반암이 노출되어 있고, 백악기 경상계 만길리층의 응회암질로 이루어져 지질상이 복잡하다. 따라서 의신천은 남서류하다가 사천저수지에서 남동류로 방향이 꺾이다가 동동남으로 꺾이면서 저지대에 많은 충적지를 이루고 하구에서 갯벌과 만나 바다로 유입된다.

[현황]

의신천진도천의 동쪽으로 유입되는 하천 중 가장 큰 규모의 2급 지방하천으로 유역면적은 30.03㎢이고, 유로연장은 10.09㎞이다. 의신천의신면을 감싸는 산지를 직각으로 꺾어 남동류와 동류하면서 충적지에서는 대부분 직선화되어 관개되어 있다. 하천 주변은 충적평야로 경지로 활용되고 하구역의 갯벌 역시 대부분 농경지로 간척되었다. 하구에 도목방조제를 건설하여 조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담수화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