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30021 |
---|---|
한자 | 雲林公園 |
이칭/별칭 | 운림삼별초공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의신사천길 15-21[사천리 426]![]()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종년,김현숙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 있는 휴양공원.
[개설]
삼별초(三別抄)는 고려 무신 정권의 특수 부대이다. 이들은 몽골의 잦은 침략에 맞서 고려의 정규군보다 더 강한 전투력으로 활약하였으나, 1270년 원종의 개경 환도 명령과 삼별초 해산령, 몽골과의 강화를 반대하며 자주 국방의 기치를 내걸고 대몽 항쟁을 벌였다. 그 결과 한때는 영호남 백성들의 지지를 받아 진도를 비롯한 전라도 및 경상도 해안 지방과 제주도에 이르는 해상 왕국을 이루어 냈지만, 1273년 2월 1만여 명의 고려와 몽골 연합군에 패함으로써 3년간의 항쟁이 막을 내렸다.
운림공원은 13세기 자주 국방의 가치를 높이 들고 몽골과 맞서 싸웠던 삼별초를 주제로 조성된 공원이다.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첨찰산과 한국 남종화의 성지인 운림 산방 자락에 자리하며, 전통 한옥 숙박, 오토캠핑장, 물놀이장, 파크골프장 등 휴양·레저·체험을 함께할 수 있는 전원 공간이다. 2025년 운림공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건립 경위]
운림공원은 농림 축산 식품부 공모 사업인 농업·농촌 테마 공원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삼별초의 활약 무대인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 88억 원을 투입하여 조성을 완료하고 2013년 4월 15일 운림삼별초공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장하였다.
[구성]
주요 시설로는 삼별초의 활약상과 역사적 의의, 용장 왕궁 발굴 유적 전시 및 삼별초 전적지 설명, 3D 영상관 등 삼별초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삼별초 홍보관이 있다. 그 밖에 드넓은 공원을 배경으로 전통 한옥을 체험할 수 있는 농어촌 체험관[3동 7실], 남도 진성과 삼별초 궁녀 둠벙 미니어처, 배중손 장군과 진도 처자 동백이의 사랑을 스토리텔링한 동백 미로 공원, 삼별초 항쟁 기념 광장, 허브 정원, 자생 초화류원, 27면의 오토캠핑장 등으로 구성되었다.
오토캠핑장은 1~14면은 덱, 15~27면은 마사토 바닥 캠핑장으로, 각각 110㎡ 규모이다. 공동 취사장, 공중 샤워장, 공중화장실, 운동장, 산림욕장[정자, 평상], 매점, 휴게실 등이 있으며 파크 골프장이 인접해 있다. 캠핑장 이용 요금은 주말·성수기는 3만 원, 평일 2만 원이며, 이용 시간은 오후 2시부터 다음 날 오전 11시까지이다.
농어촌 체험관은 세면도구가 제공되는 한옥 펜션으로 8~10명이 수용 가능한 대형 객실[1박 1일 15만 원] 1실, 4~6명이 수용 가능한 중형 객실[1박 1일 10만 원] 2실, 2인 수용의 객실[1박 1일 5만 원] 3실이 있으며, 이용 시간은 오후 3시부터 다음 날 오전 11시까지이다.
[현황]
진도군에는 삼별초 대몽 항쟁 유적지로 진도 용장성[사적]을 비롯하여 남도 석성과 전왕온의 묘 등 삼별초 유적이 산재되어 있다. 아울러 운림공원 주변에는 편백나무 치유의 숲과 운림 예술촌, 첨찰산 등산로 , 물놀이장, 오토캠핑장, 파크골프장 등이 있어 학생들의 삼별초 공부는 물론 가족 휴양지로 적합하다. 이용 시간은 동절기[11~2월] 오전 9시~오후 5시, 하절기[3~10월] 오전 9시~오후 6시이다.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과 설날, 추석이다. 펜션이나 캠핑장을 이용하고 싶으면 전화[평일과 주간 061-540-1174, 공휴일과 야간 061-540-1179]나 운림공원 홈페이지에서 예약을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