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화유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514
한자 文化遺産
영어의미역 Cultural Heritage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옥희나경수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자연유산·무형유산.

[개설]

1962년에 입법이 되어 문화재를 관장해 오던 법제적 근거인 「문화재보호법」이 2024년 「국가유산기본법」으로 변경됨에 따라 명칭은 물론 분류 체계에서도 변화가 일어났다. 「국가유산기본법」을 바탕으로 하여 기존에 문화재라는 명칭이 국가유산으로 변경되었으며, 문화재 업무를 총괄했던 국가기관 역시 문화재청에서 국가유산청으로 바뀌었다. 또한 「국가유산기본법」에 연동하여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자연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무형유산의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및 각각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만들어졌다. 국가유산에 해당하는 3종의 유산에 대한 법령상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문화유산은 우리 역사와 전통의 산물로서 문화의 고유성, 겨레의 정체성 및 국민 생활의 변화를 나타내는 유형의 문화적 유산이다. 문화유산은 다시 3종으로 하위 분류된다. 즉 건조물, 전적(典籍)[글과 그림을 기록하여 묶은 책],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의 유형문화유산, 절터, 옛 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 포함층 등 기념물, 그리고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 민속문화유산이다.

자연유산은 동물·식물·지형·지질 등의 자연물 또는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조성된 문화적 유산이다. 자연유산은 다시 두 종류로 하위 분류된다. 동물, 식물, 지형, 지질,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자연현상, 천연보호구역 등 천연기념물, 그리고 자연경관, 역사문화경관, 복합경관 등 명승이 그것이다.

무형유산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공동체·집단과 역사·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끊임없이 재창조된 무형의 문화유산으로서 전통 공연, 예술, 공예, 미술, 한의약, 농경, 어로, 구전 전통 및 표현, 생활관습, 민간신앙, 놀이, 무예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현황]

진도 지역에는 국가 지정 유산 총 17종, 전라남도 지정 유산 총 22종이 있다. 국가가 지정한 유산 중 문화유산 5종, 자연유산 8종, 무형유산은 4종이다. 국가문화유산 중 보물은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珍島金骨山五層石塔),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珍島雙溪寺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등 2종이다. 사적은 진도 용장성(珍島龍藏城), 진도 남도진성(珍島南桃鎭城), 제5로 직봉-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第5路直烽-珍島僉察山烽燧遺蹟) 등 3종이다. 자연유산 중 명승은 진도의바닷길, 진도 운림산방(珍島雲林山房) 등 2종이며, 천연기념물은 진도의 진도개, 진도 고니류 도래지(珍島-渡來地),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珍島雙溪寺常綠樹林),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珍島上萬里-),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珍島觀梅島厚朴-),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珍島東巨次島流紋巖質團塊) 등이다.

국가무형유산은 강강술래를 비롯하여 남도들노래, 진도씻김굿, 진도다시래기 등 총 4종으로 각각 보존회를 중심으로 하여 전승 활동과 전수 교육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전라남도 지정 유산은 총 22종으로 문화유산 10종, 무형유산 7종, 문화유산자료 5종에 이른다. 문화유산 중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은 진도상만리오층석탑(珍島上萬里五層石塔), 용장사석불좌상(龍蔣寺石佛坐像), 쌍계사대웅전(雙溪寺大雄殿), 진도쌍계사시왕전목조지장보살상(珍島雙溪寺-王殿木造地藏菩薩像),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珍島靑龍寺所藏佛敎典籍)이 있다. 전라남도 기념물로는 전왕온의묘(傳王溫-墓), 진도칠전리학계철비(珍島七田里學-鐵碑), 진도망금산관방성(珍島望金山關防城), 진도초하리무환자나무(珍島草下里無患-), 진도 금갑진성(珍島金甲鎭城) 등이 있다. 전라남도 무형유산으로는 진도북놀이, 진도만가(珍島輓歌), 진도홍주(珍島紅酒), 남도잡가(南道雜歌), 진도소포걸군농악(珍島素浦乞軍農樂), 조도닻배노래, 진도아리랑 등 7종이 지정되어 있으며,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는 금골산마애여래좌상(金骨山磨崖如來坐像), 진도향교(珍島鄕校), 진도읍성(珍島邑城), 진도남동리쌍운교및단운교(珍島南洞里雙雲橋-單雲橋), 진도정유재란순절묘역(珍島丁酉再亂殉節墓域) 등이다.

[특징]

문화유산은 역사적 산물이다. 진도의 문화유산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무형유산이 풍부하다는 것이다. 진도군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민속문화특화지구로 지정되어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풍부한 무형유산 자원이 바탕이 되어 군립국악단이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국립남도국악원진도국악고등학교 등을 통해 공연 및 교육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풍부한 관광자원 및 축제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 국가유산청(https://www.khs.go.kr)
  • 진도군청(https://www.jindo.go.kr/home/main.cs)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