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443
한자 珍島-
영어공식명칭 Jindo Stone Laver
영어음역 Jindo Gim
이칭/별칭 곱창김,진도 돌김,진도 찰김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준박종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특산물|해조류
유래지 전라남도 진도군
계절 가을~겨울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자라는 홍조류 보라털과의 해조류.

[개설]

진도에서 김은 해태(海苔), 해의(海衣), 해우 등으로 부른다. 바다의 바위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라는데, 바로 수확한 해조는 ‘물김’이라 하고, 이를 말린 것은 ‘김’이라 부른다. 진도에서 김이 생산되는 곳은 동남쪽 바다로 갯벌이 발달한 원품, 회동, 수품 등지이며, 수협에서 위탁 판매가 이루어진다.

[변천]

진도에서 김 양식이 시작된 것은 40년 전인 1960년 무렵이었다. 양식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대발과 지주식으로 10~20여 척에 불과했지만, 기술이 발달해 깊은 바다까지 양식이 가능한 요즘엔 400~500여 척을 양식하고 있다.

[만드는 법]

진도에서는 김 양식을 9월에 시작해 4월까지 하게 되는데, 9월 초에 김발을 제작하여 중순 무렵까지 포자를 붙인다. 포자는 대여섯 때의 김발을 묶어서 그 위에 포자(김 종자)가 붙은 패각(조개껍질)을 뿌리고 차광막으로 싼다. 이를 다시 비닐로 싸서 잘 묶은 다음 바다에 넣어 둔다. 이렇게 대여섯 나날이 지나면 김발에 포자가 붙는다.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바다에서 꺼내어 부표를 달아 수일 내에 양식장으로 옮겨서 김 양식을 시작한다. 이후 40여 일이 지나면 초사리(첫 채취)를 할 수 있다.

[현황]

김 채취는 날씨에 따라 다르지만 겨울철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며 가격도 좋고 품질도 좋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생산량과 품질이 떨어진다. 양질의 김을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햇볕과 바람을 맞아야 한다.

채취한 김을 사기 위해 해남, 완도, 강진, 장흥 등 여러 지역의 가공업자들이 회동을 찾는다. 수협을 통해서 위탁판매한 김은 중매인을 통해서 가공업자에게 넘겨진다.

곱창김은 10월 말에 10여 일간 조기 생산을 하며, 일반 김은 12월 생산을 시작해 4월 중순까지 채취가 이루어진다. 김은 곱창김, 돌김, 찰김(김밥용) 등으로 나뉜다. 진도군은 2023년 기준 161.28㎢, 23만 5658책의 양식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전국 최대 김 생산지이다. 2024년에는 해양수산부에서 지원하는 ‘김 산업 진흥구역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50억 원[국비·지방비 포함]을 지원받았다.

[참고문헌]
  • 『진도군지』 (진도군·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7)
  • 진도군청(https://www.jindo.go.kr/home/main.cs)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