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옥주이천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050
한자 沃州二千言
영어음역 Okju icheoneon
영어의미역 Two Thousand Words in Okju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병훈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학작품
작가 노수신
창작연도/발표연도 1547년연표보기

[정의]

조선 중기에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 전라남도 진도군에서의 유배 생활에 관한 심사를 읊은 글.

[편찬/발간경위]

「옥주이천언(沃州二千言)」노수신이 진도에 유배 와서 자기의 심사를 이천자(二千字)로 적어 놓은 글로 노수신 선생의 문집인 『소재집(蘇齋集)』에 실려 있다. 진도문화원에서는 1993년 발간한 『진도군 향토사 자료』제2집에 「옥주이천언」 원문을 수록하였다.

[내용]

내가 귀양살이 온지도 어언 반년이 되었구나.

온 포구는 왜적들이 발동하여 피에 젖었고

서까래 사이에 시(詩) 몇 편 걸려 있어 읊으려니

목이 먼저 메이는구나.

멀리 우수영(右水營)을 바라보니

움막들이 언덕 위에 의지하고 있는데 흩어진 군졸들의 거처라네.

온 고을은 분탕되고 전답(田畓)에는 쑥풀만 무성하네.

가엾은 사람들이 서로서로 붙잡고 떠돌아다니니

애처러워 차마 볼 수가 없어 싸릿문을 닫아 버렸네.(후략)

[의의와 평가]

「옥주이천언」은 오언고시체 400구, 총 2,000언(言)으로 이루어진 장편 시이다. 1547년(명종 2)부터 19년간 진도에서 유배 생활을 했던 노수신의 눈에 비친 진도의 풍속과 사회상을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이다. 「옥주이천언」에는 당시 진도의 풍광, 세태, 음식, 의복, 세시풍속 등과 더불어 유배 생활을 한 노수신 개인의 소회가 서술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