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구도』 「대구부·현풍현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52
한자 靑邱圖 大邱府 玄風縣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Daegu-bu and Hyeonpung-hyeon in Cheonggu-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청구도』 보물 제1594-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6월 29일 - 『청구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지도
편자 김정호
권책 불분권 2책
규격 35.2×23.2㎝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된 대구도호부현풍현 일대의 지도.

[개설]

『청구도(靑邱圖)』는 남북 29층, 동서 22판으로 구획하여 그린 전국 지도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건(乾)·곤(坤) 두 책으로 구성된 채색필사본 지도인데, 「대구부·현풍현지도」는 건 21층 8-10판, 곤 20층 8-9판에 수록되어 있다. 『청구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4-1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는 1834년(순조 34) 첫 번째 『청구도』를 제작한 후 내용과 형식을 바꾼 10여 종의 개정판 『청구도』를 편찬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1846년(헌종 12)부터 1849년 사이에 있었던 총위영(摠衛營)이 도성도(都城圖)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청구도』는 크기가 세로 35.2㎝, 가로 23.2㎝이다. 광곽(匡郭)은 목판으로 ‘청구도선표(靑邱圖線表)’라고 찍혀 있다. 광곽은 세로로 10등분, 가로로 7등분을 하여 남북 100리, 동서 70리 범위를 그렸다. 주요 내용은 청구도제(靑邱圖題), 청구도범례(靑邱圖凡例), 동방제국도(東方諸國圖), 사군삼한도(四郡三韓圖), 삼국전도(三國前圖), 신라구주군현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高麗五道兩界州縣總圖), 본조팔도주현도총목(本朝八道州縣圖總目), 본조팔도성경합도(本朝八道盛京合圖), 도성도, 전국의 주현도, 군국총목표(軍國總目表) 등으로 편집되어 있다.

[구성/내용]

『청구도』 「대구부·현풍현지도」 에서 군현의 경계는 점선과 채색을 사용하였다. 도로는 적색의 실선을 사용하였는데, 대구 읍치에서 칠곡·경산·청도·창녕·현풍 읍치 사이를 연결한다. 대구도호부 영역에는 적색 방형의 성곽 모양 안에 ‘대구(大邱)’라고 적고, 감영(監營)과 중영(中營)도 별도의 사각형 안에 함께 표시하였다.

대구도호부의 방리(坊里)는 동상면(東上面), 동중면(東中面), 동하면(東下面), 서상면(西上面), 서중면(西中面), 서하면(西下面), 중북면(中北面), 현내면(縣內面), 수동면(守東面), 하수남면(下守南面), 상수남면(上守南面), 하수서면(下守西面), 상수서면(上守西面), 감물천면(甘勿川面), 옥포면(玉浦面), 성평면(省平面), 조암면(阻岩面), 인흥면(仁興面), 월배면(月背面), 각남면(角南面), 각북면(角北面), 각초면(角初面), 해동면(觧東面), 해북면(觧北面), 해서면(觧西面), 해서부면(觧西部面), 하동면(河東面), 하서면(河西面), 하남면(河南面), 하북면(河北面)이 기록되어 있다.

현풍현 영역에는 적색 사각형 안에 ‘현풍(玄風)’이라 적어 읍치를 표시하였다. 방리는 모로촌면(毛老村面), 마산면(馬山面), 유가면(瑜伽面), 동부면(東部面), 논공면(論工面), 거을산면(巨乙山面), 묘동면(妙同面), 오설면(烏舌面), 산전면(山田面), 진촌면(津村面), 우방면(亏方面)[우만면의 오기], 말역면(末亦面), 답곡면(沓谷面), 왕지면(王旨面)이 수록되어 있다.

산줄기는 회화식 방법을 사용하여 연맥식으로 그렸다. 대구도호부현풍현의 북쪽에는 팔공산(八公山), 동쪽에는 향림치(香林峙)·장현(墻峴)·형제봉·조족산(鳥足山), 남쪽에는 팔조령(八助岺)·최항산(最項山)·고로치(古老峙)·비파산(琵琶山)·천왕봉(天王峯)·대니산(戴尼山)·태백산(太白山) 등이 있다. 대구도호부 읍치 남쪽에는 진산인 연구산(連龜山)이 있고, 북쪽에는 침산(砧山)이 있다. 한편 법이산(法伊山)·마천산(馬川山)·소산(所山)에는 봉수가 표시되어 있다.

하천은 쌍선으로 묘사하였는데, 금호강(琴湖江)을 비롯하여 신천(新川)·전탄(箭灘)·구천(龜川)·차천(車川)·인탄(寅灘) 등이 표기되어 있다. 역원은 범어역(凡魚驛)·금천역(琴川驛)·설화역(舌火驛)·유산역(幽山驛)·쌍산역(双山驛)·오동원(梧桐院), 사찰은 복덕사(福德寺)·용연사(龍淵寺)·용천사(湧川寺), 서원은 연경서원(硏經書院)·남강서원(南岡書院)·청호서원(靑湖書院), 사당은 표충사(表忠祠), 창고는 해창(觧倉)·남창(南倉)·풍각창(豊角倉)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는 김정호가 『조선지도』, 『해동여지도』 등 20리 방안 지도를 이용하여 제작한 대축척 전국 지도이며, 군국총목표에는 대구도호부현풍현의 전답·민호(民戶)·남녀 인구수·군보(軍保)·곡부(穀簿)·방면(坊面)·서울까지의 거리 등이 기록되어 있다. 『청구도』「대구부·현풍현지도」는 당시의 역사지리 정보를 담고 있어 19세기 초 대구도호부현풍현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