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여지도』 「하양현지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827
한자 輿地圖 河陽縣地圖[奎章閣韓國學硏究院]
영어공식명칭 Map of Hayang-hyeon in Yeojido[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권책 6책
규격 26.5×19.1㎝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하양현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여지도(輿地圖)』 「하양현지도(河陽縣地圖)」 영조 연간에 제작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여지도』[古4709-68] 제4책에 수록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해동지도』를 필사하면서 다른 자료를 참고하여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여지도』 「하양현지도」 의 크기는 세로 26.5㎝, 가로 19.1㎝이다. 지도의 내곽선 밖 상단 여백에 군명(郡名)인 하주(河州)와 화성(花城)이 적혀 있고, 지도의 이면에 주기(註記)가 기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여지도』 「하양현지도」 의 읍치에는 객사와 아사·동헌·사창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읍치 북쪽에는 진산인 무락산과 사단, 북동쪽에는 여단·향교·망춘정, 서북쪽에는 금호서원, 남서쪽에는 시산봉(匙山烽), 남쪽에는 성황단이 있다. 도로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방리는 황색 바탕의 직사각형 안에 표기되어 있다. 기록된 방리는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지역인 구읍내·마양면, 경산시 와촌면 지역인 와촌면, 경산시 진량읍 지역인 낙산면·중림면,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안심면이 있다.

산줄기는 회화적으로 묘사하였다. 북쪽과 서쪽 경계에는 팔공산·초례산·별방산·광명산 등이 있고, 남쪽 자인 경계에는 금전산·외적산 등이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는데, 금호강이 읍치 남쪽을 흐르며 팔공산에서 흘러오는 지류들이 합류한다.

하양현의 북동쪽에는 신녕현의 월경지(越境地)인 이지현(梨旨縣)이 기재되어 있다.

주기는 호구, 전답, 조적, 군병, 창고, 봉대, 사계(四界), 경도까지의 거리, 방리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여지도』는 팔도의 회화식 지도를 수록한 군현지도책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해동지도(海東地圖)』 계열의 지도이다. 군현지도는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었으며, 『해동지도』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아담하여 보관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여지도』 「하양현지도」 『해동지도』와 도로와 주기에서 차이가 나는 점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와 함께 하양현의 지지가 수록되어 있어 18세기 하양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